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제례 제(祭), 祭禮제례는 조상을 숭배하기 위해 행하는 의례이다. 『예기』에 “제례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라고 했듯이, 제례는 예의 시초이며 발단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유교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는 예의 본질은 의례에 있으며, 그 의례의 핵심은 조상 제례이다. 또한 유교적 이념에 입각할 때 조상 제례는 초월적 신에 대한 종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
-
산 자와 죽은 자의 소통의 공간, 제례 祭禮제사는 지금 홀대를 받고 있고 다른 신앙에 따른 삶의 가치관 때문에 무관심과 망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제사 의식 속에 담겨 있는 여러 가지 절차와 의미는 때로 남녀 불평등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으며, 조상신에 대한 믿음은 미신으로, 음식과 예법은 낡고 이해할 수 없는 상징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제사에 등...
-
제례 祭禮1973년 뉴욕에서 초연된 현대무용가 홍신자의 첫 번째 작품. 내용 1973년 발표된 「제례」는 홍신자가 10년 간이나 병석에 있다가 3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 친언니에 대한 추모의 염을 춤으로 만든 작품이다. 당시 공연에서는 언니가 죽고 난 뒤 십 년 동안 자신의 무의식 속에 내재한 비원, 비탄, 비통이 엄청난 절...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홍신자
- 창작/발표시기 :
- 1973년
- 성격 :
- 현대무용, 포스트모던 댄스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종묘제례 宗廟祭禮과 제찬(祭饌)을 제대로 갖추지는 못하였다. 그러다가 1975년 종약원은 종묘대제봉향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정부에서도 지원하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전통 제례 의식으로 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행사내용 조선 시대의 종묘대제에는 왕이 세자와 문무백관 · 종친을 거느리고 종묘에 나와 친히 제향을 올렸는데 이것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김해 숭선전제례 金海 崇善殿祭禮서기 199년 왕이 승하하자 왕묘(王廟)를 조성해 후손들이 대대로 봉사(奉祀)했고, 역대 조정에서는 시조묘로서 예우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행사내용 제례 일시는 애초에 음력 정월 3일 · 7일, 5월 5일, 8월 5일 · 15일이었으나, 지금은 춘추로 3월 15일과 9월 15일에 모신다. 제관은 제일 15일 전에 참봉의 주재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축문 祝文축문의 의례적 가치와 의미 축(祝)은 빎이나 기림 또는 바람을 의미하며 축문(祝文)은 그것을 담은 텍스트이다. 간혹 축문과 제문(祭文)을 두루 쓸 때도 있지만, 분명한 차이를 보여 주기도 한다. 축문이 신령에게 축원을 고하는 형식을 취하는 게 일반적이라면, 제문은 죽음을 애도하거나 사회를 풍자하는 문학적 장르...
- 유형 :
-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 분야 :
- 사회/가족
-
묘제 墓祭내용 예서(禮書)에는 묘제라고 하나 일상생활에서는 시사(時祀)·시향제(時享祭)라고도 한다. 주자의 『가례(家禮)』에 의하면, 4대 조상까지는 3월 상순에 날짜를 택하여 묘제를 지내고, 그 윗대의 조상은 10월 1일에 올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이 묘제는 오래된 것이...
- 시대 :
- 조선
- 성격 :
- 제례
- 유형 :
- 의식행사
- 행사시기 :
- 3월, 10월
- 분야 :
- 사회/가족
-
시제 時祭내용 사시제(四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묘제(墓祭)라고도 하는데, 크게 보아 사시제와 묘제로 나눌 수 있다. 사시제는 사중시제(四仲時祭)라고도 하는데 춘하추동의 중월(仲月)인 음력 2·5·8·11월에 길일을 골라 부모로부터 고조부모까지의 제사를 받드는 것으로 모든 제사 중에서 가장 중한...
- 성격 :
- 제례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사회/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