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헛물관 헛물管
    겉씨식물이나 양치식물의 통도조직 가운데 하나. 식물체를 지탱하고 뿌리에서 줄기, 잎까지 이어지는 수분의 통로가 된다. 세포 사이에 구멍이 관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물관과 구분된다. 가도관(假導管).
    도서 익생양술대전 | 태그 식물
  • 헛물관 tracheid
    식물에서 물관부의 원시적인 요소.|끝이 뾰족하고 길쭉한 단세포와, 수많은 막공을 가진 리그닌으로 두꺼워진 2차 셀룰로오스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1차 세포벽은 천공을 갖고 있지 않다. 기능적으로 성숙해지면 이 세포는 죽고 속이 비게 되는데 원형질은 혹 모양의 층으로 변한다. 헛물관은 모든 관다발 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tracheid 헛물관 가도관, 假導管
    고등식물의 목부에 널리 분포하며 물과 용질을 운반하고 지지기능을 갖는 조직. 양치식물과 겉씨식물의 목부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횡단면이 다각형의 가늘고 긴 세포로 되어 있으며 벽은 목화(木化)된다.
  • 헛물관 Tracheid, 管胞
    헛물관은 관다발 식물의 물관부에 있는 길고 가는 목질화된 세포이다. 이는 가도관요소라고 불리는 물질 운반 세포의 일종이다. 속씨 식물은 도관요소라고 하는 또 다른 유형의 물질 운반 세포를 사용하여 물관부를 통해 물을 운반한다. 헛물관 세포의 주요 기능은 물과 무기염류를 운반하고 식물을 지탱하는 역할이다. ...
    도서 위키백과
  • 수송 輸送, transport
    모두 정지되어 증산작용이 감소된다. 침엽수림의 물관부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목질부와 내부껍질 사이에 있는 관다발부름켜에서 만들어지는데, 헛물관이라고 한다. 헛물관이 죽게 되면 수액 이동의 기능을 갖는다. 헛물관의 세포들이 완전히 자라면 원형질은 죽고 목질의 외막은 물이 이동하는 통로의 벽이 된다. 헛물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동식물 관련 우리말, 침엽수와 활엽수는 어떻게 구분하나
    것으로, 나무의 생물학적인 성질과는 큰 관계가 없다. 일반적으로 소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같은 침엽수 목재는 관다발의 물관부에 있는 주된 요소인 헛물관이 가늘고 길며 비교적 조직이 균일하여 작업하기가 쉽다. 참나무나 벚나무 같은 활엽수 목재는 물관 요소, 축방향유세포, 방사유세포 등의 다양한 세포로...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관다발식물 tracheophyte
    그 수는 약 26만 종에 달하며 오늘날 지구상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식물들이 이에 속한다. 관다발식물은 '헛물관이 있는 식물'을 뜻하는데 물을 운반하는 세포인 헛물관 또는 물관요소가 있음을 일컫는다. 물관의 세포벽에는 곤충의 공기주머니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나사선 모양의 무늬가 있다. 관다발식물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물관 vessel
    식물 조직 중에서 가장 분화된 부분이며, 도관이라고도 한다. 겉씨식물 및 양치류에는 없으나 대부분의 꽃피는식물에서 나타나며, 원시적인 형태의 헛물관(또는 가도관)이 분화되면서 세포 위아래의 양쪽 세포벽이 소실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물관은 세로로 길게 연결된 물관세포들로 이루어졌으며 기다란 원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트로코덴드론목 Trochodendrales
    꽃피는식물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물관세포가 없다. 대신 겉씨식물과 꽃이 피지 않는 식물들이 일반적으로 가지는 보다 원시적인 세포 형태의 헛물관을 가지는데, 이 헛물관은 끝부분에 구멍이 있는 대신 측면에 많은 막공을 가진 긴 방추 모양의 세포이다. 이 세포들은 겹쳐져 층을 이룬다. 목재는 원시적임에도 불구...
  • 목재의 구조
    세포의 공극에 고무나 수지 등이 침전되어 곤충의 침입이나 부패에 견딜 수 있으며 색감도 더 풍부하기 때문이다. ③ 세포형 목재의 기본적인 세포형으로는 헛물관[假導管], 물관[導管] 요소, 섬유, 유조직 등이 있다. 물관부의 진화는 물관요소의 발달을 통해 운송 효율을 높이고 섬유의 발달을 통해 지지구조를 증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포
  • 이입조직 移入組織, transfusion tissue
    침엽수에서 침엽의 관다발 주위를 둘러싸는 내피와 관다발 사이에 분화된 특수한 조직. 살아 있는 유세포(柔細胞)와 벽이 목화하고 벽공(壁孔)이 생긴 헛물관 등이 섞여 결과적으로 헛물관이 그물코모양으로 존재하게 된다.
  • 물관부 xylem
    한다. 물관부는 특수화된 통도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통도조직은 대부분 가늘고 길게 늘어진 속이 빈 세포로 되어 있다. 이들 세포는 기본 세포형인 헛물관을 비롯해 물관·물관부섬유·물관부유조직 등 여러 형태를 하고 있다. 물관부는 성숙한 목본성 줄기와 뿌리의 주요부분을 이룬다. 뿌리끝이나 줄기끝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