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개요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세계 / 세계경제 / 개관
툴바 메뉴

2008년 중 세계경제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로 발생한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9월 이후 심화되면서 실물경제로 급속히 전이됨에 따라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었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2007년 5.2%에서 2008년 3.4%로 하락하였다. 미국은 3ㆍ4분기부터, 유로지역과 일본은 2ㆍ4분기부터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하는 등 선진국경제가 동반 침체에 진입하였다. 신흥시장국경제도 해외자본 이탈에 따른 신용경색 확산 및 자본조달 여건 악화, 수출 둔화 등으로 하반기 들어 성장률이 크게 하락하였다.

선진국의 고용사정은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등 악화되었다. 미국의 실업률은 2007년의 4.6%에서 5.7%로 높아졌는데 12월에는 7.2%까지 상승하여 1993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유로지역 및 일본의 실업률도 2007년에 비해 상승하였다. 선진국의 소비자물가는 에너지 및 식료품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상반기중 오름세가 확대되었으나 하반기 들어 원자재가격이 급락세로 돌아서면서 크게 둔화되었다. 그러나 연간으로는 상반기중 상승의 영향으로 2007년에 비해 상승률이 높아졌다.

세계교역은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 무역관련 금융경색 등으로 크게 축소되었다. 선진국의 경상수지를 보면 미국은 2007년에 이어 적자규모가 축소되었으나 흑자를 지속하던 유로지역이 적자로 돌아서고 일본은 2007년에 비해 흑자 규모가 감소하였다.

국제금융시장은 9월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 보호 신청 및 AIG의 유동성 부족 사태 이후 거래상대방에 대한 신뢰상실과 안전자산 선호 경향 등으로 딜레버리지(deleverage)가 가속되면서 신용경색이 금융시장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주요 선진국의 장단기 금리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 확대 조치에 따른 불안 심리 완화,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상반기 중 소폭 상승하다가 금융불안이 심화된 9월 이후에는 안전자산 선호 경향 강화 등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선진국 주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확대 및 실물경기 침체 우려로 동반 급락하였으며 변동성도 크게 확대되었다. 연말 다우존스지수, 유로스톡스(Eurostoxx 50) 지수 및 닛케이지수는 2007년 말대비 각각 33.8%, 44.4%, 42.1% 하락하였다.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은 하반기 들어 선진국의 신용경색이 빠르게 전염되면서 불안이 심화되었다. 금융불안 지속에 따른 선진국 투자자의 위험회피, 딜레버리지 확대 등으로 자본 유출이 가속되는 가운데 해외자금조달 비용이 급등함에 따라 대외자본 의존도가 높은 일부 국가에서는 금융위기가 발생하였다.

미 달러화는 국제금융시장에서의 달러화 유동성 부족 및 안전통화로서의 달러화에 대한 수요 증대로 하반기 이후 엔화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통화에 대해 강세로 전환하였다. 유로화에 대해서는 2007년말대비 4.4% 절상되었으며 엔화에 대해서는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움직임이 증가하면서 연중 20.2% 절하되었다.

국제유가는 7월 초 배럴당 140달러대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선진국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둔화 및 투자자금 이탈 등으로 급락세로 전환하여 연말경에는 30달러대로 하락하였다. 기타원자재가격도 상반기 중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 대체로 8월 이후 급락세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연평균 기준으로는 상반기중의 높은 오름세에 힘입어 국제유가는 37.6%(두바이유 기준), 기타 원자재가격은 7.4%(IMF 비연료원자재가격지수 기준) 각각 상승하였다.

세계경제 성장률 추이
 2005년2006년2007년2008년
전세계1)4.45.05.23.4
미국2.92.82.01.3
일본1.92.02.4-0.7
유로지역1.72.92.60.7
중국10.411.113.0 9.0

주 : 1) IMF 발표치(2009년 1월)

자료 : 미국 상무부, 일본 내각부, 유로 통계청, 중국 국가통계국

주요국의 실업률 추이
 2005년2006년2007년2008년
미국5.14.64.65.8
일본4.44.13.84.0
유로지역8.88.37.47.5
중국4.24.14.04.2

자료 : 미국 노동부, 일본 총무성, 유로 통계청, 중국 노동사회보장부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