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점쟁이 占─
    남의 신수를 점쳐주고 돈을 받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직업인.|내용 점쟁이는 무당에서 분화되었다. 무당은 몸에 신이 내려 인간의 소원을 듣고 또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해주는 능력을 지닌 반신반인(半神半人)으로, 제의를 주재하고 질병을 고치며 미래를 예언하는 일을 맡아 했다. 이 때문에 고대에는 전문적인 점쟁...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운세 (관련어 점쟁이) Fortune-telling, 算命
    운세(運勢, llang)란 어떤 사람의 삶에 대한 정보를 예언해 보는 행위이다. 점복과 사실상 같은 의미이나 점복은 영적 존재의 개입 등 다소 종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운세는 그보다는 훨씬 비격식적이다. 서양에서 운세는 르네상스 시대 롬인들에 의해 주로 전파되었다. 19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는 동양의 역경을...
    도서 위키백과
  • 점쟁이 Ghost Sweepers, 占卜師們
    영화 정보 《점쟁이들》은 201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김수로 - 박선생 역 강예원 - 찬영 역 이제훈 - 박석현 역 곽도원 - 심인 스님 역 김윤혜 - 승희 역 양경모 - 월광 역 김기천 - 충렬 선생 역 유순철 - 나씨 노인 역 이장유 - 울진리 마을 이장 역 김민교 - 울진리 마을 경찰관 역 임철형 - 장 회장 역...
    도서 위키백과
  • 파울 (문어) Paul the Octopus, パウル (タコ)
    파울은 독일의 유명한 문어이다. 파울은 UEFA 유로 2008과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의 승패 여부를 높은 확률로 맞춰 유명해졌으며 점쟁이 문어, 족집게 문어 등의 별명을 갖고 있었다. 독일 오버하우젠의 수족관인 시 라이프 센터스에서 살았으며 2010년 10월 26일에 자연사했다. 파울이 있는...
    도서 위키백과
  • 점복설화 복술설화(卜術說話), 占卜說話
    는 예언담에 속하며 「복술설화」 · 「명복설화」라고도 부른다. ‘점복’은 ‘점치는 일’, ‘복술’은 ‘점치는 방법이나 기술’, ‘명복’은 ‘이름난 점쟁이’를 의미한다. ① 명복: 「홍계관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점치는 사람이 자신의 운명을 점치고 죽을 운수를 피하려고 하였으나 실패한다는 내용이다. 임금...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설화가 된 고소설
    한 설화다. 〈당태종과 점복자〉의 내용은 이렇다. 당 태종 시절에 점을 잘 치는 사람이 있었다. 어부들은 고기를 잡으러 갈 때마다 이 점쟁이에게 점을 치고 나갔다. 점쟁이가 고기가 많이 잡히는 곳과 날씨를 점쳐 주어서 어부들은 언제나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었다. 바다의 물고기가 다 잡혀갈 지경에 이르자 큰...
  • 무속음악 무악, 巫俗音樂
    부른다. 여자 무당을 무(巫), 남자 무당을 격 또는 박수라고 하며, 옛 우리 말로는 심방이라 한다. 무무로서 의식을 행하는 사제자를 무당이라 부르고, 점쟁이·독경쟁이·보살·판수 따위는 의무라 하는데, 무속음악에서 의무의 음악은 제외하는 경우가 많다. 무의식을 행하는 사제자를 보통 무당이라고 부르지만 지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카르페디엠 carpe diem
    credula postero. - Quintus Horatius Flaccus 레우코노에여 묻지 마시오 신들이 당신과 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 두었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오 바빌론의 점쟁이에게 미혹되지도 마시오, 무엇이 오든 견디는 것이 더 좋은 법이오 튀레눔 바다 절벽 위를 덮고 있는 그 겨울이 주피터 신이 당신에게 주신 또 하나의 겨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일반상식
  • 가면무도회 Un Ballo in Maschera
    관해 러브스토리를 넣어 이야기를 만든다. 계몽군주로 유명한 구스타보는 그의 비서관 레나토의 아내 아멜리아를 남몰래 사랑한다. 스톡홀름에 울리카라는 점쟁이가 민심을 교란한다는 소식을 들은 왕은 뱃사람으로 변장하고 울리카를 찾아간다. 울리카는 왕에게 제일 먼저 악수하는 사람의 손에 살해될 것임을 예언한다...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오페라
    작곡가 :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원작 :
    외젠 스크리브의 대본 《구스타프 3세 왕》
    초연 :
    1859년 2월 17일 로마 아폴로 극장(초판)
    등장인물 :
    (괄호의 내용은 스웨덴 판) • 구스타보(리카르도, 영국 식민 총독, 테너) • 레나토(레나토, 리카르도의 비서관, 바리톤) • 아멜리아(레나토의 아내, 소프라노) • 울리카(점쟁이, 콘트랄토) • 오스카르(리카르도의 시종, 소프라노) • 사무엘과 톰(호른 백작과 리빙 백작, 총독의 적, 베이스) • 대법관(테너) • 크리스티아노(실바노, 바리톤) • 아멜리아 시종(테너)
    배경 :
    17세기 보스턴과 그 교외(18세기 말 스웨덴의 스톡홀름과 그 교외)
    대본(리브레토) :
    안토니오 솜마
    구성 :
    3막 멜로드라마
  • 장마
    노인의 대립 때문에 모든 가족이 숨을 죽이고 지내는 집안에는 으스스한 냉기가 감돈다. 그런 가운데 친할머니는 빨치산이 된 아들이 언제 돌아올 것이라는 점쟁이의 말에 따라 돌아올 아들을 맞을 준비를 서두른다. 친할머니의 분부에 따라 음식을 마련하느라 사람들은 부산하게 움직이고 집안에는 음식 냄새가 가득...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사마귀 버마재비, mantis
    개요 바퀴목 사마귀과의 곤충. 2,000여 종이 있으며, 대다수가 열대나 아열대산이다. 사마귀의 영어 이름 'mantis'는 원래 '점쟁이'라는 뜻으로, 이 곤충이 초자연적인 힘을 지녔다고 믿었던 고대 그리스인들이 그러한 이름을 붙였다. 오늘날에 쓰이는 역시 '점쟁이'라는 뜻의 영어 이름 'mantid'도 그러한 믿음을 반영...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사마귀목 > 사마귀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초원지대
    먹이 :
    잠자리, 메뚜기, 방아깨비, 개구리, 여치
    크기 :
    약 6cm ~ 8.5cm
    학명 :
    Tenodera angustipennis
    식성 :
    육식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인도차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바스티앙과 바스티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Bastien und Bastienne K.50(46b)
    얻었던 당시의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독일어 대사를 포함하고 있어서 ‘징슈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프랑스의 사상가 장 자크 루소의 오페라 〈마을의 점쟁이〉를 개작한 〈바스티앙과 바스티엔의 사랑〉의 수정 대본에 음악을 붙인 이 작품은 양치기 소녀와 그를 사랑하는 소년, 그리고 가짜 마법사 3명의 등장...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오페라
    제작시기 :
    1768년 여름~가을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초연 :
    빈에 있는 프란츠 메스머의 저택(추정), 공식적인 초연은 1890년 10월 2일 베를린
    등장인물 :
    • 바스티엔(양치는 소녀, 소프라노) • 바스티앙(바스티엔을 사랑하는 소년, 테너) • 콜라(가짜 마법사, 베이스)
    배경 :
    17세기경, 코르시카섬 바스티아 마을
    대본(리브레토) :
    장 자크 루소
    구성 :
    단막 징슈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점쟁이
거북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