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신신경증 신경증, 精神神經症
    기능상의 결함을 일으키는 정신장애. 신경증, 다원적 신경정신증이라고도 함.|신경증은 개인의 생활환경과 연관성이 없이 나타나는 불안·우울·근심 또는 불유쾌한 느낌 등의 증상이 특징이다. 신경증은 생활, 대인관계, 또는 외적인 일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개인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으나 개인을 무력하게 할 ...
  • 정신병 (관련어 정신신경증) 정신 질환, 精神病
    모든 주요한 정신적인 질환의 총칭.|망상, 환각, 판단·통찰력·사고 과정의 결함, 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능력 부족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정신신경증(psychon#128sis:흔히 신경증이라고 함)이라는 덜 심각한 정신병도 매우 심한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신병과 신경증을 확실하게 구별하기는 어렵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정신신경증의 종류
    전환, 신경증 등을 포함하는 전환신경증은 신체구조적 질병이 원인이 아닌 시력상실·마비·청력상실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 발현된다. 히스테리는 초기의 정신분석학자들이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었던 증상들 중 하나로, 그들은 히스테리가 각 개인의 정신성적 발달이 초기단계에 고착되거나 발단단계가 정지되어 유발...
  • 정신신경증 이론
    방어기제). 신경증의 증상은 방어기제가 깨지고 금지되어 있는 충동이나 본능적 욕구가 의식세계로 들어가려고 위협하게 될 때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신경증에 관한 정신분석이론은 미국과 서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소련과 서유럽 일부 지역에서 받아들여지는 신경증의 또다른 관점은 학습되지 않을 수도 있는...
  • 정신신경증의 치료
    정신과 의사들과 임상심리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신경증을 치료한다.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무의식 부분에 묻혀 있는 기억들, 즉 유년기의 경험에서 신경증의 원인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자들은 억압된 충동, 감정, 고통스런 기억들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신경증 증상들이 없어지고, 개인은 자신에...
  • 정신장애 精神障碍, mental disorder
    사건에 대한 반응이 간접적으로 나중에 신경증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 특정 신경증, 특히 공포증으로 알려진 불안장애는 자극에 제대로 적응되지 못한 반응이 조건반사처럼 되어버린 것이다. 현대의 정신장애 치료요법에는 정신치료·약물요법 등이 있고 심한 경우 수술해야 한다.→ 정신병, 정신신경증
  • 히스테리 hysteria
    전통적으로 정신신경증으로 분류되었으며, 아직 유기적·구조적 병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므로 자궁의 이상이 원인이라고 생각한 데서 붙여진 말이다. 히스테리는 대부분 청년기에 나타나지만 어린이와 노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의 히스테리는 세상일에 밝은 사람들보다는 정신...
  • 신경증과 정신증 현실 검증력을 기준으로 한 정신장애의 구분
    등이 있다. 이에 더해 주요 우울 장애와 소위 조울증이라고 하는 양극성 장애도 정신증이라고 할 정도로 심각한 정신장애다.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신장애들은 신경증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신경증의 경우도 심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에서는 현실 검증력이 무너진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개 공포증(불안 참조)이...
  • 신경증 神經症, neurosis
    다른 방어 수단이 동원되어 여러 가지 신경증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과거 정신과적 진단은 크게 두 분류로 나뉘는데, 정신분열병, 조증과 같은 정신증과 신경증이 그것입니다. 신경증은 정신증에 비해 더 흔하며 정신과 전문의가 아닌 일반인도 공감할 수 있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신경증을 가진 환자들은...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신체 증상으로 전환시키는 히스테리의 신경증 이외에도 그는 강박관념장애·편집증·나르시시즘 등의 다른 전형적인 신경증의 원인에 대해 복잡하게 설명했다. 그가 정신신경증이라고 한 이러한 신경증들은 아동기의 갈등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므로 현실의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침울증·신경쇠약증·불안신경증 등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강박증 强迫症, obsession
    불안감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특정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다보면 일정한 틀을 가지게 되며 그래서 이를 정신의학에서는 의식(ritual)이라고 부릅니다.보통은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함께 나타나나 강박사고나 강박행동 중 한가지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박...
  • 정신분석 精神分析, psychoanalysis
    흐르게 되면 병적 상태가 된다. 방어기제는 정신병적 상태와 신경증적 상태에 있어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질적인 차이는 없다(정신병, 정신신경증). 또한 프로이트는 환자가 정신분석가에게 나타내는 감정적 반응에는 부모와의 관계 또는 부모의 중요한 특성이 반영되고 있음을 파악했다. 무의식적으로 정신분석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