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서포집

다른 표기 언어 西浦集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김만중(金萬重)
창작/발표시기 1702년
성격 시문집
유형 문헌
권수/책수 10권 2책
간행/발행 김진화
분야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장서각 도서

요약 조선후기 학자 김만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2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상하 10권 2책. 목판본. 아들 진화(鎭華)가 1702년(숙종 28)에 편집,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서포집』 권두에 김창흡(金昌翕)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오언고시 34편, 권2는 칠언고시 27편, 권3은 오언율시 59편, 권4는 칠언율시 57편, 권5는 오언절구 11편, 권6은 칠언절구 42편, 권7은 소(疏) 15편, 권8은 소 17편, 차(箚) 1편, 계(啓) 2편, 권9는 제문 11편, 악장 1편, 비답(批答) 5편, 교서(敎書) 1편, 옥책문(玉冊文) 1편, 표전(表箋) 5편, 서(序) 2편, 발(跋) 1편, 기 1편, 지(識) 1편, 권10은 선비정경부인행장(先妣貞敬夫人行狀)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김만중의 초기 시작품은 대략 인경왕후(仁敬王后) 초기에 지어진 것이다. 궁궐 안의 비빈(妃嬪)·궁녀들의 화려한 영총(榮寵)을 노래한 것이 많아 특이하다.

후기작은 거의가 애상적인 경향을 많이 띠고 있다. 그의 만년의 서새남장(西塞南杖)과 모부인 윤씨에 대한 불효의 가책 등의 쓰라린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김만중의 시에는 「직녀수독거(織女愁獨居)」·「연연편(燕燕篇)」·「동작기(銅雀妓)」·「월녀행(越女行)」·「왕소군(王昭君)」 등 미인에 대한 영탄이 많다. 소설 「구운몽」에서의 갖가지 미인상과 연관지어 흥미를 끈다.

귀양지에서 지은 「기사구월이십오일작(己巳九月二十五日作)」·「칠월이십오일적중작(七月二十五日謫中作)」 등의 사친시(思親詩)에는 모부인 윤씨에 대한 애절한 효심이 잘 나타나 있다.

『서포집』 권10의 「선비정경부인행장」에서는 어머니의 뛰어난 현덕을 일자일획의 꾸밈 없이 잘 묘사하고 있어 「구운몽」의 후서(後敍)라 이를 만하다. 1971년 통문관에서 『서포만필』과 합본하여 영인하고 출판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서포집(西浦集)』
  • ・ 『서포만필해설(西浦漫筆解說)』(정규복, 통문관, 1971)
  • ・ 「김만중론(金萬重論)」(정규복, 『한국문학작가론』, 형설출판사, 197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김만중의 서포집 중 권수면

김만중의 작품

추천항목


[Daum백과] 서포집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