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 Tiglath-pileser..BC 8세기에 활동한 아시리아의 왕(BC 746~727 재위). 아시리아 영토를 마지막으로 최대한 팽창시켰다. 시리아·팔레스타인을 복속시켰고, BC 729(또는 728)년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왕국을 합병했다(메소포타미아, 근동). 티글라트 필레세르의 아버지 아다드 니라리 3세의 통치기부터 북방의 인접국 우라르투가 지중...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국적 :
- 아시리아
-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Tiglath-Pileser..티글라트 필라세르 3세(투쿨티 아필 에사라)는 기원전 8세기의 아시리아의 왕(제위 기원전 745~727)이다. 그는 신 아시리아 제국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생전에 시리아를 포함한 고대 아시리아인에게 알려진 대부분의 세계를 정복하였다. 성경 중 열왕기하에서는 디글랏 빌레셀로 부르며, 불로도 기록한다. 티글라트-필레...도서 위키백과
-
Tiglath-Pileser III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ティグラト・ピレセル3世Tiglath-Pileser III (from the Hebraic formSpelled as "Tiglath-Pileser" in the Book of Kings and as "Tilgath-Pilneser" in the Book of Chronicles . of Akkadian: Tukultī-apil-Ešarra, "my trust is in the son of Esharra") was a prominent king of Assyria in the eighth century BCE (ruled 745–727 BCE) ...출처 영어 위키백과
-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 Tiglath-Pileser I, ティグラト・ピレセル1世군대는 반 호수의 남쪽 산맥으로 침입하였다. 그 후 서쪽으로 방향을 돌려 말라티아의 항복을 받았다. 그리고 그의 세 번째 원정에서 그는 티그리스강의 수원지까지 진격하였다. 그는 기원전 1076년에 사망하였고 그의 아들 아샤리드-아팔-에쿠르가 계승하였다. 티그라트-필레세르 2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전거 통제도서 위키백과
-
티그라트-필레세르 2세 Tiglath-Pileser II, ティグラト・ピレセ..티글라트 필레세르 2세(Tiglath Pileser II, 헤브라이어 투쿨티-아필-에사라, 나의 신뢰는 에사라의 아들)는 아시리아의 왕(제위 기원전 967~935)이다. 티그라트-필레세르 1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전거 통제토막글도서 위키백과
-
-
-
아시리아, 전설처럼 사라진 아시리아 사라진 고대 문명 미스터리기원전 8세기 중반,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구약성서에서는 풀이라는 이름)는 다시금 아시리아를 세계 사상 유례없는 대제국으로 부상시킨다. 그가 예전의 아시리아 왕들과 다른 점은 인근 국가들과의 전투에서 전리품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영속적인 정복을 지향하며 직접 통치했다는 점이다. 그는 정복한 영토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