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잔틴건축, 펜덴티브 돔 Pendentiv..펜덴티브 돔은 그리크 크로스의 정사각형 크로싱 위에 원형 천장인 돔을 얹는 기술이다. 그리크 크로스는 평면 배치의 종류인데 이것이 벽과 지붕까지 갖춘 3차원 건물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펜덴티브 돔이 필수적이다. 로마를 비롯한 서양 건축에는 없던 비잔틴건축만의 첨단 발명품인데 관건은 정사각형 위에 원형 천장...
-
바로크 건축, 아르두앙 망사르 ・ 루이 14세생루이 교회는 상이군인용으로 바실리카형인데 누구의 작품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돔은 왕실용으로 아르두앙 망사르의 작품이다. 그리크 크로스와 펜덴티브 돔의 전형적인 중앙집중형으로 기본 골격을 짠 다음 그랜드 매너로 치장을 해서 왕실 고전주의의 전형을 보여준다(도 7-73). 평면에서는 펜덴티브를...
-
바로크건축, 후기 바로크독립 원형 기둥이 벽면을 받치며 서 있는 점인데 이것은 예배당에 베르니니의 장경주의를 구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천장은 펜덴티브 돔을 기본 골격으로 삼아 변형시켰다. 펜덴티브를 외벽보다 안쪽에 놓아서 네 모서리에 타원형 공간을 넣을 수 있게 했는데 이런 처리로 인해 실내 공간에 부분 겹 공간이 생겨났다...
-
비잔틴건축, 하기아 소피아 성당 아야소피아 성당, Hagia Sophia반원형 애프스 공간을 추가로 더했다. 애프스를 이루는 외벽에는 열주 스크린을 세워 모퉁이 공간과 소통이 일어나도록 했다. 크로싱에는 표준형 펜덴티브 돔으로 완전한 반구 천장을 만들어 덮었다. 제일 관건은 크기였다. 유스티니아누스의 야심에 맞게 되도록 크게 만들고 싶어 했는데 전체 윤곽은 가로 69미터, 세로...
-
19세기 건축, 부알로와 라브루스트 19세기 구조 합리주의내력 부재와 피내력 부재를 각각 철물과 석재로 분리한 이런 처리는 '다이어그램식 고전주의'라 부를 수 있다. 하중의 흐름과 역학 작용이 복잡한 펜덴티브 돔의 구조 체계를 다이어그램처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단순화했다는 의미로 이것이 라브루스트가 본 철물 구조의 새로운 가능성이었다. 이것을 극대화하기...
-
비잔틴건축, 그리크 크로스와 비잔틴 중앙집중형유스티니아누스가 완성한 비잔틴 건축 내용은 그리크 크로스의 평면 구성과 펜덴티브 돔의 구조 기술로 요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 두 가지를 실제 건물에 혼합, 응용해서 이전에 서방의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는 보지 못했던 다양하고 새로운 교회 공간과 구조 공법을 창출해냈다. 그리크 크로스는 네 팔의 길이가...
-
18세기 건축, 존 손과 링컨스 인 필즈크로스, 사엽형, 반원형, 타원형, 열주 홀, 이집트식 홀 등으로 기하 형태와 실내 골격을 다양화했다. 이것을 3차원 공간으로 만드는 구조 골격도 펜덴티브 돔, 접시형 돔, 배럴 볼트, 그로인 볼트, 평천장, 2분의 1 반구, 우산형 돔 등으로 다양하게 구사했다(도 8-54). 링컨스 인 필즈는 손 개인의 작품 가운데서...
-
르네상스 건축, 구 성물안치소 ・ 파치 예배당 Sagrestia Vecchia공간의 중심에 세워 초점을 형성해 인본주의의 기본 개념을 건축적으로 해석해냈다. 셋째, 브루넬레스키 특유의 실용적, 종합적 역사관이 돔에서 반복되었다. 돔은 겉으로는 펜덴티브 구조처럼 보이나 실제는 자신이 발명한 리브앤드웹 방식으로 쌓았다(도 6-9). 플라잉 버트레스 형식의 리브를 방사선 방향으로 배열한...
-
비잔틴건축, 5 ・ 6세기 라벤나플리치디아의 원형 무덤은 십자가형 평면을 하고 있다. 네 팔 부분은 배럴 볼트로 천장을 마감했고, 중심의 정사각형 크로싱 부분은 이 위로 더 솟아올라 펜덴티브 돔으로 천장을 처리했다(도 3-51). 이런 공간 구성은 소아시아 지방의 건축 기법이다. 조적 기술은 밀라노의 영향을 받았다. 외벽을 분할하는 블라인드...
-
바로크 건축, 베르나르도 안토니오 비토네 기하 파노라마와 유형분류켜의 복합성 혹은 겹 수, 기능 할당 등이 중심요소였다. 몸통 구조에서는 돔을 받치는 내력 구조의 종류(기둥, 벽기둥, 벽체)와 실내 벽의 아치 형식 등이 중심...골격 방식(표준 쿠폴라, 리브 네트워크, 둥글게 잘라낸 펜덴티브, 역스퀸치, 천공 펜덴티브) 등이 중심 요소였다(도 7-45, 7-46). 빌라노토(Vilanotto)의...
-
르네상스 건축, 산조르조마조레 ・ 일레덴토레 종교적 통합약한 대신 성소를 '크로싱-제단-사제석-완충 지대-성가대석-애프스'로 길게 늘여 교회 전체로 보면 아주 긴 선형공간을 이루었다. 중앙집중형은 크로싱의 펜덴티브 돔, 종 방향으로 확장된 트랜셉트, 그리크 크로스, 사각형 모듈 등을 사용했다. 두 공간 유형의 혼합은 고딕 평면과 르네상스 평면을 섞은 것인데 종교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