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종자론
    '속도전'과 함께 북한의 '주체문예이론'에서 내세우는 독창적인 창작이론.|작품의 기본핵이 되는 종자(핵심 소재)를 잘 잡아야만 창작을 잘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종자란 작품의 핵으로서, 작가가 말하려는 기본 문제와 생활 소재에서 독창적으로 탐구한 사상적 알맹이가 있어 형상의 요소들이 뿌리내릴 바탕이 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정종호 한조(漢朝), 鄭宗鎬
    성리학을 깊이 파고들었으며, 「이기변(理氣辨)」·「대학정심장존양성찰변(大學正心章存養省察辨)」·「인자도(仁字圖)」·「온고지신론(溫故知新論)」·「종자론(種蔗論)」 등을 비롯한 많은 저작이 있으며, 특히 「격몽소편(擊蒙小編)」은 정종호의 대표작으로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정종호가 죽자 유림장(儒林葬...
    시대 :
    근대
    출생 :
    1875년(고종 12)
    사망 :
    1954년
    유형 :
    인물
    직업 :
    유학자
    대표작 :
    이기변, 대학정심장존양성찰변, 인자도, 온고지신론, 종자론, 격몽소편, 뇌헌문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서원(西原)
  • 주체문예이론
    문예는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달리 특유의 문예관과 창작방법을 드러낸다. 즉 '주체적인 사회주의 문학예술'에 대한 당과 수령의 지침을 절대기준으로 삼아 '종자론', '속도전', '공산주의적 인간학' 등 생소한 개념을 동원하여 '수령의 교시에 따르는 것이 훌륭한 문학활동'이라는 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주체문예이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영화예술론 On the Art of the Cinema, 电影艺术论
    있는 작품으로 간주된다. 이 책은 영화 제작, 예술 등의 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독자적인 이론들을 제시한다. 이러한 문학 이론들 가운데 "인간학", "종자론"이 가장 중요한 것들이다. 인간학은 가치있는 삶의 의문에 중심을 둔다. 예술의 경우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진정으로 독립된 개인을 강조한다. 종자론은...
    도서 위키백과
  • 아낙사고라스 Anaxagoras, アナクサゴラス
    그는 만물은 모두 그 안에 수 없이 많은 “종자”를 품고 있다고 설파하였다. 예를 들면 아버지의 정자 속엔 이미 작은 사람이 들어서 있다는 설명이 이런 종자론에 해당한다. 아낙사고라스는 천체와 여러 자연 현상에 대해 관찰에 입각한 설명을 시도하였는데, 예를 들어 태양은 펠로폰네소스보다 더 큰 불타는 덩어리...
    도서 위키백과
  • 강성대국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強盛大国
    있으며 당과 군이 중심인 국가 체제를 의미한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1년(주체90년)의 신년 공동 사설에서 김일성이 제시한 종자 중시적인 이론인 종자론을 토대로 새로운 사고에 기초하여 강성대국을 건설해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강성대국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사상의 강성대국, 정치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