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효행설화 孝行說話효행설화는 부모에 대한 자식의 효심과 효행을 내용으로 한 설화이다. 불가능한 방법으로 효행을 하거나 그로 인해 기대할 수 없는 결과에 이른다는 이야기로, 자신의 신체 일부나 자식을 희생하여 봉양하기도 하고, 효심이 지극하여 계절에 맞지 않는 물건이나 동물을 감화시키기도 하는데, 효가 이념화되면서 벌어지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열녀설화 烈女說話내용 반드시 정절을 지키지 못하게 하는 장애가 있어야 하며, 장애를 극복하거나 극복하지 못하는 과정이 흥미로워야만 설화다운 요건을 구비한다. 열녀설화는 효행설화와 함께 유교적인 덕목을 실행한 것을 기리고 권장하기 위해서 일찍부터 문헌에 올라 자료가 적지 않다. 그런데 구전되는 열녀설화는 주인공 행실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손순매아설화 孫順埋兒說話라 하였고, 석종을 그 절에 안치했다. 뒤에 백제의 도둑이 들어와 그 종은 없어지고 절만 남았다. 석종이 발견된 곳은 완호평(完乎坪)이다. 의의와 평가 희생효행설화는 희생 대상에 따라 자기희생·자식희생·아내희생으로 3분된다. 손순의 설화는 자식희생에 해당되는데, 이러한 자식의 희생은 조부모와 손자 사이에...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개안설화 開眼說話때, 죽은 아들이 돌아와 인사하자 반가움에 눈을 떴는데, 알고 보니 먼저 삶은 것은 아들이 아니라 산삼이었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는 산삼 동자형 효행설화와 결합되어 있는데, 자식의 효행 덕분에 부모가 개안한다는 기이한 일로 나타난다. 쫓겨난 여인 발복형 개안설화는 누구의 덕에 먹고사느냐는 아버지의 물음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향득사지할고공친설화 向得舍知割股供親說話내용 효행설화에 속하는 설화 유형으로, 『삼국유사』 권5 효선(孝善) 제9와 『삼국사기』 권9 신라본기 제9 경덕왕(景德王) 14년조 및 동 권48 열전 제8 향덕조에도 실려 있다. 세 기록의 내용에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으나, 열전의 것이 다소 상세하게 되어 있다. 『삼국사기』 ‘향득사지할고공친’조에 따르면 향덕...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사찰연기설화 사원연기설화, 寺刹緣起說話독자적 내용으로 전승되는 설화들도 많다. 예를 들면, 효행설화로서 전승되고 있는 홍효사 유래담인 손순매아(孫順埋兒)는 후대에 전승되고 있는 수많은 비슷한 종류의 효행설화를 형성하게 한 대표적인 예가 된다. 관음사(觀音寺)연기설화가 고전소설 「심청전」의 근원설화라는 사실도 특기할 만하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효자와 잉어 설화 孝子와 잉어 說話내용 효행설화의 하나로 효행의 여러 모티프와 함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전한다. 우리나라에서 전승되는 대표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떤 효자가 있었는데 병중의 어머니가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때가 추운 겨울철이어서 얼음 밑의 잉어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그래도 그는 얼음을 깨고 잉어를 낚으려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대구광역시 달구벌, 大邱廣域市날아와 자리를 잡았다는 「날뫼전설」, 자식을 낳게 한다는 「건들바위전설」, 때 아닌 음식을 구해 부모를 봉양한 강순항(姜順恒) · 하광신(夏光臣)의 효행설화, 약전골목에 얽힌 강원도 산삼장수와 욕심 많은 부자 서창규 설화 등 수없이 많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이 고장에 구전되고 있는 민요는 주민의 이입과...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위치 :
- 경상북도 남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면적 :
- 883.52㎢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순천시 順天市극히 간소하게 지내지만, 아직도 농촌에서는 이 풍속이 뿌리 깊게 남아 있어 거의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설화 · 민요 이 고장에는 사찰 연기 설화, 자연물에 관련된 설화, 지명 유래담, 효행 설화 등이 많이 전해 온다. 삼보 사찰 중 승보(僧寶) 사찰로 유명한 송광사의 연기 설화는 신라 말엽의 이야기이다. 당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공주시 웅진, 公州市돌아와 동편 신랑마을에서는 씨름을, 서편 신부마을에서는 널을 뛰고 놀다가 다시 두 마을이 하나가 되어 밤이 새도록 즐겁게 논다. 설화 · 민요 이 지방에는 사찰관련설화 · 효행설화 · 자연물관련전설 · 지명유래전설 및 인간과 동물관계 설화 등이 다양하게 전해내려온다. 이 지방의 역사성을 말해주는 설화로는...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