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내 전자의 구름을 지닌 특정한 종류의 핵.|이것은 양성자수, 중성자수 그리고 원자핵의 에너지 상태에 의해 특징짓는다. 따라서 17개의 양성자와 20개의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는 원자핵인 염소-37(37Cl)은 나트륨-23(23Na : 11개의 양성자와 12개의 중성자로 된 원자핵)이나 염소-35(35Cl:17개의 양성자와 18개의...
핵종(核種, nuclide)은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 수 Z, 중성자 수 N 및 그 에너지 상태로 구분되는 원자 또는 원자핵의 종류이다. 이름 특징 예제 동위 원소(isotope) 같은 양성자 수 탄소-12, 탄소-13 동중성자 원소(isotone) 같은 중성자 수 탄소-13, 질소-14 동중 원소(isobar) 같은 원자량 질소-17, 산소-16, 플루오...
전체의 30%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70% 탱크에는 높은 농도의 오염수가 쌓여 있고, 일부 오염수 보관 탱크에서는 법적 허용치의 5∼100배 높은 농도의 핵종이 발견된 적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ALP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면서 “일본 측은 2050년까지 오염수 방류를 완료하겠다고...
섬광조영술(scintigraphy ) 암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사성핵종을 사용하는 영상법. 암의 진단, 병기 및 치료 반응 평가에 사용된다. 정맥을 통해 방사성 핵종이 소량 흡수되어 다른 장기로 퍼지면서 방출되는 방사선을 특수 카메라로 감지하여 영상을 구성한다. 방사성핵종 스캔이라고도 한다.
안정한 상태(바닥상태)로 가려는 성질이 있다. 한편, 외부에서 에너지를 가해 주지 않아도 본래 원자의 상태가 불안정한 원소들이 있는데, 이들 원소를 방사성핵종(방사성물질)이라고 한다. 이들 방사성핵종의 원자핵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의 원자핵으로 바뀌는 현상이 방사성 붕괴이다. 방사성핵종들은 자연...
일부 방사성 핵종은 지구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난다. 몇 가지 핵종은 별에서 원소들이 생성된 이후의 기간(약 6×109년)에 비교될 만큼 긴 반감기를 가진다. 따라서 그것들은 별에서 생성된 후에 붕괴되지 않았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238U, 235U, 232Th이다. 또 포타슘-40(40K)도 있는데, 이것은 조직의 포타슘...
일반적으로 환경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은 지각이나 우주로부터 기원되는 자연방사성 핵종이 대부분이지만 원자력사고 또는 원자력발전소 운영으로부터 환경에 배출된 인공(man-made) 방사성 핵종도 일부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국제 규범에 따라 제정된 원자력안전법을 통해 원전으로부터 환경으로 배출되는 인공방사성...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방사성핵종이 생성된다. 원자력안전법에서는 이러한 인공방사성핵종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을 방사능 농도와 무관하게 방사성폐기물로 간주하여 관리한다. 환경으로 배출되는 주요 방사성핵종으로는 3H, 14C, 41Ar, 133Xe, 58Co, 60Co, 131I, 137Cs 등이 있다. 이러한 방사성핵종은...
자연방사성핵종은 우리 생활 주변에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인간이 지구상에 나타나기도 전에 이들 자연방사성핵종은 지구의 대기, 물, 토양, 암석, 그리고 생물체내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인간은 방사선의 바다에 살고 있다’는 말처럼 이미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방사성핵종이 존재하며 우리는 그로부터 발생하는...
배출된다. 반감기가 3.8일로 폐에 머무르는 동안 붕괴되는 양은 극히 적다. 라돈에 의한 폐암의 위해를 언급할 때 라돈 그 자체로 인한 피폭보다는 라돈자손핵종에 의한 피폭을 중요하게 보는 것이 타당하다. 라돈의 붕괴과정에서 생성되는 Po-218, Pb-214, Bi-214, Po-214과 같은 라돈자손핵종은 전하를 띤 입자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