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개념 |
---|---|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요약 모래가 그 속을 통과하는 지하수에 녹아 있던 광물질의 침전으로 고결되어 굳어진 암석.
내용
영어로는 샌드스톤(sandstone)이라 한다. 여기에서 모래라고 하는 것은 알갱이들의 장경이 16분의 1㎜∼2㎜ 사이에 드는 예리한 모서리를 가진 광물의 작은 입자의 집합체이다.
산야의 암석이 풍화되는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크고 작은 암편이 중력과 유수의 작용으로 운반되는 동안에 크기에 따라 자연적으로 자갈 · 모래 · 미사 · 점토 등으로 분급되면서 대체로 각각 집중되어 쌓인다. 모래는 여러 종류의 암석에서 분리된 것이므로 여러 종류의 광물의 입자를 포함한다.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석영입자들이지만 장석 · 운모 · 각섬석 · 석류석 · 기타 광물입자도 섞여 있다. 모래에는 석영입자가 가장 많은데 석영은 화강암처럼 분포가 큰 암석 중에 많이 들어 있고 또 운반 도중에 닳아져서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풍부하다. 장석은 화강암질인 암석 중에 60% 내외 포함되어 있어서 양적으로 많으나 화학적 · 물리적 작용에 약하므로 분해되거나 부서져서 석영입자보다 적어지게 된다. 석영입자들은 다른 여러 광물들보다 강하고 흔하므로 모래라고 하면 석영으로 된 모래를 생각하게 된다.
사암은 모래 속에 들어 있는 자갈 · 미사 · 점토 등의 함량에 따라 석영사암 · 역질사암 · 이질사암 등으로 구별되고, 석영의 모래를 주로하고 있다. 이에 10∼25%의 장석과 20% 미만의 점토를 포함한 것을 장석질 사암이라고 한다. 이와 비슷하나 장석입자의 양이 25% 이상인 것을 장석사암이라고 하며 장석질 사암과 구분된다. 이 밖에 변성암의 암편으로 된 모래를 포함한 이질사암이 있어서 이를 이질암편사암 또는 잡사암이라고 하나 최근에는 잘 쓰지 않는 말이다.
사암은 보통 대륙붕에 쌓이지만 저탁류에 휩쓸려 1,500∼4,000m인 깊은 바다 밑까지 운반되어 쌓이는 일이 많은데 이런 암석을 저탁암이라고 한다. 저탁암의 대부분은 이질암편사암이다.
사막에는 바람에 날리는 모래가 쌓여 사구가 만들어지는 곳이 있다. 이것이 굳어져도 사암이 되는데 사막의 모래는 둥근 것이 특징이며 그 지름은 0.3㎜ 내외이다. 물 밑에 쌓인 사암은 수성암에 속하는 퇴적암이고, 육지에 쌓인 사구층이 사암으로 된 것은 풍성층에 속하는 퇴적암이다. 세계적으로 퇴적암을 셰일 · 사암 · 석회암으로 구분하는데 그 중 사암은 약 25%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생대 후반, 중생대 및 신생대의 퇴적암 층에 많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과학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사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