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쑨원 일선, 손문
    1866년 11월 12일 중국 남방의 광둥성(廣東省) 샹산현(香山縣) 췌이헝촌(翠亨村)에서 태어났다. 샹산현은 현재의 중산시(中山市)에 속하며, 주강(珠江)의 하구인 홍콩(香港)에서 약 80여 킬로미터 거리에 있는 주강삼각주 농촌마을이었다. 중국이 유럽 열강의 침략을 본격적으로 받게 되었던 아편전쟁이 일어났던 곳 부...
    출생 :
    1866년 11월 12일, 중국 광둥성(廣東省) 샹산현(香山縣, 현 중산시(中山市))
    사망 :
    1925년 3월 12일
    관련 사건 :
    우창기의 신해혁명
    국적 :
    중국
    주요활동 :
    1911년 신해혁명 주도, 1912년 중화민국 임시대총통, 1921년 호법정부 시기 신규식과 회담,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포상훈격 :
    196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중국국민당
  • 중산 Zhongshan, 中山
    중국 광둥 성[廣東省] 남부에 있는 도시. (병). Zhongshan. (웨). Chungshan.|스치[石岐]라고도 한다. 포산 지구[佛山地區]에 속한 현급 시로 주장 강[珠江] 삼각주의 중남부에 있다. 삼각주의 모든 지역과 연결되는 수로망을 갖추고 있으며, 북으로 순더[順德]와 광저우[廣州], 남으로 포르투갈의 해외식민지였던 마...
    위치 :
    중국 남부 광둥 성 남부, 주장 강 삼각주 중남부
    인구 :
    3,230,000명 (2016 추계)
    면적 :
    1,783.67㎢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중산 中山
    동대문구 답십리동에 있던 산이다.
    유형 :
    자연물
  • 권원하 도장, 權元河
    1898년 7월 25일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 용문면(龍門面) 하금곡동(下金谷洞)에서 권영진(權永鎭)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예천(醴泉)이며, 자는 도장(道壯)이고, 호는 중산(重山), 이명은 권세형(權世衡) ・ 엄시일(嚴時一)이다. 조선 중종 때 문신 졸재(拙齋) 권오기(權五紀)의 14대손이다. 어릴 때 집에서 한학을...
    출생 :
    1898년 7월 25일, 경상북도 예천(醴泉)
    사망 :
    1936년 5월 29일
    본관 :
    예천(醴泉)
    주요활동 :
    1923년 적박단 부단장, 1924년 용문청년회, 1926년 예천 정진회 결성, 1927년 예천청년동맹, 신간회 예천지회 결성, 예천농민조합 임시의장, 1929년 예천농민조합 중앙위원장, 1930년 상주공산당 사건 연루, 1932년 예천무명당 가입 활동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서로군정서, 신흥무관학교, 용문청년회, 적박단, 정진회, 예천청년동맹, 신간회 예천지회, 예천농민조합, 예천무명당
  • 중산 中山
    함경남도 정평군의 옛 별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중산 (관련어 중산) Zhongshan, 中山市
    zh-cp)은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의 주강 삼각주 남쪽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도시는 원래 현이었고 "현대 중국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쑨원을 기념해 1925년 12월 1일, 개칭되었다. 쑨원은 중산 번화가 외곽의 추이헝 촌(현재 난랑 진의 일부)에서 태어났다. 이름이 바뀌기 전에 도시는 샹산 현(香山縣)으로 불렸고 웨하이...
    도서 위키백과
  • 위대한 인도의 중산
    점점 확대되는 중산층과 그들의 역할 21세기 새로운 인도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계층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인구 3억을 상회하는 교육받은 중산층이다. 이들은 대부분 대학교육을 받고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계층으로, 자신의 전문 직업을 갖고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다. 인도 내에서 최상위 5퍼센트 정도...
  • 중산 中産層
    개설 중산층 개념은 구중산층과 신중산층으로 구별하는 경향이 있는데, 구중산층은 일반적으로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가 말한 중소 상공업자·자영농민·장인 등의 프티 부르주아(소시민)를, 신중산층은 경영자·사무원·관료와 같은 화이트칼라를 의미한다. 전자는 주로 생산관계에서 소유권과 경영권이 통합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중산 지하상가 지하 세계의 독특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곳, 중산 디샤제
    무더운 여름의 낮 시간이나 비가 오는 날에 이동할 때 지하도를 이용하면, 더위도 피하고 지하도만의 독특한 재미도 느껴 볼 수 있다. MRT 중산(中山) 역에서 이어지는 지하상가는 당대 미술관이 주축이 되어 상점과 서점, 미술관을 결합시킨 독특한 공간이다. 당대 미술관에서는 지하상가의 곳곳에 신예 작가의 작업...
    위치 :
    MRT 중산(中山) 역 하차.
    소재지 :
    台北市 南京西路
  • 토끼전 토공사(兎公辭), 토끼傳
    구성 및 형식 「토끼전」은 대략 120여 종의 이본이 전하는데, 실제 이본의 의미를 갖는 작품은 70편 정도이다. 이들을 서지적 측면에서 나누어 볼 때, 한글 및 국한문 혼용으로 된 필사본, 한문 필사본, 목판본(木板本), 활자본(活字本), 그리고 창자를 알 수 있는 판소리 개작 및 전사본(轉寫本)이 있다. 이본은...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중산전서 中山全書
    편찬/발간 경위 내용의 대부분은 필사본이다. 1983년 박장현의 아들 박영석(朴永錫)이 유고를 전부 모아 편집하고, 책머리에 이가원(李家源)의 서문과 정재각(鄭在覺)의 해제(解題)를 붙이고 박기현(朴紀鉉)의 「가전(家傳)」과 박영석의 「유사(遺事)」를 뒤에 붙여서, 상·하 2책으로 영인·간행하였다. 내용 「좌...
    시대 :
    현대
    저작자 :
    박장현
    창작/발표시기 :
    1983년
    성격 :
    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책
    간행/발행 :
    박영석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만석지기가 스스로 중산층이 된 까닭은?
    임진·정유 양란 때 큰 공을 세우고 병자호란 때 싸우다 전사한 최진립(1568~1636)으로부터 비롯되어 1947년 대부분의 재산을 영남대 설립에 기부하고 평범한 중산층이 된 12대 최준(1884~1970)에게로 이어집니다. 12대를 내려오는 동안 지켜진 여섯 가지 가훈으로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마라, 재산은 만 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3건

함경남도 정평군
중산 지하상가(중산 디샤제, 中山地下街)
쑨중산 옛집(쑨중산 구쥐, 孙中山故居)
쑨중산 옛집(쑨중산 구쥐, 孙中山故居)
쑨중산 옛집(쑨중산 구쥐, 孙中山故居)
쑨중산 옛집(쑨중산 구쥐, 孙中山故居)
중산재집
중산대학
중산재집
중산국수나무
중산국수나무
중산국수나무
중산층(middle class)
중산 기념당 쑨원 벽화
중산 광장(中山广场)
중산 광장(中山广场)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