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광조의 개혁정치와 기묘사화중종이 등극하자, 연산군대의 폐정을 개혁하는 이른바 유신정치를 베풀었다. 먼저 성균관을 개수하고 전왕대에 화를 입은 사람들의 원한을 풀어줌과 아울러 유학 진작에 힘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사림의 재진출의 길이 열리매, 앞서 갑자사화에 귀양갔던 유숭조 같은 선비들이 소환되어 중용되었다. 그때 사림 중에 조광...
-
조광조 조선 중기의 문신그후 훈구파의 김전(金詮)·남곤·이유청(李惟淸)이 3정승에 임명되자 현량과가 폐지되었고, 조광조는 그해 12월에 사사되었다(→ 기묘사화). 역사적 의의 조광조 등 신진사류들의 도학정치사상을 바탕으로 한 급진적 개혁정책은 연산군 이후의 혼란을 극복하고, 요순시대(堯舜時代)와 같은 이상정치를 실현함으로써...
- 출생 :
- 1482(성종 13)
- 사망 :
- 1519(중종 14)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본관 :
- 한양(漢陽, 지금의 서울)
- 자 :
- 효직(孝直)
- 호 :
- 정암(靜庵)
-
정릉 중종의 능과격한 개혁 정치는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당파 논쟁이 끊이지 않아 기묘사화(1519)가 일어났고, 삼포왜란과 더불어 북방 국경 지대의 야인들이 번번이 국경을 침략해 바람 잘 날이 없었다. 반정이 생각보다 수월하게 성공하자 대규모의 포상이 내려졌다. 반정 직후 104명의 정국공신이 책봉되었고, 반정의 핵심인...
-
기묘사화 己卯士禍음모가 유효했던 정쟁이었다는 점과 갑자사화와 같이 정치적 투쟁 목적과 이념이 없었다는 점에서 그 특이성을 찾아볼 수 있다. 아울러 조광조의 개혁정치가 실패한 원인을 정치 이념의 진보성과 실현 수단의 과격성에서 찾고 있으나, 당시의 정치 체제가 왕도정치의 실현을 뒷받침해줄 만큼 성숙하지 못한 것에...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사림파의 개혁 정책에 제동을 걸다, 기묘사화 己卯士禍시사하는 대목이다. 당시 화를 입은 사림들은 대부분 30대로, 이들을 기묘명현(己卯名賢)이라고 부른다. 기묘사화로 사림파는 다시 한 번 중앙 정치에서 축출됐으며, 조광조가 추진한 현량과와 향약 등 개혁 정책은 대부분 혁파됐다. 위훈이 삭제된 공신들의 작위도 회복됐다. 이로써 조광조의 급진 개혁 정치는 4년 만...
- 시대 :
- 1519년
-
조광조 효직, 趙光祖그 해 12월 바로 사사되었다. 이 때가 기묘년이었으므로 이 사건을 ‘기묘사화’라고 한다. 결국 신진사류들이 기성세력인 훈구파를 축출, 새로운 정치질서를...말았다. 이들의 실패 원인은 그들이 대부분 젊고 또 정치적 경륜도 짧은 데다가 개혁을 급진적이고 너무 과격하게 이루려다가 노련한 훈구세력의 반발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82년(성종 13)
- 사망 :
- 1519년(중종 14)
- 경력 :
- 부제학, 대사헌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기묘사화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정암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양(漢陽, 지금의 서울)
-
조광조 趙光祖했다. 그는 “중종은 사림을 다시 등용하여 유교 정치를 일으키려 했다. 당시 명망이 높았던 조광조가 중용되면서 천거제의 일종인 현령과를 통해 사림이 대거...공신들의 반발로 말미암아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 세력은 대부분 제거되었다(기묘사화).”라는 평가를 받는다. 조광조는 한성부 동지제에서 사헌부 감찰을...
- 출생 :
- 1482년
- 사망 :
- 1519년
-
-
신하의 나라 왕의 나라, 조광조 vs 중종사건을 ‘기묘사화’라 해요. 조광조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있는 능주로 귀양을 갔는데, 자신을 총애했던 중종이 사약을 보내오자, 그 약을 받아 마시면서 절명시...세상을 내려다보니 거짓 없는 이 마음을 훤히 비추리라. 마지막까지 자신의 개혁이 나라를 위한 일이었음을 강조한 시이지요. 한편 조광조의 학문을...
-
조선 11대 왕, 중종 이역, 中宗박훈(朴薰) 등 28명을 뽑았으며, 이후 김정(金淨)·김구(金絿)·기준(奇遵) 등이 등용되었는데, 이들은 조광조 등의 개혁정치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정치세력이 되었다. 기묘사화와 척신의 대두 조광조의 개혁정치는 반정공신세력을 비롯한 훈구파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1515년 김정 등이 역신의 딸이라 하여 왕비 신씨...
- 출생 :
- 1488(성종 19)
- 사망 :
- 1544(중종 39)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재위 :
- 1506년∼1544년
- 시호 :
- 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 능묘 :
- 정릉(靖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