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죽림고회 竹林高會고려 무신정권 때 이인로(李仁老)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문인들의 모임. 내용 이 시회(詩會)는 정중부(鄭仲夫)의 무신집권기에 이인로(李仁老)·임춘(林椿)·오세재(吳世才)·조통(趙通)·황보 항(皇甫沆)·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 일곱 문인이 구성하였다. 중국 위(魏)나라 정시연간(正始年間)에 완적(阮籍...
- 시대 :
- 고려
- 성격 :
- 문인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인로(李仁老) 등
- 분야 :
- 문학/한문학
-
황보항 약수(若水), 皇甫抗내용 자는 약수(若水). 당시 시주(詩酒)로 종유(從遊)하던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 중의 한 사람이다. 특히, 임춘(林椿)과 친교가 깊어서 임춘이 그에게 남긴 서한이 전해지고 있다.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대체로 임춘의 편지내용으로 추측할 뿐이다. 임춘보다는 상당히 연하였으며, 대대로 문한(文翰...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중원서기(中原書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인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한문학
-
이담지 청경(淸卿), 李湛之남아 있지 않으나, 무인란 이후 임춘(林椿)과 마찬가지로 개경을 벗어나 유락객(流落客)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 기반을 둔 귀족출신으로 보인다. 죽림고회(竹林高會)의 한 사람으로 이인로(李仁老) 등과 친하게 지냈으며, 평소 술을 즐겨서 이인로가 술친구로 꼽았다. 죽림고회의 한 사람인 함순(咸淳)과 함께...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인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한문학
-
이인로 미수(眉叟), 李仁老詩詞)를 짓되 막힘이 없었다. 그래서 ‘복고(腹藁)’라는 일컬음을 들었다. 이인로는 임춘(林椿) · 오세재(吳世才) 등과 어울려 시와 술로 즐기며 세칭 ‘죽림고회(竹林高會)’를 이루어 활동하였다.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郎) · 비서감우간의대부(秘書監右諫議大夫)를 역임하였다. 아들 세황(世黃)의 기록에 의하면...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문학/한문학
-
쌍명재집 雙明齋集이인로도 그곳에 참석하였으므로 그 시들을 모아서 『쌍명재집』을 편집한 것이다라고 『동문선』에 기록된 이인로의 서문에 전한다. 해동기로회는 당시에 죽림고회(竹林高會)와 함께 주목할 만한 시사활동(詩社活動)이였다. 기로회의 모임은 최당이 주인이 되어 그의 쌍명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세칭 백낙천(白樂天...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이인로(李仁老)
- 창작/발표시기 :
- 고려 중기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 간행/발행 :
- 홍사윤
- 분야 :
- 문학/한문학
-
백운소설 白雲小說를 소개한 것이다. 「시화」는 이규보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시를 짓지 않고는 베기지 못하는 시벽(詩癖), 시인으로서의 자부와 구속되지 않는 생활, 죽림고회(竹林高會)에 동참을 거부한 일, 꿈과 관련하여 지은 시, 최충헌(崔忠獻) 집의 천엽유화(千葉榴花)를 읊은 시, 강과 사찰 주변의 경치를 읊은 시, 변산(邊山...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