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군 將軍신라시대의 무관직. 개설 신라 최대의 군단인 6정(停)과 9서당(誓幢) 및 왕궁친위대인 시위부(侍衛府)에 배속된 최고지휘관으로, 6정의 예하부대에 18인, 9서당의 예하부대에 18인, 시위부에 6인, 모두 합해 42인을 두었다. 경덕왕 때 웅천주정(熊川州停)에 다시 3인을 더 두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본기에...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관직, 무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장군물·술·간장·오줌 따위를 담는데 쓰는 그릇. 내용 중두리를 뉘어놓은 모양의 것으로 한쪽 마구리는 평평하고 다른 쪽 마구리는 반구형(半球形)이며, 배때기에 좁은 아가리를 붙였다. 오지로 만든 작은 것에는 물이나 술 따위를 넣으나 큰 것에는 오줌을 담아 지게로 운반한다. 이를 오줌장군·오줌추마리(경상남도 ...
- 성격 :
- 생활용품
- 유형 :
- 물품
- 용도 :
- 식기
- 분야 :
- 생활/식생활
-
장군 將軍발해시대의 무관직. 내용 발해는 중국 당나라 군사제도를 본떠서 중앙군으로 10위(衛)를 설치하고, 각 위에 대장군 1인과 장군 1인을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권1에 장군 신덕(申德), 좌우위장군(左右衛將軍) 대심리(大審理)가 925년 고려에 망명하였다고 하여 그 실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성격 :
- 관직, 무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장군 호군, 將軍고려시대의 정4품 무관직. 내용 고려 중앙군의 3번째 서열의 신분이다. 고려시대의 중앙군은 2군6위(二軍六衛)였고, 그 병력 수는 45령(領, 1령은 1,000명)이었다. 여기에는 최고지휘관으로 상장군(上將軍, 정3품)과 대장군(大將軍, 종3품)이 있었고, 그 바로 밑에 장군이 배치되었다. 장군은 위로는 상장군과 대장군...
- 시대 :
- 고려전기, 고려후기
- 성격 :
- 무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전기
- 시행처 :
- 고려 병부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장군 The General기차를 타고 적군을 추격하는 장면 유머를 잡아내는 산뜻한 순간 1920년대 미국 영화계는 많은 장편 코미디 영화가 제작됐던 ‘위대한 코미디 영화의 시대’였다. 찰리 채플린, 버스터 키튼, 해롤드 로이드 등이 이 시기에 걸작을 창조했다. 〈장군〉은 개봉 당시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세계 영화 걸작 10편의 목록에 자...
- 제작시기 :
- 1927년
- 감독 :
- 버스터 키튼(Buster Keaton)
-
장군 將軍조선 초기에 두었던 종4품 무관직. 내용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이군육위제도(二軍六衛制度)를 계승하여 좌위(左衛)·우위(右衛)·응양위(鷹揚衛)·금오위(金吾衛)·좌우위(左右衛)·신호위(神虎衛)·흥위위(興威衛)·비순위(備巡衛)·천우위(千牛衛)·감문위(監門衛) 등 의흥친군(義興親軍)인 십위를 설치하였다. ...
- 시대 :
- 조선 전기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92년(태조 1)
- 시행처 :
- 병조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개대황 (동의어 장군) 화삼(火參), 개大黃잎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고 삼각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며 잎밑이 심장형인데 위로 올라갈수록 작고 끝이 날카로워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혹은 주름 같은 얕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없...
- 학명 :
- Rumex longifoli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고산지, 산과 들의 습지
- 번식 :
- 분주·씨
- 약효 부위 :
- 뿌리·줄기
- 생약명 :
- 개대황, 대황(大黃)
- 키 :
- 1m 정도
- 과 :
- 마디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9~10월(3~5년 된 뿌리)
- 취급요령 :
- 햇볕이나 불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손바닥대황·장군풀·대황·남대황의 뿌리·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