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
---|---|
유형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역사/고대사 |
요약 삼국시대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한 지도자.
개설
고구려 멸망 후인 670년 유민 등을 규합해 당나라에 대항해 부흥운동을 전개했으나 부흥운동의 구심점으로 세운 안승(安勝)과의 의견 대립으로 피살되었다.
활동사항
고구려 수림성(水臨城) 출신으로 관등은 대형(大兄)이다. 수림성은 현재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임진성(臨津城)으로 비정하기도 하지만, 검모잠의 활동이 대동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평양 이북의 어느 지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668년 고구려가 멸망 뒤인 670년 유민 등을 규합해서 당나라의 관리와 승려 법안(法安) 등을 죽이고 궁모성(窮牟城)에서 패수[浿水 : 대동강] 남쪽으로 옮겨 부흥운동을 일으켰다. 검모잠의 거병 시기에 대해서는 중국측 기록에는 670년 4월의 일이라고 하고, 『삼국사기』에는 6월의 일이라고 한다.
670년 4월 이전에 거병하고 6월에 남하해 한성을 거점으로 부흥세력을 결집시킨 것으로 보인다. 669년 당나라에서 고구려에 행한 대규모 사민(徙民)과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평양에서 신성으로 옮긴 것과 연결해서 거병시기를 669년으로 보는 설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최초 활동 지역인 궁모성은 현재 경기도 연천시 연천읍 공목달현(功木達縣)으로 비정하기도 하나 대동강 북안의 평양 인근 지역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궁모성을 서해의 수군 기지로 보고 고려시대에 궁구문(弓口門)이라 불리던 평안북도 의주로 비정하려는 견해도 있으며, 최근에는 고구려 부흥운동을 요동과 한반도를 연계해 파악하여 개모성(蓋牟城)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새로이 제기되었다.
검모잠은 한성[漢城 : 지금의 황해도 재령]에 자리를 잡고 서해 사야도(史冶島)에 가 있던 안승(安勝)을 맞아 왕으로 추대하는 한편, 소형(小兄) 다식(多式) 등을 신라로 보내어 구원을 요청하였다. 신라 문무왕은 사찬(沙飡) 수미산(須彌山)을 보내어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봉하였다.
고구려 유민의 계속된 항쟁이 이어지자 670년 4월 당나라에서는 좌감문대장군(左監門大將軍) 고간(高侃)을 동주도행군총관(東州道行軍總管)으로 삼고 우령군위대장군(右領軍衛大將軍) 이근행을 연산도행군총관(燕山道行軍總管)으로 삼아 병사를 보내 진압하게 하였다. 이에 대처하는 방안을 놓고 의견 대립으로 안승에게 피살되었다. 검모잠의 피살 시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670년 7월 말로 보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三國史記)』
- ・ 『구당서(舊唐書)』
- ・ 『신당서(新唐書)』
- ・ 『자치통감(資治通鑑) 』
- ・ 『당회요(唐會要)』
- ・ 『역주 삼국사기 3』(정구복 외, 한국학중앙연구원, 1997)
- ・ 『고구려사 2』(손영종, 백산자료원, 1997)
- ・ 「요동지역의 고구려부흥운동과 검모잠」(김강훈, 『군사』 99, 2016)
- ・ 「한성의 고구려국 재검토」(최재도, 『동북아역사논총』 47, 2015)
- ・ 「검모잠의 최초 거병지 검토」(이상훈,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 노태돈 교수 정년기념논총』 2, 사계절, 2014)
- ・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 : 보덕국 주민을 중심으로」(정선여, 『역사와 담론』 56, 2010)
- ・ 「고연무의 고구려 부흥군과 부흥운동의 전개」(이정빈, 『역사와 현실』 72, 2009)
- ・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 운동의 전개」(조인성,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2007)
- ・ 「고구려 부흥운동의 신고찰」(강경구, 『한국상고사학보』 47, 2005)
- ・ 「고구려유민의 활동과 보덕국」(임기환, 『고구려정치사연구』, 한나래, 2004)
- ・ 「나당전쟁 진행과정에 보이는 고구려유민의 대당전쟁」(양병룡, 『사총』 46, 1997)
- ・ 「670년에 재건된 ‘고구려국’에 대한 연구」(전준현, 『력사과학』 82-2, 1982)
- ・ 「고구려의 일부 유민에 대한 당의 추호정책」(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 ・ 「新羅と小高句麗國」(村上四男, 『朝鮮學報』 37·38, 1966)
- ・ 「高句麗滅亡後の遺民の叛亂及び唐と新羅との關係」(池內宏, 『滿鮮史硏究』 上世 2, 吉川弘文館, 196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검모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