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포스트휴먼 경계적 존재, 몸은 상상의 네트워크다
    포스트휴먼을 상상하다 과연 호모사피엔스가 인류 진화의 종착역일까? '포스트'라는 접두사는 무엇 다음에 오는 것, 후속적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현대에는 각종 '포스트'가 범람한다.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페미니즘을 비롯해 포스트지놈시대, 포스트휴먼이라는 새로운 용어들이 등장하고...
  • 포스트휴먼 (관련어 포스트 휴먼) Posthuman, ポストヒューマン (人類進化)
    포스트휴먼(Posthuman 또는 Post-human)은 SF (장르), 미래학, 현대 미술, 철학 등의 분야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인간이 아닌 상태에 존재하는 개인이나 실체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윤리와 정의, 언어와 종간 의사소통, 사회 시스템, 학제간 지적 열망을 포함한 다양한 질문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휴머니즘...
    도서 위키백과
  • 사이보그 경계적 존재, 몸은 상상의 네트워크다
    경계의 융합, 사이보그 포스트휴먼 단계에서는 모든 상상력이 허용될 것 같다.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넘어 종의 경계까지도 허물어질 것으로 상상된다. 포스트휴먼에 대한 상상에는 비단 소설가나 창작자들뿐만 아니라 과학자, 철학자들까지도 합세하고 있다. 이것은 모든 미래사회 인간에 대한 상상은 과학기술과 긴밀...
  • 잡종인간 경계적 존재, 몸은 상상의 네트워크다
    포스트휴먼에 대한 또 다른 재미있는 상상력의 예를 보자. 미래 포스트휴먼에 관한 SF소설 《완전변이세대》는 종의 경계에 관한 이야기다. 옥타비아 버틀러의 이 작품은 지구의 멸망 이후 과연 인간이라는 종의 경계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상상한다. 《완전변이세대》는 삼부작 《새벽》 《성인식》 《성충》으로...
  • 트랜스휴먼 포스트휴먼 상상, 미래의 몸을 열다
    인간 모습이 진화의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을 강조하면 '트랜스휴먼'을 내세운다. '트랜스'는 말 그대로 과도기를 의미하는데, 트랜스휴먼은 궁극적으로 포스트휴먼 단계에 이르기 위한 과도적인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현대의 몸은 '트랜스' 과정 어디쯤에 놓여 있으며, 그 종착지는 과연 어디일까? 트랜스...
  • 트랜스휴머니즘 transhumanism
    뜻을 갖게 되었다. 트랜스휴머니즘 사상가들은 인류가 더 확장된 능력을 갖춘 존재로 자신들을 변형시킬 것이라고 예언하면서, 이렇게 변형된 인간을 ‘포스트휴먼 (posthuman)’이라고 이름 붙였다. 또한 트랜스휴머니즘을 상징하는 기호로 H+를 쓴다. 인류를 인위적으로 변형시킨다는 트랜스휴머니즘의 전망은 기술의...
  • 몸의 경계를 상상하다 몸, 마르지 않는 상상력의 원천
    과연 인간 고유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자연과 동물, 기계에 대해 지금과 같은 우월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 • 몸과 경계 • 인간의 세 종류 • 트랜스젠더 • 양성의 뒤샹과 로즈 셀라비 • 경계 없는 몸의 연금술 • 몸과 기계의 융합 • 상상의 네트워크로서의 몸 • 포스트휴먼 • 사이보그 • 잡종인간
  • 몸 안을 상상하다 몸, 마르지 않는 상상력의 원천
    몸에 기원에 대한 상상, 몸 안의 신비한 영토를 상상하는 여행은 상상 그 자체를 상상하는 상상력으로 오늘날 포스트휴먼 시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 기이한 상상력들에서 우리는 우리 몸이 상상하는 대로의 몸을 본다. 과거 오랜 시간 몸은 상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장소였지만, 바야흐로 머나먼 신화 속의 몸...
  • 백종현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2015년 8월 ~ 2016년 7월 : 한국철학회 회장, 이사장 2015년 9월 ~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2015년 9월 ~ 2017년 12월 : 제1대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 2018년 1월 ~ 2019년 12월 : 제2대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 2003년 제3회 서울대 교육상 2006년 한국출판문학상 번역부문 - 순수이성비판 완역...
    도서 위키백과
  • 트랜스휴머니즘 Transhumanism, トランスヒューマニズム
    뜻을 갖게 되었다. 트랜스휴머니즘 사상가들은 인류가 더 확장된 능력을 갖춘 존재로 자신들을 변형시킬 것이라고 예언하면서, 이렇게 변형된 인간을 “포스트휴먼”(posthuman)으로 이름붙였다. 그래서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같은 뜻으로 쓸 때도 있다.Miah, Andy (2007) 웹아카이브 인류를 인위적으로...
    도서 위키백과
  • 트리샤 헬퍼 Tricia Helfer, トリシア・エルファー
    헬퍼(Tricia Helfer, 1974년 4월 11일 ~ )는 캐나다의 모델 및 배우이다. 베드타임 스토리 (2017) 런 라이크 헬 (2015) 37 (2014) 오서즈 어나니머스 (2014) 포스트휴먼 (2012) 야망의 함정 (2012) 배틀스타 갤럭티카: 블러드 앤 크롬 (2012) 더 포저 (2012) 블러드워크 (2011) 비기너스 가이드 투 엔딩 (2010) 오픈...
    도서 위키백과
  • 웨이킹 라이프 Waking Life, ウェイキング・ライフ
    등장한다. 실존 위기를 겪는 무명의 청년인 주인공을 비롯한 다양한 인물들이 형이상학, 자유의지, 사회철학, 삶의 의미, 실존주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포스트휴먼, 앙드레 바쟁의 영화 이론, 자각몽 등을 논한다. 후에 주인공은 자신이 종종 거짓 깨어남이 일어날 뿐인 영구한 꿈 속에 갇혀 있다는 걸 깨닫는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사이보그 사슴
자동 오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