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민속 종합조사보고서 韓..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에서 간행한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 조사 보고서. 조사보고서.|내용 B5판. 양장본. 1969년부터 1981년까지 각 시 · 도별로 간행하였고, 1982년부터 1987년까지는 분류별로 간행하였다. 제1책은 전라남도편(1969), 제2책은 전라북도편(1971), 제3책은 경상남도편(1972), 제4책은...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음악학 音樂學
    기초자료들이다. 그 이외에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玟英)의 『가곡원류 歌曲原流』(1973), 문화재관리국(文化財管理局)(현, 국가유산청)의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1969∼1979), 진성기(秦聖冀)의 『한국의 무악(巫歌)』(1968), 김태곤(金泰坤)의 『한국무가집 韓國巫歌集』(1971) 등과...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대보름달은 이제 보장된 봄기운을 지상에다 옮겨놓는 주술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물론, 정월대보름날의 세시풍속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예컨대,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남도편)에는 대보름의 행사로 자그마치 80여가지가 보고되어 있을 정도이다. 그 80여가지가 한 동아리로 묶여서 재연될 대보름날의 서낭굿...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문신 수문장신, 門神
    풍습이 시작되었고, 고려 예종 때는 도교가 들어와 문신상을 세웠다. 설날·입춘·단옷날에 그림이나 글씨를 대문짝에 붙이는 민속은 도교의 풍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문신의 개념이 중요한 제주도를 제외하고, 육지에서의 문신풍속은 서울이 중심이 된다. 가옥구조에서 대문의 비중...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기우제 祈雨祭
    있으면 이것을 드러내 놓는다. 이것 또한 산신에게 비를 내리고 부정을 씻게 하려는 부정화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작성된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를 보면, 이러한 기우제들이 거의 자취를 감추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노인들의 체험담을 통해서 묘 파기 · 부정화 · 산상...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헛제삿밥 허제반(虛祭飯), ─祭祀─
    대구부 안에서 이를 모방하여 맛을 내어 시장의 가게에서 판매하며 이름을 헛제삿밥이라고 하였다”고 하면서, 허제반(虛祭飯)이라고 불렀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에는 “진주에는 30∼40년 전에 헛제삿밥이라는 별호를 붙여 아무런 제사도 아닌데 밤중에 음식점에서 제삿집과 똑같은 음식을 마련하여 팔았다고...
    시대 :
    조선후기
    성격 :
    식생활, 향토음식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식생활
  • 장태 매태(埋胎), 藏胎
    묻기에 좋은 땅으로는 볕이 잘 들고, 높고 고요한 곳이 선호되었다. 현황 1960년대 이전 각 지역별 출산 관행과 태 처리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인들이 태를 처리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한국 사회에서 병원 출산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는 1980년대 이전까지 한국인...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서울특별시 서벌(徐伐), 서울特別市
    진관조사는 진관사(津寬寺)를 창건하였다. 왕권과 관련을 맺은 연기담이다. 수락사(水落寺)는 원광법사와 인연을 맺고 있으며, 나중에 덕흥대원군의 원찰(願刹)로 선조에 의해 흥덕사로 명명되었다. 개운사(開雲寺) · 사자암(師子庵) · 내원암(內院庵)의 연기전설도 매우 흥미롭다. 인물전설로는 「임경업전설...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한국문화인류학회 韓國文化人類學會
    프랑스 등의 외국 인류학자들을 초청하여 서울에서 한국문화에 관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학회가 주관한 공동연구로는 전국민속종합조사를 1969년부터 1980년까지 매년 실시하여 한국의 9개 도와 1개 특별시 및 이북 5도를 모두 완료하고 보고서를 간행하였으며, 1969년에 한국 생활문화실태조사를 행하여 보고서...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설립 :
    1958년 11월 19일
    성격 :
    학술단체, 학회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한국구비문학대계 韓國口碑文學大系
    大系)』가 간행되기 이전의 구비문학자료 조사로는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이 주관하고 한국문화인류학회가 대행한 『한국민속종합보고서』가 있었다. 그러나 조사 지역이 한정적이었고 채록 보고된 자료의 양도 매우 적었다. 그 밖에도 각 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실시한 현지...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민속학 民俗學
    조사 보고서의 출판과 분류 색인 등이 만들어졌다. 이를 통해 일본에서 민속학이 독립 과학으로서 발전할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 민속학이라는 말이...것은 전후(戰後)의 일이며, 1949년 ‘민간전승회’가 ‘일본민속학회’로 개칭하고부터이다. 일본 민속학은 민족의 생활 양식이나 상민(常民) 문화 전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일본 日本
    조사보고서가 간행되었다. 『조선의 연중행사』(1911) · 『조선의 귀신(朝鮮の鬼神)』(1919) · 『부락제(部落祭)』(1927) · 『조선의 유사종교 朝鮮の類似宗敎』(1925) · 『조선의 점복과 예언(朝鮮の占卜と豫言)』(1926) · 『조선의 수수께끼(朝鮮の謎)』 (1911) · 『조선의 속담집(朝鮮の俚諺)』(1926...
    유형 :
    지명/국가
    분야 :
    정치·법제/외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