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왕나방 regal moth
    나비목 제왕나방과에 속하는 나방들. royal moth라고도 함.|신대륙에서만 나타난다. 때로 산누에나방과(Saturniidae)의 한 아과로 여겨 제왕나방아과(Citheroniinae)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옳지 않다. 산누에나방이 그렇듯이 제왕나방 수컷도 더듬이가 부분적으로 깃털 모양이다. 그러나 산누에나방제왕나방...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제왕나방과
    원산지 :
    북아메리카 (미국)
    먹이 :
    감나무, 호두나무, 히코리
    학명 :
    Citheronia regalis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7~10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산누에나방 saturniid moth
    용으로 쓰인다. 견사를 생산하는 또다른 종으로 아틀라스 나방이 있는데, 날개를 편 길이가 대개 25cm를 넘는다.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지방에서 서식하는 제왕나방(Saturnia pavonia)은 날개가 많은 비늘가루로 덮여 있고 투명한 눈알 모양의 무늬가 특징적이다. 이 무늬는 아마도 포식자를 위협하기 위한 보호기능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나비목 Lepidoptera
    있다. 디트리시아아목에는 메갈로피기다이과(Megalopygidae)·좀나방과(Tineidae)·주머니나방과(Psychidae)·사과좀나방과(Yponomeutidae)·잎말이나방과(Tortricidae)·누에나방과(Bombycidae)·솔나방과(Lasiocampidae)·제왕나비과(Citheroniidae)·자나방과(Geometridae)·박각시과(Sphingidae)·불나방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죽여도 죽지 않는 생존의 귀재들!!
    쐐기나방은 고치를 만들어 번데기 상태로 겨울을 난다. 이 번데기는 영하 20℃까지 내려가는 일본의 추운 지역에서도 겨울을 거뜬히 날 수 있다. 놀라운 사실은 과학자들이 번데기를 영하 183℃의 액체질소에 70일 동안 넣어 두었는데도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노란쐐기나방과는 반대로 ‘더위 견디기’의 귀재는 서관충...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생물
  • 고도 1만 미터는 미생물 세상
    꽤 높다. 곤충 가운데도 장거리 이동의 선수가 적지 않다. 유명한 제왕나비는 멕시코에서 캐나다까지 왕복한다. 곤충은 새보다 이동고도가 낮은 반면 개체수는...과학자가 아프리카에서 지중해를 건너 영국으로 이동하는 밤나방과의 나방을 조사했더니 그 수가 1,000만에서 2억 4,000만 마리에 이르렀다고 한다. 잠자리...
  • 나비 원예 Butterfly gardening
    가드닝(butterfly gardening)은 나비, 팔랑나비, 나방을 포함한 나비목의 서식지를 만들고, 개선하고, 유지하는 방법이다. 나비는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의...작은멋쟁이나비(Vanessa Cardui)와 같은 나비는 애벌레로서 200종 이상의 식물을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제왕나비(Danaus plexippus) 및 제왕...
    도서 위키백과
  • 포식 Predation, 捕食
    상호관계는 공진화로 언급되며 붉은 여왕의 가설에서 보여지는 진화적으로 역사상 치열한 상호 관계가 있다. 일예로 포식자와 피식자의 상호관계에서 나방과 박쥐 그리고 바르바스텔레박쥐의 초음파 소나(sonar)기술 경쟁이 있으며, 피식자의 제왕나비나 호랑나비의 피토케미컬을 사용한 화학방어등 다양한 반포식 전략...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