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의 대륙붕
    한국은 반도로서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육지면적의 약 3.5배에 달하는 대륙붕이 있으며, 각 해역의 대륙붕은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다. 서해의 대륙붕은 수심이 100m 이내이고, 수심 30~50m에서의 경사는 약 0.1°로서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3개 대륙붕지역 중 가장 넓다. 서해 대륙붕의 해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륙붕 (관련어 한국의 대륙붕) 大陸棚, continental shelf
    대륙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넓고 비교적 얕은 해저평탄면.|대륙붕은 전형적으로 해안에서부터 수심100~200m 지점까지 펼쳐져 있으며, 대부분 갑자기 수심이 증가하는 대륙붕단(大陸棚斷)에서 끝난다. 대륙붕단의 외양쪽으로는 급경사의 대륙사면(大陸斜面)이 존재하며, 수심이 대략 4,000~5,000m인 지점에서 대륙대(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륙붕 大陸棚
    200m 이내의 얕고 기복이 적은 평탄한 해저지형을 말하며, 그 외연부(外緣部)는 급경사로 하강하는 대륙사면(大陸斜面)으로 되어 있다. <대륙붕에 관한 협약>에서는 대륙붕을 ① 연안에 인접하되 영해 밖에 있는 해저구역(海底區域)의 해상(海床) 및 해저지하로서, 상부 수역의 수심이 200m까지의 것, 또는 그 한도를...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한일대륙붕협정 韓日大陸棚協定
    일본측이 중복을 주장한 지역은 서남해의 5·7광구였다. 이에 정부는 한국이 설정한 광구는 국제법원칙에 따라 확정된 것으로 한국해안의 자연적 연장 범위 안에...교환을 반대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취하였다. 이에 따라 1970년 11월부터 대륙붕 문제를 둘러싼 일본과의 교섭이 시작된 이래 1차의 외상회담, 4...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한국의 석유산업
    그 주변을 9개 소광구로 세분해 한·일공동개발지역으로 정하고, 1972~89년에 외국 석유회사들과 함께 14개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했다. 1990년대 후반까지 한국의 연안대륙붕에서 20여 개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했는데, 이 중 1999년 6∼7월 울산 앞바다에서 60㎞ 떨어진 대륙붕에서 천연 가스층을 발견해 2002년 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한일 대륙붕 협정 해저 영토 주권 넘어가나
    1974년 1월 30일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대륙붕 협정을 맺었다. 2개 협정, 5개 부속 문서로 이루어진 대륙붕 협정의 골자는 제주도 남부 해역 공동개발. 분쟁의 초점이었던 영유권 주장을 서로 덮어둔 채 해저 자원 공동개발에 합의한 것이다. 협정은 '제7광구에서 기름이 솟을 것'이라는 꿈을 안겨주었다. 대륙붕에...
  • 한국의 어장
    새우·젓새우·꽃게 등의 갑각류가 있다. 남포·용암포·인천·군산 등이 주요어항이며, 조차가 커서 독(dock)이나 뜬다리 등의 항만시설이 필요하다. 남해 한국 최대의 어장으로 평균수심 100m 내외의 대륙붕으로 되어 있다. 여름철에 난류 세력이 강해지면 표면 수온은 30℃까지 높아지고, 연안을 제외하고는 겨울에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바다
  • 대륙붕석유개발 大陸棚石油開發
    행해졌다. 그후 1970년대에는 미국 알래스카 연안, 캐나다의 북빙양과 북해, 시베리아 서안, 인도네시아 연안, 오스트레일리아 연안 등에서 개발되었다. 한국에서는 1970년 1월 1일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을 제정·공포했고 남해와 서해를 크게 7개 광구로 나누어 조광권자를 설정했다. 이로써 국내 대륙붕 해저석유광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한일대륙붕협정 韓日大陸棚協定
    양국에 인접한 대륙붕 북부지역의 경계확정에 관한 협정' 및 이 두 협정의 부속문서로 이루어졌다. 이 두 협정은 1970년 1월 1일 제정된 '해저광물자원 개발법...양측이 합의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협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한국이 설정한 광구와 일본이 주권을 주장하는 중복부분을 공동개발구역으로 한다. 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한국의 화산활동
    개요 한국의 화산활동은 주로 신생대 제4기 홍적세에 들어 활발해졌고, 이때 백두산과 그 주변의 용암대지, 철원·평강 용암대지, 신계·곡산 용암대지, 제주도·울릉도 등의 화산지형을 형성했다. 백두산과 제주도에서는 분화가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울릉도에서도 현세(現世)에 들어와서 화산쇄설물을 분출시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 한국의 수산업
    개요 한국은 아시아 대륙의 북동부에 위치한 반도로서, 3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 해안선의 총연장은 8,693km이며, 섬을 합하면 2만 5,962km이다. 간석지의 넓이는 6,575㎢, 대륙붕의 총넓이는 약 30만㎢에 달한다. 세계 주요어장의 하나인 태평양 북부 어장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한국의 연근해에는 한류와 난류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대한민국의 위치와 영역
    33° 06′이다. 한국의 영토는 9만 9,221㎢로서 오스트리아·헝가리·아이슬란드·불가리아·포르투갈·리베리아·쿠바·과테말라·온두라스 등과 면적이 비슷...독도에서는 이들 섬의 해안으로부터 12해리, 대한해협에서는 가장 바깥 섬에서 3해리의 수역이 영해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영해 바깥 대륙붕의 광구설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