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노동당 朝鮮勞動黨
    북한의 집권당. 조선노동당은 1945년 창설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을 모체로 하는데 1949년 조선노동당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가지도 권한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일체 권력의 원천으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수행한다.초기에는 당대회와 당 중앙위원회가 주요 권한을 행사했으나 1980년 이후 정치국이 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조선노동당 조선로동당, 朝鮮勞動黨
    북한정권 수립 이래 지금까지 북한의 모든 영역을 영도·장악해 오고 있는 권력의 중추로, ‘주체사상(主體思想)’을 지도사상으로 삼고 있는 북한의 집권당(執權黨).|개설 북한은 “조선로동당을 근로대중의 모든 조직들 가운데서 가장 높은 형태의 혁명조직”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정권기관이나 기타 정치조직...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조선노동당 朝鮮勞動黨
    1924년 서울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조직한 사회운동단체. 일명 노동당.|내용 1924년 8월 17일 전일(全一)이 중심이 되어 이남두(李南斗)·이봉길(李鳳吉)·이정수(李正洙)·이충모(李忠模)·이극광(李極光)·김연희(金演熙) 등 7명이 발기, 서울 운니동 전일의 집에서 결성하였다. 이들은 무산노동자의 단결을 도모하고,...
    시대 :
    근대
    설립 :
    1924년 8월 17일
    성격 :
    사회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전일(全一), 이남두(李南斗), 이봉길(李鳳吉), 이정수(李正洙), 이충모(李忠模), 이극광(李極光), 김연희(金演熙)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노동당 朝鮮勞動黨
    1924년 8월 서울에서 조직된 사회주의 사상운동단체.|전일(全一)·김연희(金演羲)·이남두(李南斗)·이봉길(李鳳吉)·이정수(李正洙)·이충모(李忠模)·이극광(李極光) 등이 참여했다. '무산노동자의 단결을 도모하여 공산주의적 신사회 건설을 기도함'이란 강령을 발표했고, 서무부·노동부·문화부·조사부 등 4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조선노동당 朝鮮勞動黨
    조선노동당은 북한의 유일 집권정당이다. 그 연원은 김일성이 1926년 세운 타도제국주의동맹에서 찾을 수 있으며 공식 창건일은 조선공산당대회가 열린 1945년 10월 10일이다. 공식 이념으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표방하며 북한의 모든 국가 정책이 당 주도의 국가체계로 운영된다. 조선사회민주당 및 조선천도교청우당 ...
  • 조선노동당
    1945년 창당한 북한의 집권당 1945년 10월 10일 창당했으며 북한의 국가·사회·군대를 통제하는 최고의 권력기구이다. 북한 헌법에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은 조선노동당의 영도 밑에 모든 활동을 진행한다’라고 규정하고, 최고인민회의·내각·국방위원회 등 국가기구도 노동당의 노선과 정책의 집행자 역할을 ...
  • 북조선노동당 (동의어 조선노동당) 북로당, 北朝鮮勞動黨
    1946년 8월 북한에서 북조선공산당과 조선신민당이 합당하여 결성된 정당.|지금의 조선노동당은 북조선노동당(북로당) 창립대회를 제1차 당대회로 규정하고 있다. 결성 당시 총 당원수는 36만 6,000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4%를 차지했으며, 김두봉·김일성 등 총 42명으로 중앙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중앙위원회 위원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당 , 북한
  • 김영남 (관련어 조선노동당) 김명삼, 金永南
    북한의 정치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부 과장으로 당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외무성 부장, 국제부 부장을 맡았고 1970년대에 당 차원의 외교업무에 종사하며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을 방문해 북한의 대 서방 창구 역할을 했다. 1980년대에는 대외관계사업을 주도했다. 이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맡았다.|북한...
    출생 :
    1925, 함북 명천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조선로동당 (관련어 조선노동당) Workers' Party of Korea, 朝鮮労働党
    이는 《사회주의헌법》 제11조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의 영도 밑에 모든 활동을 진행한다"라는 구절에 규정되어 있다. 조선로동당에서 표범하는 공식 이념은 1972년 발표된 주체사상이며, 1994년부터는 선군정치도 함께 내세우고 있다. 냉전 초기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내걸었으나, 1970년대부터는 ...
    도서 위키백과
  • 조선 노동당 당대표자 대회
    조선노동당 발족 초기에는 당 대회와 당 중앙위원회가 주요 권한을 행사해왔으나, 1966년 10월 당 중앙위원회에 비서국이 신설되면서부터 당의 운영이 김일성의 지시를 받는 비서국 중심 체제로 전환되었다. 조선노동당의 모든 당원과 모든 지역 및 생산·노동 단위에 조직되어 있는 당 조직들에 대한 최고 지도기관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조선노동당출판사 노동당출판사, 朝鮮勞動黨出版社
    개설 북한의 조선노동당 직영 출판사로서 평양직할시 동대원구역에 있다. 주요 출판물은 정치사상관계 도서로서 마르크스 · 레닌주의 고전, 노동당 관련 문헌, 김일성(金日成) 저작물 및 관련 도서, 당 정책 해설자료 및 대내외 정세자료 등을 발간하고 있다. 설립목적 북한 주민들의 사상교육 고양을 위해 설립되었다...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김정일 金正日
    북한의 최고지도자. 조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군사위원회 군사위원,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등의 직책을 거쳐 1992년 4월 김일성 80회 생일을 맞아 북한군 원수로 최고지휘권을 인수한 데 이어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 후 '최고 지도자'로 추대되었고...
    출생 :
    1942. 2. 16, 백두산 밀영 또는 러시아-만주 국경지대∼ .
    국적 :
    북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조선노동당
평양 당창건기념탑
조선노동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