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중요무형문화재 예능..
    국가무형유산의 기능 또는 예능을 원형대로 체득하여 보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지정된 인물. 국가무형유산 보유자.|개설 2024년 이전에는 무형문화재법에 의하여 연극 · 음악 · 무용 · 공예 · 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산물 중 역사적 · 예술적 ·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해당 국가무형문...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Living Nat..
    국가무형유산 보유자(國家無形遺産 保有者)는 연극,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기술의 소지자로서 인정 받은 사람을 말한다. 무형유산 법에 따라 국가무형유산위원회의 자문을 거쳐서 지정ㆍ보완하고 있다. 인간문화재(人間文化財)란 보유자와, 노령이나 질병등으로 은퇴한 명예 ...
    도서 위키백과
  • 이근성 李根成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공로상을 받은 바 있다. 1965년 제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공로상을 받았다. 1967년 6월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봉산탈춤」의 목중 · 취발이 · 사자춤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후계자로 김기수(金璂洙) · 김종엽(金鍾燁) · 조운룡(趙雲龍)을 두었다. 참고문헌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처용무 處容舞
    의 반주와 그 장단에 따라 낙화유수(落花流水)의 춤사위, 즉 두 팔을 양쪽 어깨로 들었다가 뿌리는 동작을 하면서 한 사람씩 퇴장한다. 처용무는 1971년 1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4년 예능보유자로는 김용(金龍) · 김중섭(金重燮)이 있다.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국가무형유산 중요무형문화재, 國家無形遺産
    국가유산. 국가무형유산은 관보에 고시되고 보유자나 단체에 인정서를 교부한 날부터 그 효력이 발생한다. 개인 및 단체가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면 국가가 해당 국가무형유산의 기예능보유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이 이루어진다.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는 명칭에 따라 '국가무형...
  •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은 국가가 전통문화의 보존, 전승을 위해 건립한 건물이며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를 입주시켜 전수 교육, 일반인 강습 등을 지원하고 있다. 예능 종목은 8개 단체가 입주해 있으며 보유자를 중심으로 그 예능을 후세에 이어 주기 위하여 전수교육과 일반인 강습을 연중 실시하고, 정기 발표공연 및...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6 (삼성동)
    설립자 :
    문화재청
  • 국가무형유산 무형문화재, 國家無形遺産
    내용 2024년 '무형유산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 이전의 국가무형유산 지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뮤형유산)는 관보(官報)에...받으면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국가에서 보유자는 생계비를, 보유자와 보유단체는 당해 중요무형문화재의 발표공연비 · 제작지원비 · 전수교육비를...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강릉단오제 江陵端午祭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며, 산로 안전(山路安全)과 풍작 · 풍어, 집안의 태평 등을 기원하는 제의이자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단오굿 · 단양제(端陽祭)라고도 불리며, 단오날 행사로서는 가장 대표적인 행사이다. 음력 3월 20일부터 제사에 소용될 신주(神酒)를 빚는 데서 시작하여 단오 다음날인...
    문화재 지정 :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
    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그 근원은 서낭제의 탈놀이로서, 우리 나라 가면극 전승의 주류를 이루는 산대도감계통극과는 달리 동제에 행하여지던 무의식극적(無意識劇的) 전승이다. 서낭제에 탈놀이를 놀았던 곳은 경상북도 안동시 일대에서는 하회리와 병산리가 알려져 왔으나, 하회별신굿은 1928년(戊辰) 이래...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연극
  • 봉산탈춤 鳳山탈춤
    내용 봉산탈춤은 강령 탈춤과 함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해서 탈춤의 최고봉을 이루었다. 특히 1936년 8월 30일(백중날) 사리원 경암산 아래 마당에서 거행한 공연이 경성 방송을 통해 전국에 중계됨으로써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봉산탈춤은 주로 단오에 놀았고, 그외에 중국 사신의 영접이나 신임 사또의...
    유형 :
    작품/무용·민속극·연극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안비취 복식(福植), 安翡翠
    내용 국가무형유산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본명은 복식(福植). 묵계월(墨桂月) · 이은주(李銀株) 등과 함께 유명세를 자랑하던 경기민요의 명인이며, 경서도 명창 중에서 제일의 활동가이다. 서울 효자동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유성기로 듣던 송만갑 · 이동백 명인의 판소리에 매료되어 13세에 가출하여...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강릉단오제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江陵端午祭
    지니고 있던 민간풍습은 잡다한 놀이로 변용되어갔다. 현황 강릉단오제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강릉단오제보존회에 의해 관리 및 전수되고 있다...조규돈(제관)·빈순애(무녀)가 있다. 2005년 11월에는 강릉단오제의 문화적 독창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문화재 지정 :
    1967.01.16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