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기공학 電氣工學
    전기 및 자기 현상과 그 이용기술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개설 전기는 인류의 전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에너지로 다른 에너지에 비해 수송이 용이하고, 깨끗하며 안전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기공학의 연구 범위는 전기를 생산하고 수송하여 사용하는 전 영역이 된다. 전기공학의 영역은 에너지를 다...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전기공학 電氣工學, electrical engineering
    전기공학전기와 자기, 전자파(빛)에 관련된 기술 및 응용을 연구하는 공학의 분과 학문이다. 초기에는 전자와 관련된 분야까지 모두 포함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제어계측공학 등이 분화되어 나갔다. 현재는 전력, 전기기기, 전기설비, 전력전자, 전기차량, 에너지시스템 등을 그 영역으로 ...
    분류 :
    공학 > 전기공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전기공학 (관련어 전기 공학) Electrical engineering..
    전기공학(電氣工學, 전자, 전자기의 연구 및 응용을 다루는 공학 분야이다. 전력, 통신, 제어, 정보 처리 등과도 관련되며, 넓은 의미로 전자 공학과 무선 공학도 포함된다. 현재 이 분야는 전신의 상용화와 전기 공급이 이루어진 뒤 19세기 말에 처음 증명되었다. 전기공학은 이제 컴퓨터 공학, 시스템 공학, 전력 공학...
    도서 위키백과
  • Electrical engineering 전기공학, 電気工学
    Electrical engineering is a field of engineering that generally deals with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electricity, electronics, and electromagnetism. This field first became an identifiable occup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fter commercialization of the electric telegraph, the ...
  • 전기ㆍ전자ㆍ통신공학교육과
    성격이면 좋습니다.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유리합니다. 관련 고교 교과목 진로 탐색 활동 ㆍ 전기공학 관련 서적 탐독 - ㆍ 수학, 물리학, 화학 동아리 및 교과 활동 참여 - ㆍ 교육 관련 봉사 및 멘토링 활동 참여 - 대학 주요 교과목 전기공학실험 전기공학의...
    분류 :
    대학교 > 교육계열
  •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1935~1977), 나비박사 석주명(1908~1950), 그리고 한만춘(1921~1984)이다. 오늘 소개할 한만춘 박사는 나머지 두 박사에 비해 덜 알려졌지만, 우리나라의 전기공학을 개척하고 전력산업을 근대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어느 한 종합대학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현장. 신입생을 앞에 두고 한창 자신의...
  • 전기공학에서는 수학이 얼마나 중요할까?
    전기공학에서 중요시하는 수학 분야가 많다. 예를 들어, 추상수학은 통신과 신호처리에 이용되며, 도함수를 포함한 방정식을 푸는 복소미분방정식은 회로이론과 시스템 설계에서 이용된다. 또 회로이론을 다루는 기사들은 대수학과 삼각법을 알아야 하며, 전자기를 다루는 기사들은 해석학, 특히 맥스웰의 방정식을...
  • 전기공학에서 허수는 어떻게 이용될까?
    복소수가 전기 문제의 일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기공학에서는 허수가 사용되었다. 실제로 여러 전기공학 문제에는 실수보다 허수가 더 많다. 왜냐하면 복소수는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이뤄진 수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누구나 백열전구 같은 전기 회로부품을 통해 전기가 흐른다는 것을 알고 있다. 실제로 전구는...
  • 전기전자공학 電氣電子工學, electrical and elect..
    이루어졌다. 19세기에 전기의 기본법칙들이 수학적으로 공식화되었고 전기를 응용한 최초의 실용품들이 발명되었다(예를 들면 전화·백열등). 20세기 동안 전기공학에서의 큰 진전이 이루어졌으며, 그 전문직은 2개의 주요영역, 즉 고출력 전기공학과 저출력 공학 또는 전자공학으로 폭넓게 분류될 수 있다. 고출력 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공학의 분야
    공학은 전통적으로 4개의 주요분야, 즉 토목공학·기계공학·전기공학·화학공학이 있고, 각 분야는 여러 가지 다른 전문분과로 나뉜다. 다른 중요한 학문분야는 채광·핵기술·환경조절과 관계된 분야이다. 토목공학에는 구조공학·기초공학·공공위생공학·관개공학 등 여러 가지 전문분과가 있다. 그리고 도시공학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공학 工學, engineering
    전기공학은 옛부터 푸리에 해석이나 미분방정식론 등을 통해 수학과 깊은 관련을 가져왔다. 그런데 공업계의 자동화와 기술혁신은 자동제어 이론을 찾아냈고, 특히 최적제어 이론의 변분법은 미분방정식론에 새로운 분야를 확립시키기에 이르렀다. 특히 폰트랴긴의 최대원리는 이 방면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또 정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순시전력 power, instantaneous
    ① 회로 용어. 어떤 영역으로에 엔트리의 단자에 있어서 그 영역으로 또는 그 영역에서 전력량이 보내지는 비율. 주 : 그 영역으로에 또는 그 영역에서의 전력이 플러스인가 아닌가를 결정할 문제로 에너지의 흐름의 기준방향의 선택에 의존한다. ② 다상회로 용어. 어떤 영역으로에 엔트리의 단자에 있어서 각 엔트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포항공대 전기공학연구실
전기공학교육과
전기ㆍ전자ㆍ통신공학교육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