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평대군 麟坪大君
    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셋째 아들.|본관은 전주. 이름은 요. 자는 용함, 호는 송계. 1630년(인조 8) 인평대군으로 봉해졌고 1636년 병자호란 때 인조를 남한산성까지 호종했다. 먼저 볼모로 끌려간 소현세자·봉림대군(뒤의 효종) 두 형을 이어 1640년 심양[瀋陽]에 끌려가 다음해 귀국했다. 그뒤 1650년부터 4차례 사...
    출생 :
    1622(광해군 14)
    사망 :
    1658(효종 9)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인평대군 (관련어 인평 대군) Grand Prince Inpyeong, 麟坪大君
    왕족 정보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3년 1월 10일(1622년 음력 12월 10일) ~ 1658년 6월 13일(음력 5월 13일))는 조선의 왕자이다.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소현세자와 효종의 동생이다. 성은 이(李), 본명은 요(㴭),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용함(用涵), 아호는 송계(松溪),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아버지 인...
    도서 위키백과
  • 인평대군 용함(用涵), 麟坪大君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셋째 아들인 왕자.|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요(㴭), 자는 용함(用涵), 호는 송계(松溪).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으로, 1628년 7세 때 인평대군(麟坪大君)에 봉해졌다. 1640년 볼모로 심양(瀋陽)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온 이후, 1650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사은사(謝恩使)가 되...
    시대 :
    조선 후기
    출생 :
    1622년(광해군 14)
    사망 :
    1658년(효종 9)
    유형 :
    인물
    직업 :
    왕자
    대표작 :
    산수도, 노승하관도, 고백도, 송계집, 연행록, 산행록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본관 :
    전주(全州)
  • 인평대군묘 및 신도비
    1기 망주석2기 장명등1기가 배치되어 있다. 묘역봉분 좌측에는 비신이 없는 귀부가 있어 또다른 비석이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묘비에는 유명 조선국 인평대군 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경공지묘 복천부부인오씨부좌(有明朝鮮國麟坪大君 兼 五衛都摠府都摠管 贈諡忠敬公之墓 福川府夫人吳氏 左)의 명문과 무술구월초...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로222번길 12-48
    문화재 지정 :
    [인평대군묘및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제130호(1992.06.05 지정)
  •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麟坪大君 墓 및 神道碑
    개설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위치한다. 1992년 6월 5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전주이씨 인평대군파 종중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인평대군(麟坪大君, 1622~1658)은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다.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심양(瀋陽)에 볼모로 갔다가 돌아온 후 사은사로 네 차례에 걸쳐...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인평대군치제문비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인평대군치제문비는 인조의 셋째 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인 인평대군 이요(1622~1658)의 인품과 업적을 기리고, 짧은 생애의 아픔을 위로하고자 세운 치제문비이다. 인평대군은 병자호란 때 부왕인 인조가 삼전도에서 항복한 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던 두 형이 돌아오면서 대신...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로222번길 12-48
    문화재 지정 :
    [인평대군치제문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5호(1978.10.10 지정)
  • 인평대군 치제문비 麟坪大君 致祭文碑
    내용 197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인평대군은 효종의 아우로, 그는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고, 제자백가(諸子百家)에 능통할 만큼 학문에 심취하는 면학자세를 보였다.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이 비는 묘소 좌측 아래에 있으며 정면 2칸, 측면 1칸의 7평 크기 비각 속에 2기를 안치하였다...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인평대군의 우애를 기리다
    朝陽樓)라 불린 효종의 잠저(潛邸: 왕세자가 아니었던 왕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 용흥궁(龍興宮)이 있었고 이 집과 동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는 인평대군이 살던 석양루(夕陽樓)가 있었다. 인평대군은 인조의 셋째 아들로, 인조의 첫째 아들 소현세자가 의문사한 뒤 효종으로 등극한 봉림대군과 매우 우애가...
    관련 장소 :
    낙산
  •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조선시대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인 인평대군(麟坪大君 1622년 ∼ 1658년)의 무덤 및 신도비이다. 1992년 6월 5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30호로 지정되었다. 인평대군(麟坪大君 1622∼1658)은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으로 이름은 요(㴭), 자는 용함(用涵), 호는 송계(松溪)이다. 1629년(인조 7) 인평...
    도서 위키백과
  • 인평대군 치제문비
    문화재 정보 인평대군치제문비(麟平大君致祭文碑)는 대한민국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조선시대 인평대군이 36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형인 효종과 후대 왕들이 그의 인품과 업적을 치하하며 지은 비문이다. 1978년 10월 10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다. 인평대군(麟坪大君 1622...
    도서 위키백과
  • 서변의 옥
    대한 척화를 주장했으며, 1652년에는 소현세자의 아들을 유배에서 풀어줄 것 등을 주장했던 인물이다. 1656년에 천안군수로 있었는데, 당시 승지 유도삼이 인평대군(麟坪大君:효종의 동생)의 처남 오정일의 연회에 참석하여, 인평대군에게 신하를 칭한 일이 일어났다. 서변은 이 사실을 전 군수 홍주일의 아들 홍만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저경궁 인빈 김씨의 사당, 儲慶宮
    김씨의 제사는 복창군과 그의 양자 의원군이 지냈다. 그러나 1680년(숙종 6년) 복창군이 ‘삼복의 변’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 인조와 인열왕후 소생인 인평대군은 복녕 · 복창 · 복선 · 복평군을 두었는데, 이 사건 전에 복녕군은 이미 죽었다. 1680년 4월 정원로가 허견 등이 복선군을 옹위하고자 한다는 글을...
    위치 :
    남부 호현방(조선시대)
    소재지 :
    중구 남대문로 39 한국은행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포천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중 인평대군 묘 전경
포천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중 신도비 정측면
「인평대군방전도」, 184.7×90.7cm, 효종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포천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중 신도비 정측면
포천 인평대군 치제문비 정면
포천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포천 인평대군 치제문비
인평대군묘및신도비
인평대군묘및신도비
인평대군치제문비
인평대군치제문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