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상저하고의 성장 진행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경제 / 2008년 경제동향 / 국내 경제 동향
툴바 메뉴

2008년은 우리 경제가 상반기 중 초고유가, 하반기 중 글로벌 금융위기 등 전례 없는 대외여건 악화에 직면해 큰 어려움을 겪었던 한 해로 기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2008년 한 해의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질 GDP 성장률은 2007년 5.0%보다 크게 낮아진 2.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를 분기별로 살펴보면 계절조정 전기비 성장률이 3사분기까지 0~1% 내외의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으나 4ㆍ4분기에는 98년 1ㆍ4분기(△7.8)이후 최저수준인 △5.6%로 급감했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도 1ㆍ4분기 5.8%, 2ㆍ4분기 4.8%, 3ㆍ4분기 3.8%로 3ㆍ4분기까지 3%대 이상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4ㆍ4분기에는 △3.4%를 기록, 98년 4ㆍ4분기(△6.0)이후 최초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내용별로는 순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내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반기들어 수출 급감으로 인해 2008년 4ㆍ4분기 이후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모습이다.

실질 GDP 성장률 추이(%)
 20072008
 1/42/43/44/4 1/42/43/44/4
GDP 성장률(전년동비)5.04.04.95.15.72.55.84.83.8△3.4
기여도- 내수(재고제외)
- 순수출
  (수출)
4.14.74.63.33.70.32.41.71.5△3.9
1.30.90.52.11.82.32.73.31.31.9
7.06.56.35.49.43.87.37.75.7△4.4
상저하고의 성장 진행
상저하고의 성장 진행
수출 추이(%)
상저하고의 성장 진행
상저하고의 성장 진행
수입 추이(%)
주요 고용지표 추이(%, 만명)
 2007년2008년
연간12월연간1/42/43/44/411월12월
실업률3.23.13.23.43.13.13.13.13.3
  청년실업률(15~29세)7.27.37.27.37.46.97.06.87.6
실업지수78.373.676.980.176.775.275.775.078.7
고용률59.859.159.558.560.359.959.459.958.4
  청년고용률(15~29세)42.641.841.642.041.941.840.640.840.4
취업자수2,3432,3262,3582,3052,3872,3752,3642,3822,325
  전년동월비증감28.226.814.520.917.314.15.47.8△1.2
  (증가률)(1.2)(1.2)(0.6)(0.9)(0.7)(0.6)(0.2)(0.3)(△0.1)
경제활동 참가율 및 비경활인구 추이(%, 만명)
 2007년2008년
연간12월연간1/42/43/44/411월12월
경제활동참가율61.861.061.560.562.361.861.361.860.4
비경제활동인구1,4951,5351,5251,5581,4901,5151,5371,5201,577
- 전년동월비 증감17.121.729.727.025.628.937.235.642.4
   연로△6.04.37.64.210.010.55.94.57.6
   가사, 육아6.69.612.312.212.713.411.212.48.8
   쉬었음4.4△1.83.13.61.4△2.69.98.016.2
※ 구직단념자1) 증감△1.4△2.71.1△1.50.81.63.32.54.3
사업별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대비, 만명)
 2007년2008년
연간12월연간1/42/43/44/411월12월
전체28.226.8.14.520.917.314.15.47.8△1.2
-제조업△4.8△2.6△4.0△2.4△2.5△3.8△7.3△5.6△9.9
-건설업1.5△0.5△3.2△1.7△3.8△3.3△3.7△2.9△4.5
-서비스업37.336.924.531.228.524.214.711.111.9
  보건ㆍ사회복지업5.96.810.79.210.410.412.710.713.4
  도소매ㆍ음식숙박업△3.7△1.4△4.9△3.7△4.2△5.1△5.2△8.0△6.5
  교육서비스업3.01.36.03.08.27.45.53.07.1
  금융ㆍ보험료2.33.51.73.92.72.0△1.7△3.0△0.2
-농림어업△5.8△7.0△3.4△6.2△5.2△3.40.34.70.9

민간소비는 내수의 급격한 위축과 함께 연간 0.5%의 성장을 기록했다. 0.5% 성장은 2003, 2004년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인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2005년부터 이어져온 성장세(05년 3.6%, 06년 4.5%, 07년 4.5%)에서 크게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크게 감소한 4ㆍ4분기의 △4.4% 위축(전년동기비, 전기대비 △4.8%)에 기인한 것이다.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모두 11월부터 감소세를 보였고, 특히 승용차 판매가 12월 기준으로 5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내구재는 지속적으로 큰 폭 감소하고 있다. 업태별로는 상대적으로 나은 모습을 보이던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매출마저 12월 들어 크게 감소했으나 여전히 연간으로는 플러스 성장을 기록, △2.5% 감소한 전문상품소매점과 대조를 이루었다. 고용부진과 부동산가격 하락에 따른 負의 자산효과 등이 소비심리 개선에 지속적인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질임금의 감소로 소득여건도 악화되고 있어 당분간 소비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설비투자는 2008년 연간 △2.0% 감소했으며, 역시 이 또한 4ㆍ4분기 큰 폭의 감소세 전환(전년동기대비 △14.0% 감소, 전기대비 △16.1%)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설비투자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것은 전반적인 내수 위축기였던 2003년 이후 최초로, 2005~2007년까지의 5% 이상의 견조한 성장세에서 크게 벗어난 수치이다. (설비투자(%) : (03) △1.2 (04) 3.8 (05) 5.7 (06) 7.6 (07) 7.5) 선행지표인 기계수주 및 기계류 수입 흐름, BSI, 설비투자 조정압력 등을 감안할 때 설비투자의 감소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건설투자는 08년 연간 △2.7% 감소했으며, 분기별로도 모든 분기에서 전년동기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4ㆍ4분기에는 전년동기대비 △6.1% 감소하여(전기비 △4.0%) 3ㆍ4분기까지의 완만한 감소세와 대조를 이루었다.

2008년 수출은 연간으로는 전년보다 13.6% 상승한 4조2천201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11월 이후 큰 폭의 감소세로 전환했으며(11월 △19.5%, 12월 △17.1%) 세계경기침체의 지속 추세에 따라 향후에도 감소가 지속될 전망이다. 업종별로 보면 중화학공업제품의 경우 선박(53.8%), 철강제품(20.4%), 화공품(13.8%) 등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반도체(-16.0%), 승용차(-9.3%), 가전제품(-58.6%) 등은 감소세를 보여 전년대비 10.7% 증가했다. 경공업제품의 경우 종이류(10.8%) 등의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고무타이어 및 튜브(8.4%) 등의 증가세는 둔화돼 전체적으로 7.1%의 증가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0.0%→14.3%)와 중남미(25.2%→29.0%)의 증가세가 확대된 가운데 일본(-0.6%→7.1%)이 증가로 전환됐으나 EU(15.5%→4.3%), 중국(18.0%→11.5%), 미국(6.0%→1.3%) 등은 증가세가 둔화됐다.

수입의 경우 연간 22.0% 증가해 2007년 연간 15.3%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역시 11월 이후 큰 폭의 감소세로 돌아섰다. 분기별로 보면 3ㆍ4분기까지 25%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는데 (1ㆍ4 28.9%, 2ㆍ4 30.5% 3ㆍ4 42.8%) 이는 특히 상반기 배럴당 150달러 수준까지 상승했던 국재 유가 등의 원자재 가격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원자재수입은 전년대비 33.2% 증가했고 이는 원유(42.3%), 철강재(54.0%) 등에 주로 기인한다. 지역별로는 중동(8.0%→50.5%), 동남아(9.9%→18.9%) 등의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EU(22.5%→8.6%), 중국(29.8%→22.1%), 미국(10.6%→3.1%) 등은 증가세가 둔화됐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국내 경제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