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전한다. 가면의 재료는 오리나무이며 그 위에 두 겹, 세 겹으로 옻칠을 한 뒤 색을 칠했다. 하회리에서는 이 탈들을 신성시하며, 특히 각시탈은 서낭신을 대신...마당과 마당 사이에 한 차례씩 농악을 울려 놀이마당을 구분하였다. 장단은 주로 세마치장단을 많이 쳤다고 한다. 춤이나 동작은 놀이할 때 서낭님이 시켜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
색의 느낌계통 중에서 저명도의 색상을 사용하면 진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간의 장단 비렌(Faber Birren)은 장파장 계통의 색채 실내에서는 시간의 경과가 길게 느껴...색상은 황록색, 노랑색, 빨강색과 주황색 등 장파장 계열의 시감도가 높은 색이며, 고명도의 pale, very pale톤이 속도감을 증가시킨다. 파랑색은 속도감...
-
유행색 패션 색채끊임없이 계속된다. 유행색이란 본래 어떤 시기에 집중해서 시장을 점유한 상품색을 가리키며, 어떤 계절이나 일정한 기간 동안 특별히 많은 사람들에게 입혀...것에 대한 흥미와 어떤 암시에 의하여 생긴다. 유행색의 수명과 주기의 장단은 인간의 심리적 요구에 깊이 관여되어 있으며 그 요인으로는 시대성, 사회성...
-
-
평안도굿 平安道굿달리 신령의 옷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복에는 색 개념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어서 굿거리, 신령 역할과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색상...형태와 비슷하다. ⑥ 장단 장단으로는 푸념장단, 비나수장단, 긴염불장단, 자진염불장단, 푸념장단, 굿거리장단, 벅구장단, 굿장단 등이 있다. 푸념, 비...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은율탈춤 殷栗탈춤장단이라는 장단 이름이 따로 쓰이는 것이 특징이다. 목중들의 등장과 퇴장은 순서대로 하는데, 춤을 추고 그대로 탈춤판에 남아 있다가 나중에 뭇동춤을 춘다. 춤사위는 <봉산탈춤>과 비슷하여 큰 차이가 없다. 팔목중의 외사위 · 곱사위 · 양사위 · 만사위 · 도무(跳舞) · 뭇동춤, 최괄이의 깨끼춤, 미얄의...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여창상성계평조 여창사설지름, 女唱上聲界平調지름시조이다. 남성 가창자가 부르는 지름시조와 달리 초장 둘째 장단 첫 박에서부터 셋째 장단 끝까지 높은 소리로 질러 부른다. 따라서 닙보노홍K120에 보이는...소리로 질러 부르는 계평조’란 의미로 보인다. 닙보노홍K121에는 유운선․이유색․박채선이 부른 사설지름 시조가 녹음되어 있다. A면에는 「푸른 산 중...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진주오광대 晋州五廣大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오방신장무(五方神將舞)마당으로 각기 복색을 오방색에 따라서, 호수립(虎鬚笠)을 쓰고 중치막을 입은 동방청제장군(東方靑帝將軍...將軍) · 남방적제장군(南方赤帝將軍) · 중앙황제장군(中央黃帝將軍)이 염불장단에 맞추어 등장하여 각기 동 · 서 · 북 · 남 · 중앙의 오방위에 서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