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중국 경제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세계 / 세계경제 / 지역별 경제
툴바 메뉴

2008년 중국경제는 수출 감속과 더불어 생산이 부진해 지면서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었으며 9%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상반기에는 내외수요 호조로 GDP 성장률이 2007년 동기대비 10.4%의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3ㆍ4분기에는 올림픽 전후의 공장가동 중단 및 생산조절 등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한자리 수로 낮아졌으며 4ㆍ4분기에는 세계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해외수요가 급감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도 침체되는 등 대내여건도 악화되면서 성장률이 6.8%까지 낮아졌다.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2007년 동기대비, %)
 2006년2007년2008년
연간4/4연간1/42/43/44/4
실질GDP11.613.012.09.010.610.19.06.8
고정투자1)24.525.825.826.125.926.827.626.1
소매판매2)13.716.819.021.620.622.223.220.6
수출2)27.225.722.217.221.422.423.04.3
수입2)20.020.825.418.528.632.625.7-8.8
산업생산2)16.618.517.512.916.415.913.06.4
소비자물가2)1.54.86.65.98.07.85.32.5
총통화(M2)3)16.916.716.717.816.317.415.317.8

주 : 1) 누계기준(예 : 2008년 10월 중 27.%는 1~10월 중 2007년 동기대비 증감률), 도시 기준

2) 분기수치는 해당월의 평균기준; 산업생산 1ㆍ4분기 수치는 누계기준

3) 증감률은 말잔 기준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

한편 식료품 가격의 상승세가 진정되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섬에 따라 인플레이션 압력은 빠르게 완화되고 있다. 정부 당국은 세계 동시 불황으로 성장률 하락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재정ㆍ금융 양면에서 경기 대책을 마련하여 성장률 둔화를 방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시고정자산투자는 2007년에 이어 여전히 25%를 상회하는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및 환경ㆍ공공시설에 대한 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전력ㆍ수도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부동산 부문에 대한 투자는 주택시장 위축으로 2ㆍ4분기를 정점으로 증가세가 빠르게 둔화되었다. 지역별로는 인프라 투자를 중심으로 중부와 서부 내륙지역에 대한 투자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4ㆍ4분기 이후 대외여건 악화 등으로 제조업 및 부동산투자가 급격히 축소될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정부 당국은 재정지출의 조기실행 등을 통한 인프라투자 확대를 단행하였다.

민간소비는 상반기까지 중국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꾸준히 확대되어 왔으나 생산 둔화에 따른 기업 도산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최근 증가세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2007년 16.8% 증가에 그쳤던 소매판매 증가율은 3ㆍ4분기(23.2%)까지 확대되었으나 4ㆍ4분기에는 20.6%로 하락하였다. 특히 수출 감소에 따른 노동집약적 제조업의 도산이 농민공(農民工)의 대량실업을 초래하여 농촌지역의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로까지 확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출은 그간의 억제조치에도 불구하고 3ㆍ4분기까지 20%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지속해 왔으나 4ㆍ4분기 중 대외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증가율이 한자리 수로 하락하였으며 특히 11월 이후 감소로 전환하였다. 연간으로는 지난해(25.7%) 보다 크게 둔화된 17.2% 증가하여 1조4천28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 당국은 수출 증치세 환급률 인상, 수출관세 인하, 보조금 지급 확대 및 위안화 환율 절상속도 조절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다. 수입은 원유, 곡물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중간재 등의 수입 대체가 진전됨에 따라 2007년 대비 18.5% 증가하는 데 그쳐 1조1천33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무역수지는 연중 증가폭이 점차 확대되었는데, 1ㆍ4분기 414억 달러, 2ㆍ4분기 582억 달러, 3ㆍ4분기 833억 달러, 4ㆍ4분기 1천143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2008년 전체로는 2007년에 비해 328억 달러 증가한 2천99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산업생산은 해외수요 감소에 따른 생산조절, 원자재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조정 및 부동산 시장 위축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빠르게 낮아져 10월에는 2005년 2월(7.6%)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 수로 하락하였으며 11월에는 5.4%까지 낮아졌다. 업종별로는 중공업이 자동차, 철강, 시멘트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큰 폭 둔화되었으며 경공업도 의류, 화학섬유 등을 중심으로 증가율이 낮아졌다. 다만 12월에는 가전하향(家電下鄕) 정책에 따른 세탁기, 냉장고 등의 생산 증가 및 인프라투자 확대 등에 따른 철강생산 감소세 축소 등의 영향으로 전월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중국의 지준율 및 금리 동향
 2007년2008년
지급준비율13.5% → 14.5%(11.26일) (12.25일)→ 15.0% → 15.5% → 16.0% → 16.5% → 17.0% → 17.5%(1.25일) (3.25일) (4.25일) (5.20일) (6.15일) (6.25일)→ 17.5% → 17.0% → 16.0% → 15.5%(대형상업은행)→ 16.5% → 16.0% → 14.0% → 13.5%(소형상업은행) (9.16일) (10.15일) (12.5일) (12.23일)
금리(1년만기)→ 3.87% → 4.14%(9.15일) (12.21일)→ 7.29% → 7.47%(9.15일) (12.21일)→ 3.87% → 3.60% → 2.52% → 2.25%(예금 기준금리, 1년)(10.9일) (10.30일) (11.27일) (12.22일)→ 7.20% → 6.93% → 6.66% → 5.58% → 5.31%(예금 기준금리, 1년)(9.16일) (10.9일) (10.30일) (11.27일)(12.22일)
중국의 주요 경기 대책
일자기관주요 내용
8. 1재정부ㆍ 섬유제품 수출 증치세 환급률 인상(11.0 → 13.0%)
9.16중앙인민은행ㆍ 대출금리 인하(1년 만기 기준 0.27%p)
ㆍ 금융기관 지준율 인하(소형상업은행, 17.5 → 16.5%)
10.9중앙인민은행ㆍ 대출 및 예금금리 인상(1년 만기 기준 0.27%p)
ㆍ 금융기관 지준율 인하(대형상업은행, 17.5 → 17.0%)(소형상업은행, 16.5 → 16.0%)
10.27재정부 등ㆍ 수출 증치세 환급률 추가 인상 및 범위 확대(3천486개 제품)
ㆍ 주택 거래세 인하 및 담보대출 확대 등 부동산 경기 대책 발표
ㆍ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대출 확대 지시
10.3중앙인민은행ㆍ 대출 및 예금금리 인하(1년 만기 기준 0.27%p)
11. 9재정부 등ㆍ 향후 2년간 4조 위안 재정지출 확대 계획 발표
11.26중앙인민은행ㆍ 대출 및 예금금리 인하(1년 만기 기준 1.08%p)
ㆍ 금융기관 지준율 인하(대형상업은행, 17.0 → 16.0%)(소형상업은행, 16.0 → 14.0%)
12.17국무원ㆍ 부동산 양도세 축소 및 저가주택 건설 확대
ㆍ 부동산 구입 및 개발에 대한 금리인하

통화량(M2)은 상반기까지 추진한 긴축조치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기 시작하였으며 3ㆍ4분기에는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신용경색 영향이 가세하면서 둔화 추세를 지속하였으나 정부 당국의 과감하고 적극적인 금융완화 조치로 12월 큰 폭 상승한 것으로 2008년을 마감하였다. 중국 정부는 9월 이후 네 번의 기준금리 인하 및 세 번의 지급준비율 인하 조치를 단행하였으며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한도 폐지 및 중소기업 대출 확대를 지시하는 금융긴축 완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편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07년 대비 10.6% 늘어난 924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외환보유액은 무역수지 흑자 지속 등으로 2008년 말 현재 2007년 말에 비해 4천178억 달러 증가한 1조9천46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다만 4ㆍ4분기 중에는 외환보유액 증가율이 무역흑자 및 FDI 유입액 합계보다 낮았던 것에 비추어 볼 때 위안화 절하 우려 등으로 그간 대량 유입되었던 투기성 자금이 일부 유출된 것으로 평가된다.

소비자물가는 상반기 중 폭설, 지진피해에 따른 일부 농산물의 공급 부족 등의 영향으로 높은 수준을 지속하였으나 하반기 이후 식료품 가격이 안정을 되찾으면서 상승률이 빠르게 낮아졌다. 연간 소비자물가는 상반기의 급등 효과 등으로 5.9%를 기록하여 2007년 4.8%에 비해 상승폭이 크게 확대되었다. 생산자물가도 급등하였던 유가, 철강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하면서 8월 정점(10.1%) 이후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 한편, 2008년 말 도시지역 실업률은 4.2%로 지난해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2008년 중 중국 주가(상하이 A지수)는 대외여건 악화 및 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기업들의 수익성 약화 등으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연중 하락세를 지속하여 11월까지 68% 가량 하락하였으나 금융소득세 면제 및 비유통주 유통해제 억제 등 주식시장 안정 대책을 적극 추진함에 따라 저점대비 소폭 상승한 수준에서 조정을 보이고 있다. 환율은 무역수지 흑자 축소를 위한 당국의 노력 및 대외적인 위안화 절상 압력 등으로 상반기까지 빠르게 절상되어 9월에는 달러당 6.8위안까지 낮아졌으나 수출 감소 및 부동산 시장에서의 해외 자금 이탈 등이 환율 절하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4ㆍ4분기 이후 1달러당 6.83위안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대외요인에 의해 촉발된 경기 둔화로 내수마저 위협받게 되면서 중국 정부는 대외여건 악화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내수중심의 성장전환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하반기 이후 경착륙 우려가 커지면서 수출관련 중소기업 도산 증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출규제 완화뿐만 아니라 고용안정 보조금 지급 및 창업지원 등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주택 거래세 인하 및 담보대출 상향조정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한편 금융부문에 있어서도 그간의 대출규제를 철폐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확대하는 등 금융부문의 자금이 실물부문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지역별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