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비자 유세하는 일은 쉽지 않다
    전국시대 말기의 법치주의자. 한나라의 귀족으로 태어났으나 말더듬이인 탓에 등용되지 못했다. 한나라가 위태로워지자 임금에게 충언을 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때 그 답답함을 책으로 쓰는데 바로 이것이 《한비자》다. 진나라 황제는 이 책을 읽고 한비자를 데려오기 위해 전쟁도 불사했다. 한비자에 대한 진...
    출생 :
    BC 280
    사망 :
    BC 233
    국적 :
    중국
    대표작 :
    《한비자》
  • 한비자 韓非子, Hanfeitzu
    한비자의 전제정부에 관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은 진나라의 시황제는 이를 통일국가 진의 정치원리로 삼았다. 그의 이름을 따라 한비자로 명명된 그의 저서는 당시 법가 이론의 총괄이다. 그는 전국시대(BC 475~221)의 약소국이었던 한나라의 귀족 출신이었다. 한비자는 유가인 순자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나, 나중에 순...
    출생 :
    미상
    사망 :
    BC 233
    국적 :
    한(漢),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한비자 Han Feizi, 韓非子
    다른 뜻 《한비자》(韓非子)는 중국 전국 시대 한비 등이 쓴 책으로 법가 사상을 집대성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중국 고전시대 다른 많은 책처럼 집단적 저작물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편장은 어느 정도의 일관성 아래에 포괄될 수 있는 부분들임이 명백하다. 이 책은 총 55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편장들은 몇 가지...
    도서 위키백과
  • 한비 (관련어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韓非
    전국 시대 말 한나라 안왕의 서자로, 법가 사상을 집대성했다. 법, 세, 술로 군주의 권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대작 《한비자》를 저술하여 진시황제의 천하 통일에 큰 영감을 주었고, 한나라 시대까지 역대 왕조의 통치 이념에 영향을 주었다. 진나라의 승상 이사의 견제로 독을 마시고 자결했다.|법치주의를 집대성하...
    출생 :
    BC 280
    사망 :
    BC 233
  • 한비자 韓非子
    중국 법가 사상을 대표하는 책.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인 한비와 여러 인물이 쓴 책이다. 한비로 대표되는 법가(法家)의 사상을 잘 보여주는 책이다. 당대에 유행하던 사상인 인륜과 예의를 중시했던 유가와 도가, 묵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에서 출발했으며, 강력한 법치주의를 통해 국가를 운영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한비자의 정치사상
    한비자는 정치제도란 반드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유가처럼 과거의 낡은 제도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사회에 속하는 사람들의 풍습은 도덕적 감성이 아니라 그 사회의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변화하며, 정치제도는 당연히 이것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흉년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한비 Han Fei, 韓非
    유교 한비(韓非, 기원전 280년? ~ 기원전 233년)는 《한비자》를 저술한 전국 시대 중국의 정치철학자, 사상가, 작가이다. 한비의 생애는 불분명하다. 알려진 정보의 거의 전부가 실린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그는 한(韓)나라의 공자 가운데 한 명으로 일찍이 형명과 법술을 익혀 중앙집권적 제국의 체제를 적극적...
    도서 위키백과
  • 중국 전통을 확립하다, 제자백가 출현
    맹자가 공자의 인(仁) 사상을 계승하여 정치를 이끄는 데 치중했던 반면, 순자는 예(禮) 사상을 계승하여 후에 법가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다. 법가는 한비자(韓非子)가 신불해(申不害)와 신도(愼到), 상앙(商鞅)의 학설들을 종합하여 집대성한 것으로 유가가 제창한 인의와 예악의 교화로 세상을 다스리는 것을 불가능...
    시대 :
    BC 770
  • 춘추전국시대, 한조연초의 형세
    자랑하였다. 신불해는 상앙과 동시대의 사람으로 형명학(刑名學)을 공부한 법가였으나 사마천은 신불해의 학문이 황제·노자로부터 나왔다 하여 노자·장자·한비자(韓非子)와 함께 취급하고 있다. 신불해는 《신자(申子)》라는 저서를 남겼다고 《사기》에 기술하고 있으나 그 저서는 일찍이 유실되었기 때문에 그의...
  • 중국문학의 기원
    철리산문은 제자백가(諸子百家) 각각의 학술과 사상을 설파한 것으로 〈노자 老子〉·〈논어 論語〉·〈맹자 孟子〉·〈장자 莊子〉·〈묵자 墨子〉·〈한비자 韓非子〉 등이 있다. 〈서경〉은 서사(誓辭)·정령(政令)·서찰 등과 단편적인 사건기록을 포함한 고대국가의 정부 문건을 모아놓은 것이다. 〈좌전〉은 노(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춘추전국시대, 진의 천하통일
    3년 전 진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한나라를 치자 한왕(유방)은 공자 한비(韓非)를 사자로 보내어 한나라의 위기를 모면하려 하였다. 이 사람이 유명한 《한비자(韓非子)》의 저자 한비이다. 당시 진나라의 재상은 이사(李斯)였는데 한비와 이사는 모두 성악설(性惡設)의 개조(開祖)인 순자(荀子)에게 수학한 동문이었다...
  • 理, li
    사물의 조리·법칙을 가리킨다. 〈장자 莊子〉 천하 편에서는 "천지의 미(美)를 판단하고, 만물의 이치를 분석한다", 〈한비자 韓非子〉에서는 "만물은 각각 이(理)를 달리하나, 도(道)는 만물의 이에 다다른다"라고 했다. 왕부지의 〈정몽주 正夢注〉에서는 "이라는 것은 하늘이 드러낸 질서이다"라고 했는데, 이것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한비자
한비자
한비자(韓非子)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이야기의 숲에서 한비자를 만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