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키리노

다른 표기 언어 Elpidio Quirino
요약 테이블
출생 1890. 11. 16, 필리핀 비간
사망 1956. 2. 28, 노발리체스
국적 필리핀

요약 필리핀의 정치가.

정치 지도자로서 독립한 필리핀의 제2대 대통령을 지냈다. 1915년 마닐라 근처에 있는 필리핀대학교에서 법학학위를 받고 변호사로 일하다가 1919~25년 하원의원을 지 냈으며, 1925~31년 상원의원을 지냈다. 1934년에는 마누엘 케손을 단장으로 한 필리핀 독립 대표단의 일행으로 워싱턴 D. C.에 가서 1946년 7월 4일을 필리핀 독립일로 정하는 타이딩스-맥더피 법안의 의회 통과를 보장받았다. 또한 필리핀 새 연방헌법의 초안을 마련하는 제헌위원으로 뽑히기도 했다. 그뒤 새로 구성된 연방정부의 재무장관과 내무장관으로 일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국이 된 필리핀의 초대 대통령 마누엘 록사스 밑에서 국무장관과 부통령으로 일했다. 그뒤 1948년 4월 15일 록사스가 죽자 그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다음해에 실시된 4년 임기의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국민당 후보를 물리치고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행정부는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는 후크단(Huk balahap) 조직의 활동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본래 후크단은 루손에 주둔하고 있던 반일본 게릴라 부대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공산주의자들이 그 조직의 지도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1948년 키리노와 후크단 지휘관인 루이스타룩과의 협상이 결렬되자, 타룩은 자신이 공산주의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키리노 정권을 타도할 것을 선언했다. 1950년 후크단이 루손 지방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자, 키리노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유능한 라몬 막사이사이를 국방장관에 임명했다.

그가 대통령으로 재임한 6년 동안은 눈부신 전후 복구사업과 총체적인 경제력 향상 및 미국으로부터의 경제원조 증가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근본적인 사회문제, 특히 농촌지역의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고 키리노 정부는 뇌물수수와 부패로 타락했다. 특히 키리노의 승리로 끝난 1949년 선거는 필리핀 역사상 가장 수치스런 선거 가운데 하나였다.

그동안 후크단 반란의 위협을 제거하는 데 크게 이바지한 막사이사이는 타락선거를 이유로 키리노와 결별하고, 1953년 대통령 선거에서 깨끗한 선거를 외치면서 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여 키리노를 패배시켰다. 이후 키리노는 공직에서 물러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대통령

대통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키리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