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광복군 (동의어 한국광복군) 광복군, 韓國光復軍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되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 연원 및 변천 약칭 광복군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군대를 창설한다는 원칙하에, 1919년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를 제정하여, 군대의 편제와 조직에 관한 법규를 마련하였다. 이와 함께 임시정부는 1919년 말 상하이[上海]...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40년
- 성격 :
- 군대, 군사조직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6년 6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
한국광복군 군복 韓國光復軍 軍服로 지정되었다. 광복군 예비대의 정식 명칭은 ‘재중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예비대(在中大韓民國臨時政府光復軍豫備隊)’로 광복 이후에도 귀국하지 않은 한국광복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의 환국 준비 등을 위해 1945년 9월에 국내에서 결성된 조직이다. 따라서 이 유물은 1945년 9월을 전후하여 제작된 것...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장,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27년간 줄기차게 ..조경한(趙擎韓), 오광선(吳光鮮) 등 한국독립군 장병 40여 명이 임시정부와 연계되어 중국 관내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중국 관내지방으로 이동,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취임 장군은 난징(南京) 등 중국 남부지방으로 간 뒤 1934년 3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뤄양(洛陽)분교 한인특별반의 총책임자가 되어 한인 청년...
- 출생 :
- 1888년 1월 25일(음력), 서울
- 사망 :
- 1957년 1월 15일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194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한국광복군 선언군사 조직법에 의거하여 중화민국 총통 장 제스(蔣介石) 원수의 특별 허락으로 중화민국 영토 내에 광복군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22년(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함을 자(慈)에 선언한다. 한국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우리 두 나라의 독립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 시기 :
- 1940년
-
무장독립투쟁을 견지한 군인, 대한민국 공군 창설의 주역, 최용덕 崔用德활약하였다. 이처럼 선생은 중국 공군으로 일제와 전투에 직접 참전하여 맞서 싸웠고, 중국 공군의 확장과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에서 활약하다 선생은 중화민국 공군으로 활약하면서 지속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32년 중국 남경(南京)에서 윤기섭(尹琦燮), 성주식(成周寔...
- 출생 :
- 1898년 9월 19일
- 사망 :
- 1969년 8월 15일, 서울 성북동
- 수상 :
- 독립장 1962
-
한국광복군의 근간, 청년 독립운동가, 이재현 ・ 한형석 ・ 송면수 李在賢 ・ 韓亨錫 ・ 宋冕秀한국광복군 창설에 호응한 청년 독립운동가 1940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하였다. 하지만 외국 땅에서 망명 정부의 군대를 창설한다는 것, 국내와 유리된 상황에서 병력을 모집한다는 것 모두 광복군 창설의 난관들이었다. 임시정부는 중국 국민정부에 의해 제약되었던 광복군에 대한...
- 출생 :
- 이재현 1917년한형석 1910년송면수 1910년
- 사망 :
- 이재현 1997년한형석 1996년송면수 1950년
- 포상훈격 :
- 이재현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한형석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송면수 1992년 건국훈장 애국장
-
장준하 張俊河평안북도 삭주 출생. 아버지는 장로교 목사인 장석인(張錫仁)이다. 1944년 일본군에 징집되어 중국 쓰저우[徐州] 지구에 배속되었으나 6개월 만에 탈출해 한국광복군 간부훈련반에서 훈련을 받았다. 1945년 1월 충칭[重慶]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도착하여, 곧바로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배속되었다. 특히 미국 전략...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이범석 李範奭參議級) 고급참모(중국군 소장), 중국군 제3집단군 55군 군단참모처장, 1940년에는 중국군 중앙훈련단 중대장을 거쳤다. 1940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한 뒤에는 제2지대장으로서 미국군과 합동작전에 참가하였고, 1945년에는 광복군의 참모장(중장)이 되었다. 1945년 8월 18일에는 광복군...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0년
- 사망 :
- 1972년
- 경력 :
- 광복군 참모장, 국무총리, 국방부장관, 주중국대사, 내무부장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족청계 숙청
- 직업 :
-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 대표작 :
- 방랑의 정열, 민족과 청년, 우등불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전주(全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