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과하마

다른 표기 언어 果下馬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초기국가
성격 포유류, 말
유형 물품
용도 교역, 이동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우리나라의 토종말.

내용

키가 3척 정도밖에 되지 않아 말을 타고서도 능히 과실나무 밑을 지나갈 수 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구려와 동예의 특산물이었다. 특히, 고구려에서는 시조 주몽(朱蒙)이 탔다는 전승이 전하며, 동예에서는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중국과의 주요 교역품의 하나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신라시대에도 723년(성덕왕 22) 4월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어 과하마 한 필을 우황·인삼 등과 함께 전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三國史記)』
  • ・ 『삼국지(三國志)』
  • ・ 『위서(魏書)』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과하마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