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촌 향도 현상

다른 표기 언어 離村向都

요약 농민이 다른 산업에 취업할 기회를 얻기 위하여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자본축적과의 관련 속에서 일어난 농촌인구의 도시로의 유출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격차, 농가경제의 악화, 도시취업기회의 증대 등과 같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생활수준·문화복지·교육기회·보건·건강·의료혜택의 차이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대도시로의 이동 인구분포를 보면 1960년 28%, 산업화에 의한 이촌향도가 심했던 1970년 44%, 1975년 52%로 절반을 넘었다. 1992년의 경우 서울을 비롯한 6대 도시의 인구가 전 인구의 47.4%였다. 이와 같은 대도시권에의 인구집중은 농촌·산촌·어촌지대에서의 인구 과소현상으로 인해 과밀.과소라는 불균형은 물론 도시의 주택난·교통난을 비롯하여 최근 특히 이목을 끌고 있는 도시공해의 문제와 직접 관련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이슈 TOP



[Daum백과] 이촌 향도 현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