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저어새류 spoonbill
    황새목(―目 Ciconiiformes) 저어새과 저어새아과(―亞科 Plataleinae)를 구성하는 6종(種)의 긴 다리를 가진 섭금류(涉禽類).|따오기류도 이에 속한다. 유라시아의 호수와 염수가 있는 늪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긴 부리로 진흙이나 얕은 물을 이리저리 쓸면서 작은 어류나 갑각류를 먹고 살며, 목과 다리를 길게 뻗...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저어새아과 (관련어 저어새류) Spoonbill, ヘラサギ属
    생물 분류 저어새류는 저어새과의 저어새아과에 속하는 조류의 총칭이다. 저어새를 비롯한 6종의 새를 포함하고 있다. 따오기아과와 함께 저어새과를 구성한다. 황새목 황새과 - 황새 사다새목 사다새과 - 사다새 왜가리과 - 왜가리 주걱부리황새과 - 주걱부리황새 망치머리황새과 - 망치머리황새 저어새과 따오기아과 ...
    도서 위키백과
  • 저어새
    주걱 모양을 하고 있어 다른 조류와 큰 차이가 있다. 먹이를 찾아 먹을 때 물속에 주걱 모양의 부리를 담그고 좌우로 젓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저어새’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국내에 서식이 확인된 저어새류는 노랑부리저어새저어새 2종인데, 멀리에서 보면 형태적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저어새는...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leucorodia
    개요 조강 황새목 저어새과 저어새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Platalea leucorodia’이다. 부리가 노란색을 띠고, 사냥할 때에 부리를 좌우로 저어서 먹이를 찾는다고 하여 ‘노랑부리저어새’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추측된다. 한국에서는 1968년 5월 30일에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형태...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저어새과 > 저어새속
    원산지 :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인도)
    서식지 :
    호수, 습지, 갯벌, 하구
    먹이 :
    올챙이, 게, 새우, 개구리
    크기 :
    약 82cm ~ 86cm
    무게 :
    약 1.2kg ~ 1.7kg
    학명 :
    Platalea leucorodi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1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저어새 천연기념물 제205-1호, Black-faced Spoonbill
    찾는다. 5월부터 무인도의 지면에 둥지를 만들며 알을 2~3개 낳는다. 포란기간은 26일이며 새끼는 부화 후 약 40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특징 노랑부리저어새와 같이 부리가 특이한 모양이다. 눈앞에 검은색 피부가 넓게 노출되어 부리와 눈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번식깃 눈앞에 작은 노란색 반달 모양 반점이...
    분류 :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5-1호
    서식지 :
    한반도 서해안의 무인도와 중국 요동반도의 일부 무인도에서 번식하며, 한국, 대만, 베트남, 홍콩,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73.5cm
    학명 :
    Platalea minor Black-faced Spoonbill
  •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江華 갯벌 및 저어새 繁殖地
    개설 2000년 7월 6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화갯벌은 강화의 남부지역과 석모도, 볼음도 등 섬 주변에 자리하고 있다. 지정 면적은 약 435㎢이다. 저어새는 황새목 저어새과의 여름철새이자 일부 겨울철새로 강화갯벌을 중심으로 번식하고 있다. 1968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종이며, 멸종위기...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저어새 천연기념물 제205호, black-faced spoonbill
    개요 조강 황새목 저어새과 저어새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Platalea minor’이다. 부리로 얕은 수심의 물을 휘휘 저어 먹잇감을 사냥한다고 해서 ‘저어새’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에서는 종(種) 자체를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전라남도 영광 칠산도의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 및 저어새 번식지를 천연...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저어새과 > 저어새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간척지, 하구, 갯벌, 저수지
    크기 :
    약 75cm ~ 80cm
    무게 :
    약 1.07kg ~ 1.45kg
    학명 :
    Platalea minor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0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저어새 Platalea minor
    드나드는 개펄, 작은 물웅덩이, 갈대밭 등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작은 어류, 개구리, 올챙이, 조개류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일반적인 습성은 노랑부리저어새와 비슷하며, 경계심이 많다. 1~2마리 또는 작은 무리일 때가 많지만 20~50마리의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알을 낳는 시기는 7월 하순이다. 알은 흰색...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황새목(Ciconiiformes) >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학명 :
    Platalea minor (Temminck and Schlegel, 1849)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급
    국내분포 :
    서해안 해안과 갯벌, 하천을 따라 폭넓게 분포하며, 한강하구와 강화남단 각시바위, 요도, 수리봉, 인천시 송도 남동유수지 등 서해안의 작은 무인도서에서 번식한다.
    해외분포 :
    중국의 요동반도의 일부 무인도에서 번식한다. 대만, 홍콩,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특징 :
    여름철새, 천연기념물 제205-1호
  • 노랑부리저어새 천연기념물 제205-2호, Eurasian Spoonbill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얕은 물속에서 부리를 좌우로 휘저으며 작은 어류, 새우, 게, 수서곤충 등을 잡는다. 휴식할 때에는 부리를 등에 파묻고 잠잔다. 저어새가 섞여 월동하기도 한다. 특징 백로보다 목이 짧고, 굵다. 날아갈 때 황새, 두루미처럼 목을 쭉 뻗는다. 부리가 주걱형태다. 부리와 다리를 제외하고 전체...
    분류 :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5-2호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중부, 인도, 아프리카 북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동남부, 한국, 일본, 아프리카 북부 등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86cm
    학명 :
    Platalea leucorodia Eurasian Spoonbill
  •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형태 크기: 약 86cm노랑부리저어새는 형태가 비슷한 저어새보다 크다.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작다. 채색과 무늬: 수컷은 겨울깃이 흰색이고, 번식기의 경우 목 아랫부분에는 노란빛이 도는 갈색 목 테가 있다. 주요 형질: 눈언저리와 턱밑, 멱의 중앙은 피부가 드러나 있다. 여름깃은 뒷머리에 긴 다발모양 노란색 장식...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황새목(Ciconiiformes) >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학명 :
    Platalea leucorodia (Linnaeus, 1758)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영정도, 간월호, 부남호, 잠홍저수지, 금강하구, 동진강, 곰소만, 만경강, 무안저수지, 우습제, 랑초저수지, 영암호, 금호호, 고흥만, 당두리, 전라남도 순천만,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우포늪, 낙동강, 제주 하도리 등 전국에 걸쳐 월동한다. 천연기념물 205-2로 지정되어 있다.
    해외분포 :
    구북구 지역(중국 남부에서 인도에 이르는 지역을 제외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부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특징 :
    여름철새, 천연기념물
  •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靈光 七山島 괭이갈매기·노..
    칠산도는 법성포에서 직선거리로 약 20㎞, 원자력발전소에서 약 17㎞ 떨어져 있는 7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진 군도이다. 이곳의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는 다른 해조류 번식지보다 조금 늦은 1997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은 103,674㎡로, 이 중에서 가장 큰 섬은 6산도이며, 5...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저어새
    내용 학명은 Platalea minor TEMMINCK & SCHLEGEL이다. 전장 73.5㎝ 정도의 노랑부리저어새와 아주 닮았으나 다소 작으며, 부리의 뿌리에서 눈에 걸쳐 피부가 나출되어 검다. 온몸이 백색이나 여름깃은 뒷머리에 황갈색의 관우(冠羽)가 있으며, 또 하부에도 황갈색 띠가 있다. 부리는 검은색의 긴 주걱모양이며, 파도상...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노랑부리저어새
진홍저어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