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가사리
    동자개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내용 학명은 Liobagrus mediadiposalis (Mori, 1936)이다. 몸은 길고 가늘다. 몸길이는 이다. 몸은 길고 가늘다. 몸길이는 13㎝ 정도이다. 머리는 등배쪽으로 납작[縱扁]하여, 몸뚱이는 약간 옆으로 납작[側扁]하나 둥근 편이다. 입은 두껍고 입둘레에는 네 쌍의 굵고 긴 수염이 있다...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자가사리 남방쏠자개, Liobagrus mediadiposalis
    형태정보 크기 : 몸 길이는 약 6~10cm이다. 체색과 무늬 : 몸 색깔은 황갈색으로 등 쪽은 짙고, 배 쪽은 노란색이다. 각 지느러미 가장자리에는 밝은색의 노란색 테두리가 있다. 꼬리지느러미 끝 가장자리에 반달모양의 노란색 띠가 있는것도 있으며 둥글다. 주요 형질 : 몸은 약간 길고 몸통은 둥글며, 몸 뒷부분은 옆...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메기목(Siluriformes) > 퉁가리과(Amblycipitidae)
    학명 :
    Liobagrus mediadiposalis(Mori, 1936)
    국내분포 :
    금강, 낙동강, 섬진강, 탐진강, 남해도, 거제도, 동해 남부 수계에 분포한다.
    특징 :
    고유종
  • 자가사리 남방쏠자개, South torrent catfish
    고유종, 담수어류|몸은 약간 길고 둥글다. 꼬리는 수직 방향으로 심하게 납작하다. 머리는 수평 방향으로 납작하며 주둥이도 수평 방향으로 종편되어 있다. 눈은 아주 작으며 그 뒷부분은 볼록하여 머리의 위쪽에 치우쳐 피막에 싸인다. 입은 주둥이 끝에 열리나 상악이 하악보다 약간 길어서 입의 개구 방향이 아래를...
    분류 :
    퉁가리과(Amblycipitidae)
    크기 :
    6~10 cm
    학명 :
    Liobagrus mediadiposalis (MORI, 1936)
    국내분포 :
    무주,영동,진천,옥천,금산,보은,청원,대덕,공주,장수,진안,봉화,안동,영주,문경,상주,합천,거창,산청,영풍,청송,거제도,남해도,장흥
    분포지역 :
    금강,낙동강,밀양강,남강,탐진강,섬진강
    도서 담수어류사전 | 태그 어류
  • 자가사리 Liobagrus mediadiposalis
    퉁가리과에 속하는 한반도 고유종.|금강에서 낙동강 사이의 서남해로 유입되는 하천과 추천천 이남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에 분포하고 있다. 몸은 길쭉하고 몸통은 옆으로 조금 납작하며 꼬리부분은 옆으로 납작하다. 몸 표면에 비늘이 없고 등지느러미의 뒤쪽에는 기름지느러미(adipose fin)가 길게 발달해 있다. 입...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메기목 > 퉁가리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여울의 맑은 물이 흐르는 자갈 사이
    크기 :
    약 10cm ~ 12cm
    학명 :
    Liobagrus mediadiposali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자가사리 남방쏠자개, south torrent catfish
    형태 D Ⅰ, 6; A 15~19; P1 Ⅰ, 7; C 57~61; Vert. 40~44; GR 7~11 머리는 종편되고 몸은 측편되었다. 위턱이 아래턱보다 약간 길어 입은 그 아래에 있다. 측선은 흔적만 있거나 없다. 가슴지느러미 가시의 안쪽에는 4~6개의 작은 가시가 있다. 몸은 황갈색으로 등 쪽은 짙고 배 쪽은 노란색을 띤다. 각 지느러미의 가장...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메기목(Siluriformes) > 퉁가리과(Amblycipitidae)
    학명 :
    Liobagrus mediadiposalis Mori
    북한명칭 :
    남방쏠자개
    분포지역 :
    금강, 낙동강, 이사천, 탐진강, 남해도, 거제도(한국 고유종)
    종류 :
    한국 고유종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동자개 빠가사리, Korean bullhead
    형태 D Ⅱ, 7; A 21~25; Vert. 39~41; GR 13~17 머리는 종편되고 몸은 측편되었다. 4쌍의 수염 중 가장 긴 것은 가슴지느러미 기부를 넘는다. 몸에 비늘이 없고, 점액질이 발달되었다. 가슴지느러미의 가시는 크고 강하며, 안팎으로 거치가 나 있다. 몸은 살아 있을 때에는 우중충한 황갈색 바탕에 너비가 넓은 암갈색 ...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메기목(Siluriformes) > 동자개과(Bagridae)
    학명 :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북한명칭 :
    자개
    분포지역 :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낙동강으로 이입), 중국, 타이완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퉁사리 Liobagrus obesus
    개요 조기어강 메기목 퉁가리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형태가 퉁가리와 자가사리를 함께 닮았다고 하여 퉁가리의 ‘퉁’과 자가사리의 ‘가’를 따서 ‘퉁사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기는 약 7~10cm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개체 수가 많지 않아 금강과 웅천천, 만경강, 영산강 등에 서식하는 고유종이다. 형태 크기는...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메기목 > 퉁가리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자갈이 많으며 물이 맑고 완만하게 흐르는 곳
    크기 :
    약 7cm ~ 10cm
    식성 :
    육식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국가적색목록 위기(E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퉁사리 Bull-head torrent catfish
    몸은 약간 길고, 납작하며 꼬리는 옆으로 심하게 납작하다. 머리와 주둥이는 수평으로 납작하며 눈의 뒷부분은 볼록 튀어 나왔다. 퉁가리나 자가사리보다 퉁퉁한 편이다. 눈은 작으며 머리의 위쪽에 치우쳐 피막에 싸인다. 입은 주둥이 끝에 열리고 상악과 하악은 거의 같은 길이이며, 몸에는 비늘이 없다. 입수염은 4...
    분류 :
    퉁가리과(Amblycipitidae)
    크기 :
    8~10 cm
    학명 :
    Liobagrus obesus (SON, KIM and CHOO,
    국내분포 :
    영동,옥천,무주,금산,보은,보령,고산,장성
    분포지역 :
    금강중류,만경강,영산강 상류
    도서 담수어류사전 | 태그 어류
  • 곰보타령
    나리지 마라 뛴다 뛴다 어룡 소룡은 다 뛰어 넘어 자빠 동그라지고/영의정 고래, 좌의정 숭어, 우의정 민어, 승지 전복/한림 병어, 옥당 은어, 대사간에 자가사리(25)/떼 많은 송사리, 수 많은 곤쟁이(26), 눈 큰 준치, 키 큰 갈치/쌀찐 도미, 살 많은 방어, 머리 큰 대구/ 입 큰 메기, 입 작은 병어, 누른 조기, 푸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수영강 水營江
    불렸다. 19세기 중엽에는 상류는 영천, 중류는 사천, 금정산에서 발원한 지류는 범어천이라고도 했다. 주요지류는 고촌천·철마천·송정천·법기천 등이 있다. 강에는 뱀장어·은어·황어·버들치·피라미·왜몰개·붕어·미꾸라지·자가사리 등이 서식하고 있었으나, 극심한 하천오염으로 인하여 생태계가 파괴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어류시리즈(네번째묶음) 자가사리
    체신부에서는 87년도에 이어 어류시리즈 넷째묶음으로 다음 4종의 우표를 발행합니다. 1. 돌돔(Oplegnathus fasciatus) 우리나라 남부 이남 연해(야수, 부산, 제주도) 및 일본의 전연안, 남중국 연해에 분포하고 있으며 겉모양은 몸높이가 몹시 높으며 측편되어 있다. 2. 수수미꾸리(Cobitis multifasciata) 우리나라 낙...
    발행일 :
    1989.9.30
    발행량 :
    30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자가사리
    우표번호 :
    1580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어류시리즈(네번째묶음) 돌돔
    발견되지 않았고, 우리나라 특산어로서 그 분포의 범위가 매우 좁다. 맑은 물의 얕은 자갈밭의 돌틈에서 살며 동작이 민첩하고 6월경에 산란을 한다. 3. 자가사리(Liobagrus mediadiposalis)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여러하천(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대화강)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특산어종이다. 맑은 흐름의...
    발행일 :
    1989.9.30
    발행량 :
    30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돌돔
    우표번호 :
    1578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0건

자가사리
자가사리
자가사리
자가사리
자가사리
자가사리
자가사리 분포도
자가사리 형태
자가사리 형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