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비자 유세하는 일은 쉽지 않다전국시대 말기의 법치주의자. 한나라의 귀족으로 태어났으나 말더듬이인 탓에 등용되지 못했다. 한나라가 위태로워지자 임금에게 충언을 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때 그 답답함을 책으로 쓰는데 바로 이것이 《한비자》다. 진나라 황제는 이 책을 읽고 한비자를 데려오기 위해 전쟁도 불사했다. 한비자에 대한 진...
- 출생 :
- BC 280
- 사망 :
- BC 233
- 국적 :
- 중국
- 대표작 :
- 《한비자》
-
-
한비 (관련어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韓非전국 시대 말 한나라 안왕의 서자로, 법가 사상을 집대성했다. 법, 세, 술로 군주의 권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대작 《한비자》를 저술하여 진시황제의 천하 통일에 큰 영감을 주었고, 한나라 시대까지 역대 왕조의 통치 이념에 영향을 주었다. 진나라의 승상 이사의 견제로 독을 마시고 자결했다. 법치주의를 집대성하...
- 출생 :
- BC 280
- 사망 :
- BC 233
-
중국 전통을 확립하다, 제자백가 출현맹자가 공자의 인(仁) 사상을 계승하여 정치를 이끄는 데 치중했던 반면, 순자는 예(禮) 사상을 계승하여 후에 법가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다. 법가는 한비자(韓非子)가 신불해(申不害)와 신도(愼到), 상앙(商鞅)의 학설들을 종합하여 집대성한 것으로 유가가 제창한 인의와 예악의 교화로 세상을 다스리는 것을 불가능...
- 시대 :
- BC 770
-
춘추전국시대, 한조연초의 형세자랑하였다. 신불해는 상앙과 동시대의 사람으로 형명학(刑名學)을 공부한 법가였으나 사마천은 신불해의 학문이 황제·노자로부터 나왔다 하여 노자·장자·한비자(韓非子)와 함께 취급하고 있다. 신불해는 《신자(申子)》라는 저서를 남겼다고 《사기》에 기술하고 있으나 그 저서는 일찍이 유실되었기 때문에 그의...
-
춘추전국시대, 진의 천하통일3년 전 진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한나라를 치자 한왕(유방)은 공자 한비(韓非)를 사자로 보내어 한나라의 위기를 모면하려 하였다. 이 사람이 유명한 《한비자(韓非子)》의 저자 한비이다. 당시 진나라의 재상은 이사(李斯)였는데 한비와 이사는 모두 성악설(性惡設)의 개조(開祖)인 순자(荀子)에게 수학한 동문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