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1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해조 계몽 의식을 털어내고 재미를 보탠 ..친일 개화 문학의 이인직과 항일 개화 문학의 신채호 사이에 이해조(李海朝, 1869~1927)가 서 있다. 1900년 중반에 나타나서 신소설의 시대를 연 사람은 이인직이지만, 그는 본디 문학보다는 정치에 뜻이 있던 인물이다. 한일합병 뒤로 이인직은 문학에서 점차 손을 떼고, 더러 신문에 실려도 독자들이 그의 소설에 별로...
- 출생 :
- 1869년
- 사망 :
- 1927년
-
이해조 동농(東濃), 李海朝일제강점기 「화의 혈」「자유종」, 「봉선화」 등을 저술한 작가.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필명은 우산거사(牛山居士) · 선음자(善飮子) · 하관생(遐觀生) · 석춘자(惜春子) · 신안생(神眼生) · 해관자(解觀子). 호는 동농(東濃) · 이열재(怡悅齋). 경기도 포천 출생.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麟坪大君)의 ...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이해조와 최찬식 개화의 이념을 담은 신소설이인직과 어깨를 겨룰 만한 신소설 작가로서 이해조가 있다. 조선 왕조의 명문가 출신인 그는 열아홉 살 때 진사에 급제한 적도 있는 인물이다. 이해조는 1906년 「잠상태」를 발표하고, 적을 두고 있던 『제국신문』에 1907년 「고목화」 · 「빈상설」, 1908년 「원앙도」 · 「구마검」 · 「홍도화」 · 「만월대」 ...
- 시기 :
- 1906년
-
이해조 자동(子東), 李海朝조선후기 『명암집』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동(子東), 호는 명암(鳴巖). 대제학 이일상(李一相)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1년(숙종 7)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1689년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되자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1694년 왕후가 복위된 뒤에 빙고별검(氷庫別檢)이 되었다. ...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0년(현종 1)
- 사망 :
- 1711년(숙종 37)
- 경력 :
- 대제학, 전라도관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명암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이해조의 〈자유종〉 현실을 머금은 토론 소설의 유행1908년에 나온 이해조의 「자유종」은 토론체 소설의 또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먼저 단행본 표지에 ‘신소설’, 본문 서두에 ‘토론 소설’이라고 밝히고 있다. 아울러 이전의 시사 토론 소설이 거의 다 단편인 데 비하면 꽤 길다는 것도 특징이다. 「자유종」은 1908년 음력 1월 16일, 주인 이매경 부인과 그...
- 시기 :
- 1905년
-
탄금대 彈琴臺개설 『탄금대(彈琴臺)』는 이해조가 지은 신소설로 1912년 3월 15일부터 5월 1일까지 『매일신보』에 연재한 후, 1912년 12월 10일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단행본으로 발행하였다. 과부 재가에 대한 당대 세태를 보여주면서 과부 재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기 위해 『김학공전』과 『신계후전』 등 전대 소설...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홍도화 紅桃花서지사항 이해조가 1908년 7월 24일부터 9월 17일까지 『제국신문(帝國新聞)』에 연재한 소설로, 이후 1908년에 유일서관(唯一書館)에서 단행본으로 발간되었다. 1910년에는 『홍도화』 하편이 유일서관에서 간행되었다. 내용 「홍도화」는 조혼이나 과부의 재가(再嫁) 금지와 같은 이전 시대의 관습을 강하게 비판하고...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옥중화 獄中花기존의 활자보다 작은 ‘5호활자’를 도입하면서 『매일신보』는 국한문판과 한글판으로 분리 발행되던 신문을 하나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이해조는 1면에 판소리 산정(刪正) 작품을, 4면에는 신소설을 동시에 연재하였다. 산정은 구술로 전해오던 판소리를 정본화하려는 의도를 포함하며, 전통적인 듣기...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