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사건/사고 조회순 목록
-
이철희장영자사건 (Case of Lee Cheol-hee and Jang Young-ja) 1982년 당시 대통령 전두환의 인척이었던 장영자와 그의 남편 이철희가 일으킨 거액의 어음사기사건. 1982년 5월 4일, 대검찰청 중앙수사..
-
7·4남북공동성명 (남북공동성명, 七四南北共同聲明) 1972년 7월 4일 오전 10시 남북 간 정치적 대화통로와 한반도 평화정착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발표한 남북한 당사자 간의 최초의 합의 문서.
-
계유정난 (癸酉靖難) 계유정난은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좌 세력이자 원로대신인 황보인·김종서 등 수십 인을 살해,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이다..
-
3·1운동 (3·1 만세 운동, 三一運動) 1919년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항거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족해방운동. 기미독립운동이라고도 한다. 1919년 3월 1일, 서울의 태화관에서..
-
4대강유역종합개발 (四大江流域綜合開發) 우리나라 수자원의 효과적 이용·관리를 위하여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시행한 종합개발. 4대강유역종합개발은 196..
-
노근리양민학살사건 (No Gun Ri Massacre) 1950년 7월 26일 미군이 충북 노근리에서 피난민들을 학살한 사건. 미국 제1기병사단 제7기병연대 예하 부대가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
-
무오사화 (戊午士禍) 1498년(연산군 4)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新進士類)가 유자광(柳子光)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勳舊派)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사대..
-
운요호사건 (─號事件) 1875년 9월 20일 일본군함 운요호(雲揚號)의 강화해협 불법침입으로 발생한 한일 간의 포격사건. 메이지유신(明治維新)으로 근대화한 일본은..
-
3·15 의거 (3·15 마산 의거, 三一五義擧) 1960년 3월 15일 경상남도 마산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 3·15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당 정권이 자행한 부정선거와 정경유착에 대..
-
판문점도끼만행사건 (板門店도끼蠻行事件) 1976년 8월 18일 오전 11시경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사천교(돌아오지 않는 다리) 근방에서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하던 유엔사 경비..
-
신미양요 (辛未洋擾) 1871년(고종 8) 미국 아시아함대가 강화도에 쳐들어온 사건. 미국은 1866년 8월 평양 대동강에서의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
-
칠천량해전 (漆川梁海戰)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7월 15일 원균(元均)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일본 수군과 벌인 해전. 임진왜란·정유재란 ..
-
관동대학살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關東大虐殺) 1923년 9월 일본 관동 지방의 대지진 이후 일본인들에 의해 벌어진 대학살 사건. 당시 일본은 한국·중국의 민족해방운동에 직면하여 한국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