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점정석 (바둑용어) 花點─바둑에서, 화점(花點)을 기점으로 수순이 전개되는 정석. 화점이 세력선인 제4선에 있는 까닭에 실리보다는 중앙을 향한 세력의 구축에 유리하며, 상대방의...정석·화점눈목자받음정석·화점두수손뺌정석·화점두칸낮은협공정석·화점두칸높은협공정석·화점뛰어붙임정석·화점세수손뺌정석·화점세칸낮은협공정석...
-
미완성정석 (바둑용어)바둑에서, 정석(定石)으로 불릴만큼 많이 사용되지만 변화의 여지가 많아 공인되지 않은 수순. 정석은 오랜 경험과 연구에 의해 흑과 백 모두에게 최선이라고 인정되어 왔으며 그 과정과 결과의 이해득실이 예상되는 수순을 말한다. 미완성정석은 수순의 변화가 많으며 이해득실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어 평가가 보류된...
-
요도정석 (바둑용어) 妖刀定石바둑에서, 소목을 기착점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정석의 하나. 소목에 한칸 걸쳐온 상대방의 돌을 두칸 높은 착점으로 협공한 후, 상대방이 중앙을 향해 눈목(目) 자로 진출하는 수순의 정석으로 이후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두칸 높은 착점이 예리하다고 하여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
삼삼정석 (바둑용어) 三三定石바둑에서, 삼삼에 놓은 착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정석. 위치가 낮고 제한되기 때문에, 화점정석이나 소목정석등에 비해 변화가 적다. 삼삼날일자받음정석, 삼삼눈목자받음정석, 삼삼두칸뛰어받음정석, 삼삼어깨밀기정석 등이 있다.
-
소목정석 (바둑용어) 小目定石바둑에서, 소목에 놓인 돌을 기점으로 이루어지는 정석. '소목날일자뜀정석', '소목날일자받음정석', '소목두칸낮은협공정석', '소목두칸높은협공정석', '소목마늘모받음정석', '소목밑붙임정석' 등이 있다.
-
외목정석 (바둑용어) 外目定石바둑에서, 외목을 기착점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정석을 두루 부르는 말. '외목날일자받음정석', '외목날일자씌움정석', '외목두칸낮은협공정석', '외목두칸높은협공정석', '외목뛰어붙임정석', '외목한칸협공정석' 등이 있다.
-
눈사태정석 (바둑용어) ─ 沙汰定石바둑에서, 포석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소목 신정석의 하나. 소목 착점에 한칸높은걸침으로 응수한 이후, 걸친 돌에 밑붙임으로 이어지는 수순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정석 가운데 하나이다. 큰눈사태정석과 작은눈사태정석이 있다.
-
대사정석 (바둑용어) 大斜定石바둑에서, 포석 단계에서 외목에 착점한 상태에서 상대방이 소목에 침입했을 때 눈목자 씌움으로 생성되는 정석. '대사(大斜)'는 '눈목자'의 별칭으로, 대사정석에서는 무수히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
눈목자 (바둑용어) 대사, ─ 目字바둑에서, 두 개의 돌이 한자의 눈목(目) 자의 마주 보는 모서리에 있는 모양. 날일자보다 한칸 더 나간 것으로, 이 형태가 되도록 세 칸 어긋나게 행마를 하는...한다. 눈목자는 날일자보다 더 넓기 때문에 변화가 많으며, 눈목자 정석도 날일자 정석의 6~7배나 다양하게 연구되어 있다. 귀에서 눈목자를 만들어 세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