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좌부승지 左副承旨조선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당상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고려시대에는 1276년(충렬왕 2) 원나라의 영향으로 관제를 격하, 축소하였다. 따라서, 현종 이래의 중추원을 밀직사로 개편했는데, 이 때 좌부승선을 좌부승지로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1298년(충렬왕 24) 5월 밀직사를 광정원(光政院)으로 개편하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좌부대언 左副代言내용 1310년(충선왕 2) 좌부승선(左副承宣)의 후신인 좌부승지(左副承旨)를 개칭한 것이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좌부승선으로 고쳤다가 1362년 좌부대언으로 다시 개칭되고 1369년 좌부승선으로 다시 개칭, 뒤에 다시 좌부대언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뒤 1401년(태종 1) 승정원의 좌부승지가 일시 개칭된 것...
- 시대 :
- 고려, 조선 전기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10년(충선왕 2)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우부승지 右副承旨성립되었다. 이후 충선왕의 자주적 정책 및 충선왕의 폐위로 인한 구제도로의 환원 등과 관련, 1298년 5월 밀직사가 광정원(光政院)으로 개편될 때 좌부승지와 함께 종6품의 부승지로 격하, 개칭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8월, 광정원이 다시 밀직사로 복구되면서 부승지가 정3품의 좌부승지 · 우부승지로 환원되어 복구...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승지 承旨개설 도승지(都承旨)·좌승지(左承旨)·우승지(右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우부승지(右副承旨)·동부승지(同副承旨) 등 6승지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본래 승지는 고려시대에 승선(承宣) · 대언(代言) 등으로 일컬어졌다. 중추원 · 추밀원(樞密院) · 중대성(中臺省) · 밀직사 · 광정원(光政院) 등...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좌부승선 左副承宣에 중추원이 추밀원(樞密院)으로, 1275년(충렬왕 1)에는 다시 밀직사로 각각 개편되었지만 그대로 존속하였다. 그러나 1276년에 승선이 승지로 바뀜에 따라 좌부승지로 되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좌부대언(左副代言)으로 개칭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반원운동의 일환으로 문종 관제가 복구되면서 다시 두어...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023년(1차), 1356년(2차), 1369년(3차)
- 폐지일 :
- 1310년(1차), 1362년(2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목천성 군평(君平), 睦天成長興庫奉事)를 역임하였다. 1676년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다. 1677년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을 비롯하여 교리·이조좌랑을 역임하고 1679년에는 동부승지·호조참의·좌부승지·사인(舍人)을 거쳐 1680년 좌부승지가 되었다. 그 뒤 1684년 형조참의·여주목사를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30년(인조 8)
- 사망 :
- 1687년(숙종 13)
- 경력 :
- 동부승지, 호조참의, 좌부승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사천(泗川)
-
병방 兵房내용 무관의 인사·군사·호위·교통·통신·군수품 등에 관계된 사무의 출납을 맡았다. 그 담당승지[色承旨]는 좌부승지로, 정3품 당상관이었다. 승정원은 육조의 체제에 맞추어 육방으로 편성되었는데, 병방은 병조 및 그 속아문인 중추부·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도총부·훈련원·사복시(司僕寺)·군기시(軍器寺...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박용원 박영훈(朴泳薰), 朴用元4월에 형조참의가 되었고 그 해 8월에는 통리교섭통상사무참의(統理交涉通商事務參議)가 되었다. 이어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1892년에는 우부승지, 좌부승지를 지냈다. 1893년 11월에는 개성민란을 수습하는 안핵사(按覈使)에 임명되었으며, 1894년에는 좌부승지, 외무참의(外務參議), 한성부소윤을 거쳐 그 해...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8년(헌종 14)
- 사망 :
- 미상
- 경력 :
- 동부승지, 우부승지, 좌부승지, 외무참의, 한성부소윤, 순창군수, 나주군수, 제주목사, 통상사무관, 중추원부찬의, 비서감승 겸 장례원장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반남(潘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