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남의병장열전 湖南義兵將列傳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기우만이 호남의병장 기삼연·고광순·김준 등의 행적을 모아 엮은 전기.|내용 길이 26.3㎝, 너비 19.7㎝. 모필. 내용은 기삼연 거의록 약초(권1·2·3)로 되어 있는데, 권1에 성재실기서문, 권2에 상소·첩황(貼黃), ‘대한매일신보사’ 여러분에게, 격서문, 전령(傳令...
    시대 :
    근대
    저작자 :
    기우만(奇宇萬)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성격 :
    전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기성도(개인소장)
  • 노사학파, 기우만 ・ 박원영 ・ 김익중 호남 최초로&n..
    국왕의 해산조칙에 따라 광주에서 해산하였다. 기우만이 주도한 장성의병은 반개화 ・ 반침략적 근왕의병을 지향했던 것이다. 호남의병 기록의 백미(白眉), 기우만의 「호남의사열전」 1906년 이후 기우만은 두 차례나 경무서에 구금되었다. 처음에는 백낙구(白樂九) 의병장과 연관되어 체포되었다. 백낙구는 1906...
    출생 :
    기우만 : 1846년 8월 17일(음력), 전남 장성박원영 : 1848년, 전남 광주김익중 : 1851년 7월 4일(음력), 전남 장성
    사망 :
    기우만 : 1916년 10월 28일(음력)박원영 : 1896년 3월 3일(음력)김익중 : 1907년 9월 27일(음력)
    포상훈격 :
    기우만 :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박원영 :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김익중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곽재우 홍의장군, 의병을 일으키다
    일본군의 호남 침입을 차단하는 데 일조했다. 충청도에서는 조헌과 승려 영규(靈圭) 등이 활약했으며, 경기도에서는 홍계남(洪季男), 우성전(禹性傳) 등이, 황해도에서는 전 연안부사 이정암(李廷馣)이 부대를 조직한 뒤 강화의 김천일(金千鎰) 부대 등과 연합해 일본군을 물리쳤다. 함경도에서는 정문부(鄭文孚) 등이...
    시대 :
    조선
    출생 :
    1552년(명종 7)
    사망 :
    1617년(광해 9)
    본관 :
    현풍(玄風)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이순신 불멸의 명장, 조선을 구하다
    있으며 호남의 수군도 와서 구원하도록 청할 수 있다."라고 호소했다. 그제야 원균이 이순신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요청을 받은 이순신은 4월 30일 우수사 이억기가 이끄는 전라우도 수군이 도착하면 경상도를 구원하러 출정하겠다는 장계를 올렸다. 이순신은 본영 앞바다에 집결한 수군을 점검하고 장수들과 작전을...
    시대 :
    조선
    출생 :
    1545년(명종 즉위) 04월 28일
    사망 :
    1598년(선조 31) 11월 19일
    본관 :
    덕수(德水)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만취유고 晩翠遺槁
    활동했다. 1910년의 국권 침탈 이후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면서 후학을 양성했다. 기삼연과 함께 창의(倡義)한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의 저서 『호남의병장열전(湖南義兵將列傳)』에 행적이 수록되어 있다. 『만취유고』의 편자인 성하정(成夏鼎, 1894~미상)은 성경수의 아들이다. 이력은 미상이다. 다른 편집자인...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양호거의록 兩湖擧義錄
    때문에 호남 유생들이 모여 이를 증보, 개찬하고 제명도 『양호거의록』이라고 했다는 내력을 담고 있다. 서문은 1760년에 김시찬(金時粲)이 쓴 것으로 후세에...例)를 기준으로 하고 연덕(年德)의 존비(尊卑)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 각인에 관한 서술은 『사기(史記)』 열전(列傳)의 규례에 의거...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798년(정조 22)
    성격 :
    의병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2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양호거의록 兩湖擧義錄
    22) 호남유생들이 자료를 더하여 개간하고 제목도 〈양호거의록〉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김시찬의 서는 〈광산거의록〉의 서문으로 보이는데, 이때 참여한 사람...있어 개간한 것으로 보인다. 각 사람에 관한 기술은 〈사기 史記〉 열전의 규범에 따랐으며, 연보(年譜)·비장(碑狀)·읍지·관문을 대조하여 사실이 분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기우만 회일, 奇宇萬
    원용팔 의병장과 서신을 통해 의병 운동에 대해 논의하는 사이에 최익현이 노성(魯城) 궐리사(闕里祠)에 유회(儒會)를 설치하여 의거에 관한 대책을 강구하자 이에 호응하였다. 1905년 11월에는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그 부당성을 알리고 일본과 싸우기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리고 ‘초(楚)나라를 망하게 한 것은 진...
    출생 :
    1846년 8월 17일, 전라남도 장성
    사망 :
    1916년 10월 28일
    본관 :
    행주(幸州)
    주요활동 :
    1896년 장성의병을 이끌고 장성, 나주, 광주 등지에서 의병활동 전개
    포상훈격 :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호남의병장열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