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허준 청원(淸源), 許浚1608년(선조 41) 유배 이후 허준은 연구에 전념할 시간을 얻게 되었고, 유배지에서 단시간에 책의 절반 이상을 집필해냈다. 허준은 양생(養生)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 의학이론과 처방의 난맥상을 바로잡고, 향약 사용의 이점을 최대화하며, 최소한의 약의 분량으로 최대한의 의학적 효과를 얻으려는 데 힘썼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과학/의약학
-
허준설화 許浚說話보인다. 중국에 왕진가던 길에 신이한 의료기를 획득했고, 그것이 그의 의술 발전에 결정적인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점은 민간에서 이해하고 있는 허준의 의술과 사상적 배경의 내용에 대해 시사하는 바 크다. 그는 향약을 집성하여 우리 나름의 의학 체계를 수립한 인물이다. 중국행과 관련된 이야기 내용들은 그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사상의학 四象醫學보면, 의학경험이 있은 지 오래되어 염제신농(炎帝神農)씨·황제헌원(黃帝軒轅)씨 시대로부터 내려왔다고 함은 믿을 수 있으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과 『황제내경』 영추(靈樞)·소문(素問)이 신농황제의 손에서 나왔다 함은 믿기 어려우니 그 당시에는 응당 문자가 없었을 것이요 오랜 뒤에 문자가 생겼기 때문...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허준 한의학의 신기원을 이룬 명의이제마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이 나오기 전까지 우리 풍토와 체질에 맞는 유일한 처방전으로 많은 사람의 목숨을 구했고 의학공부에 빼놓을 수 없는 교과서가 되었다. 이 책을 완성한 뒤에도 그는 끊임없이 새로운 의서를 내기에 여념이 없었다. 특히 전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관심을 기울여 이 방면의 저술도 냈다. 그는...
- 출생 :
- 1539년
- 사망 :
- 1615년
-
허준박물관 許浚博物館개설 및 설립목적 허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 전시 · 교육 등을 통해 허준 선생의 숭고한 의학사상과 의학적 업적을 기리고, 한의학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며, 나아가 시민들의 휴식공간과 문화 향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허준의 고향인 서울 강서구에서...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이제마 사상의학의 창시자인간과의 조화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의학도 바로 자연에 내재한 힘을 이용해 인생의 활력으로 삼은 것이다. “내 죽은 뒤 백 년 안에 사상의학이 온 세상을 풍미할 것이다”라고 이제마는 장담했다. 어쨌든 그는 기인다운 풍모로 빛나는 업적을 쌓아 올렸고 우리나라 동의(東醫, 한의학)에서 그는 허준...
- 출생 :
- 1837년
- 사망 :
- 1900년
-
동양의 전통 내과와 외과의학사상은 베다라는 경전, 특히 BC 10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아타르바베다〉에 잘 나타나 있다. 베다 의학은 마술적인 치료로 가득 차 있다. 대략 BC 800~AD 1000년은 인도의학의 황금기이다. 힌두교도들은 인체에는 3가지 신성한 보편적 힘의 소우주적 표현인 3가지 원소가 들어 있다고 생각하여, 그것들을...
-
조선 朝鮮같은 세종 때 일종의 법의학서(法醫學書)인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이 간행되었다. 1610년(광해군 2)에는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동양의학사상 특기할만한 역저인 허준(許浚)의 『동의보감』이 편찬되었다. 또 1798년(정조 22) 정약용이 지은 『마과회통(麻科會通)』에는 우두(牛痘)[^194]의 시술 방법이 기술되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의학 醫學어의 허준(許浚)이 『동의보감』 25권 25책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고금 한의방서의 정화(精華)를 채집한 당시 한의학의 백과전서(百科全書)로서, 그 뒤 일본 및 청나라에서도 여러 차례 번각(飜刻)되어 우리 의학의 실력을 국내외에 알렸다. 그리고 1623년(인조 1)경부터 명나라를 왕래하던 사절들을 통하여 서양의학...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의약학
-
도교 道敎배격하고, 의학에서 추구해야 할 궁극의 이치를 파악하여 당시 의학계의 온갖 지식을 총집결하고, 그 의의의 해명에는 도교의 후생과 실용을 존중하는 정신을...치료방법을 제시하기에 힘썼다. 본말과 정조의 구분이 엄연한 체계에 따라 편찬된 의서이다. 『동의보감』은 허준(許浚)의 주편으로 1612년(광해군 5) 내의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