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 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임시정부를 후원한 선교사, 조지 애쉬모어 피치 비오생, George ..
    1920년 한인구제회 이사를 역임하고 1932년 윤봉길 의거를 지원했으며, 1940년 중국 국민당 정부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을 위해 활동.|일제강점기 대한독립운동은 전 세계를 무대로 진행되었다. 그 중 해외 독립운동은 지지기반이 약하고 언어 등 제약이 있었으므로 현지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대한민국정...
    출생 :
    1883년 1월 23일
    사망 :
    1979년 1월 20일, 미국
    포상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1968
  • 조지 애쉬모어 피치 비오생, George Ashmo..
    1883년 1월 23일 중국 장쑤성(江蘇省) 쑤저우(蘇州)에서 미국 장로교 선교사인 아버지 조지 필드 피치(George Field Fitch, 이하 필드)와 어머니 메리 피치(Mary McLellan Fitch)의 2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조지 필드 피치와 아들 조지 애쉬모어 피치의 첫 이름(first name)이 조지로 같고 중간이름(middle ...
    출생 :
    1883년 1월 23일, 중국 장쑤성(江蘇省) 쑤저우(蘇州)
    사망 :
    1979년 1월 20일
    관련 사건 :
    난징대학살
    국적 :
    미국
    주요활동 :
    1932년 윤봉길의거 후 임시정부 요인 보호 및 지원, 1937년 난징에서 국제위원회 조직, 일본군의 학살만행 폭로, 미주 한인 생활개선사업 지원, 1941년 이승만의 대미외교 지원, 중국 국민정부에 대해 임시정부 승인 요청
    포상훈격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상하이 YMCA,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미협회, 한국기독교인친한회
  • 조지 애시모어 피치 (관련어 조지애쉬모어피치) George Ashmor..
    공직자 정보 조지 애시모어 피치는 미국의 선교사이다. 1968년 대한민국에서 건국훈장 독립장을 서훈받았다. 도산 안창호 석방 운동에 앞장섰으며 일제 관헌의 감시를 받고 있던 백범 김구를 도망하도록 도왔다. 1883년 1월 23일, 청나라 장쑤성 쑤저우에서 장로교 선교사로 활동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도운 '조지 필드...
    도서 위키백과
  • 애슈모어
    애슈모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숀 애슈모어: 캐나다의 배우 에런 애슈모어: 캐나다의 배우 프랭크 애쉬모어: 미국의 배우 조지 애시모어 피치: 미국의 선교사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이 달의 독립운동가 今月の独立運動家, 本月独立运动家
    채광묵채규대 나중소 나운규 이한응 최수봉 2017년 이소응 이태준 권병덕 이상정 방정환 장덕준 조마리아 김수민 고운기 채상덕 이근주 김치보 2018년 조지 애쉬모어 피치 김규면 김원벽 윤현진 신건식오건해 이대위 연미당 김교헌 최용덕 현천묵 조경환 유상근 2019년 유관순 김마리아 손병희 안창호 김규식김순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Ashmore Fitch)
조지 애쉬모어 피치(앞줄 왼쪽) 가족(뉴욕, 1897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