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례 祭禮
    신명을 받들어 복을 빌고자 하는 의례.|예부터 동양에서는 천지·일월성신(日月星辰)을 비롯하여 풍사(風師)·우사·사직·산악(山岳)·강천(江川), 그리고 선왕·선조를 대상으로 제사를 지내왔다. 전국의 이름난 산천에는 해마다 국가에서 직접 제사를 올렸으며, 풍수설(風水說)이 강해진 뒤로는 더욱 산천을 중시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제례 제(祭), 祭禮
    제례는 조상을 숭배하기 위해 행하는 의례이다. 『예기』에 “제례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라고 했듯이, 제례는 예의 시초이며 발단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유교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는 예의 본질은 의례에 있으며, 그 의례의 핵심은 조상 제례이다. 또한 유교적 이념에 입각할 때 조상 제례는 초월적 신에 대한 종교...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가족
  • 산 자와 죽은 자의 소통의 공간, 제례 祭禮
    제사는 지금 홀대를 받고 있고 다른 신앙에 따른 삶의 가치관 때문에 무관심과 망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제사 의식 속에 담겨 있는 여러 가지 절차와 의미는 때로 남녀 불평등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으며, 조상신에 대한 믿음은 미신으로, 음식과 예법은 낡고 이해할 수 없는 상징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제사에 등...
  • 제례 祭禮
    1973년 뉴욕에서 초연된 현대무용가 홍신자의 첫 번째 작품.|내용 1973년 발표된 「제례」는 홍신자가 10년 간이나 병석에 있다가 3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 친언니에 대한 추모의 염을 춤으로 만든 작품이다. 당시 공연에서는 언니가 죽고 난 뒤 십 년 동안 자신의 무의식 속에 내재한 비원, 비탄, 비통이 엄청난 절...
    시대 :
    현대
    저작자 :
    홍신자
    창작/발표시기 :
    1973년
    성격 :
    현대무용, 포스트모던 댄스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종묘제례 宗廟祭禮
    과 제찬(祭饌)을 제대로 갖추지는 못하였다. 그러다가 1975년 종약원은 종묘대제봉향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정부에서도 지원하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전통 제례 의식으로 대제를 봉행하고 있다. 행사내용 조선 시대의 종묘대제에는 왕이 세자와 문무백관 · 종친을 거느리고 종묘에 나와 친히 제향을 올렸는데 이것을...
    시대 :
    조선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제사 (관련어 제례) Jisi
    다른 뜻 제사(祭祀) 또는 제례(祭禮)는 천지신명을 비롯한 신령이나 죽은 이의 넋에게 제물(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표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에서는 설날이나 추석에 드리는 제사를 차례라고 부른다. 좁은 의미로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에서 천지신명에게 올리는 정성을 나타내며, 넓은 의미로 ...
    도서 위키백과
  • 종묘제례 宗廟祭禮
    제사와 더불어 지냈다. 종묘대제는 일제시대를 거치며 변질되고 잘 지켜지지 않다가 1969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주관하면서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전통제례의식으로 봉행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종묘대제는 왕이 친히 제향을 올리는 친행과 세자나 고관이 대행하는 섭행이 있는데, 제관의 명칭과 품계가 달라질 뿐...
    문화재 지정 :
    1975.05.03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
  • 김해 숭선전제례 金海 崇善殿祭禮
    서기 199년 왕이 승하하자 왕묘(王廟)를 조성해 후손들이 대대로 봉사(奉祀)했고, 역대 조정에서는 시조묘로서 예우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행사내용 제례 일시는 애초에 음력 정월 3일 · 7일, 5월 5일, 8월 5일 · 15일이었으나, 지금은 춘추로 3월 15일과 9월 15일에 모신다. 제관은 제일 15일 전에 참봉의 주재로...
    시대 :
    조선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축문 祝文
    축문의 의례적 가치와 의미 축(祝)은 빎이나 기림 또는 바람을 의미하며 축문(祝文)은 그것을 담은 텍스트이다. 간혹 축문과 제문(祭文)을 두루 쓸 때도 있지만, 분명한 차이를 보여 주기도 한다. 축문이 신령에게 축원을 고하는 형식을 취하는 게 일반적이라면, 제문은 죽음을 애도하거나 사회를 풍자하는 문학적 장르...
    유형 :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분야 :
    사회/가족
  • 상장제례 喪葬祭禮
    상장은 장사 지내는 일과 삼년상을 치르는 일을 뜻하고, 제례는 제사를 지내는 의례를 말한다.〈주자가례〉에 의하면 선조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 가옥에서 필수적인 존재로 규정되고 있다. 그러므로 제례는 사후세계의 관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제사는 사람이 죽어도 혼백은 남아 있으므로 살아 있을 때처럼 조상을...
  • 묘제 墓祭
    내용 예서(禮書)에는 묘제라고 하나 일상생활에서는 시사(時祀)·시향제(時享祭)라고도 한다. 주자의 『가례(家禮)』에 의하면, 4대 조상까지는 3월 상순에 날짜를 택하여 묘제를 지내고, 그 윗대의 조상은 10월 1일에 올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이 묘제는 오래된 것이...
    시대 :
    조선
    성격 :
    제례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3월, 10월
    분야 :
    사회/가족
  • 시제 時祭
    내용 사시제(四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묘제(墓祭)라고도 하는데, 크게 보아 사시제와 묘제로 나눌 수 있다. 사시제는 사중시제(四仲時祭)라고도 하는데 춘하추동의 중월(仲月)인 음력 2·5·8·11월에 길일을 골라 부모로부터 고조부모까지의 제사를 받드는 것으로 모든 제사 중에서 가장 중한...
    성격 :
    제례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사회/가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05건

제례
제례
사례편람(권8) / 제례
시제 / 배례
사시제
 선농대제 제례
숭선전 제례
숭선전 제례
숭선전 제례
종묘제례
종묘제례
종묘제례
종묘제례
숭선전제례
종묘제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