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타이딩스-맥더피 법안 Tydings-McDuffie..
    필리핀에게 독립을 부여하기 위해 미국이 입안한 법안(1934). Philippine Commonwealth and Independence Act라고도 함.|법안에 의하면 필리핀은 미국 정부에 의한 10년간의 과도통치를 거친 후 1946년 7월 4일에 독립하도록 되어 있었다. 1934년 3월 24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서명한 이 법안은 필리핀 상원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로하스 Manuel Roxas (y Acuna)
    호스-커팅 법으로 말미암아 독립이 위태로워졌다고 주장함으로써 로하스와 갈라섰고 이에 따라 국민당도 양분되었다. 1934년 필리핀 독립법이 개정되자(타이딩스-맥더피 법안) 헌법제정회의 일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938~40년 연방정부의 재무장관으로 일했다(→ 타이딩스-맥더피 법안). 로하스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출생 :
    1892. 1. 1, 필리핀 카피스
    사망 :
    1948. 4. 15, 팜팡가 클라크필드
    국적 :
    필리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케손 Manuel (Luis) Quezon (y Molina)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935년까지 상원의장직을 역임했다. 1922년에는 그의 정적인 세르히오 오스메냐가 이끌던 민족당의 당권을 장악했다. 케손은 타이딩스-맥더피 법안(1934)을 통과시키기 위해 투쟁했는데, 이 법안의 골자는 헌법제정 후 10년이 지나면 필리핀의 완전독립을 보장하는 것과 필리핀 독립공화국의 전신...
    출생 :
    1878. 8. 19, 필리핀 발러
    사망 :
    1944. 8. 1, 미국 뉴욕 새러낵 호
    국적 :
    필리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키리노 Elpidio Quirino
    지냈다. 1934년에는 마누엘 케손을 단장으로 한 필리핀 독립 대표단의 일행으로 워싱턴 D. C.에 가서 1946년 7월 4일을 필리핀 독립일로 정하는 타이딩스-맥더피 법안의 의회 통과를 보장받았다. 또한 필리핀 새 연방헌법의 초안을 마련하는 제헌위원으로 뽑히기도 했다. 그뒤 새로 구성된 연방정부의 재무장관과 내무...
    출생 :
    1890. 11. 16, 필리핀 비간
    사망 :
    1956. 2. 28, 노발리체스
    국적 :
    필리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레크토 Claro Mayo Recto
    C.에 파견되어 필리핀 연방 독립법(타이딩스-맥더피법)의 의회승인을 위해 힘썼다. 그뒤 헌법제정회의 의장으로 취임했으며 1935~36년 연방대법원 판사로 일...군도에 대한 미국의 지나친 간섭에 대항해 명성을 떨쳤다(→ 막사이사이). 미국에 무역특혜를 부여한 벨 법안의 거부운동을 벌였고 미군기지에 대한 필리핀...
    출생 :
    1890. 2. 8, 필리핀 케손티아옹
    사망 :
    1960. 10. 2, 이탈리아 로마
    국적 :
    필리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