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출부 가사도우미, 派出婦시간제 또는 일일 고용 형태로 가정과 계약을 맺고 가사를 전담하거나 보조하는 여자. 가사도우미 내용 파출부가 하는 일은 크게 세탁·청소·요리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밖에 바느질·장담그기·아기보기 등의 일을 맡기도 하는데, 현재는 간병을 제외하고는 가정의 모든 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YWCA에서는 1985년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가사관리사가정을 방문하여 청소, 세탁, 요리 등의 가사 업무를 대행한다. 수행직무 일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정을 방문하거나 일정 기간 고용되어 집안일을 돕는다. 가정의 화장실, 거실 등의 집안을 청소하고, 가재도구의 먼지를 제거하는 등 집안을 정리·정돈한다. 의복, 이불 등을 세탁·건조하고 다림질한 후 정돈한다....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1개월 초과 ~ 3개월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비교
- 직무기능(사람) :
- 서비스 제공
- 직무기능(사물) :
- 단순작업
- 유사명칭 :
- 파출부, 가정부, 가사보조원, 가사도우미
- 고용직업분류 :
- [5616]가사 도우미
- 표준직업분류 :
- [9511]가사 도우미
- 표준산업분류 :
- [T970]가구 내 고용활동
- 조사연도 :
- 2017년
-
가정부 家庭婦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미혼여성인 가정부는 점차 사라지고, 주로 기혼의 도시 부녀들이 출퇴근하며 가사를 도와주는 파출부제도가 확산되었다. 가정부와 파출부가 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파출부는 임금을 시간당으로 계산하며 알선기관에 등록하고 회비를 내는 반면, 가정부는 월급제이며 혈연 · 지연 등의 연줄을 통해...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백정 白丁조선시대 초기에 천민 계층의 불평을 없애기 위해 그들을 병정(兵丁)에 편입시키면서 관에서 붙이는 호칭으로 쓰였다. 청소부를 환경미화원, 식모를 파출부, 간호원을 간호사 등으로 고쳐 부르는 것과 같은 식이었다. 하지만 평민을 가리키던 이 말은 곧 천민을 상징하는 말로 격이 떨어졌다. 바뀐 뜻 조선시대 후기에...
-
월간조선 月刊朝鮮1982년 5월호), 「의령 궁류면 참사현장」(1982년 6월호), 「서울과 동경 14년-박정희(朴正熙)·사토정권의 외교드라마」(1982년 7월호), 「시간강사-대학의 파출부」(1982년 9월호), 「실록 김창룡(金昌龍)」(1982년 10월호), 「경기고와 서울고」(1983년 2월호), 「월남파병」(1983년 8월호) 등이 실렸다. 이러한 글들...
- 시대 :
- 현대
- 성격 :
- 잡지, 월간종합잡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조선일보사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붕어빵을 굽도다... 천국에서처지의 미애에게 붕어빵 굽는 일을 가르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그 와중에 창숙은 은행의 채무로 길가로 나앉을 위기에 처한다. 고심 끝에 창숙은 파출부 일을 하면서 비행기 사고로 엄마를 잃은 소희를 만난다. 소희는 엄청난 유산 상속자지만 늘 요양원에 있는 아빠를 그리워하며 산다. 어느날 창숙은 소희를...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