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8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성복과 황지우 해체주의, 악..
    이성복과 황지우는 1980년대가 낳은 최고의 시적 전위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이 1980년대 시의 깊이를 견인한 두 주역임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으리라. 이성복이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에서 보여준 도저한 우상 파괴의 상상력과, 황지우가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
  • 이성복 시대의 정신적 위기를 노래한 시인
    불문과에 입학하여 문리대 문학회에 가입하여 황지우, 김석희, 정세용, 진형준 등과 친분을 쌓았고 1976년 복학하여 황지우 등과 교내 시화전을 열기도 했다...카프카적이고 철저히 니체적이며 철저히 보들레르적”이었던 이성복은 1984년 프랑스에 다녀온 후 사상에 일대 전환이 일어나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 그리고...
    출생 :
    1952년 6월 4일
    국적 :
    대한민국
    대표작 :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어둠 속의 시, 래여애반다라, 기파랑을 기리는 노래-나무인간 강판권, 나는 왜 비에 젖은 석류 꽃잎에 대해 아무 말도 못 했는가
    수상 :
    1982년 김수영문학상
    도서 북 어워드 사전 | 태그 작가
  • 1980년대 한국문학사
    참혹한 노동 현장의 실상 1985년의 한국 문학사적 변화 • 주요 역사적 사건 : 서울노동운동연합 창립 선언문 • 대표 문학가 : 이인성, 최수철, 이성복과 황지우, 이윤택과 박남철, 장정일과 기형도, 김영승 • 해체시, 그 이후의 지형학 1) 아우슈비츠 이후의 서정시 2) 해체시는 새로운 양식의 징후인가 3) 해체시...
  • 한국문학 韓國文學
    교육을 받지 않은 이른바 '한글세대'라고 하는 새로운 젊은 작가층이 나타났다. 소설에서는 김승옥, 이청준, 최인호, 황석영, 김원일, 조정래, 박경리, 조세희, 시에서는 고은, 신경림, 황동규, 오규원, 이성복, 황지우 등이 등장하면서 한국문학은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독자층을 확보하고 기반을 넓혀 나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세계의문학 世界의文學
    강석경, 조성기, 박일문, 이혜경, 이만교 등의 소설가와 최승호, 김광규 등의 시인을 발굴했다. 1981년부터 '김수영문학상'을 제정하였다. 정희성, 이성복, 황지우, 장정일, 장석남, 김기택, 유하 등의 시인들이 수상했다. 2007년부터는 민음사 창간 40주년을 기념하여 ‘세계의 문학 신인상’을 제정하여 신인작가의...
    시대 :
    현대
    저작자 :
    초대 편집위원 김우창, 유종호, 2012년 현재 김미현, 박성창, 강유정, 김행숙, 정영훈
    창작/발표시기 :
    1976년(창간)
    성격 :
    잡지, 계간문예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민음사, 발행인 박맹호
    분야 :
    문학/현대문학
  • 198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해체시는 새로운 양식의 징후인가 해체시, 그 이후의 지형학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해체 시인들에게는 해체시의 급진적 양식 자체가 내용이고, 세계에 대한 이념이며, 사회적 실천의 한 방법이다. 해체시는 이성복 · 황지우 · 박남철 · 이윤택에서 최승호 · 김혜순 · 장정일 · 김영승 · 하재봉 · 김정란 · 기형도 등에 이르기까지 그 너비와 깊이 면에서 명실 상부한...
    시기 :
    1985년
  • 198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해체시 시대 이후의 상황
    소통이 막힌 시대의 낯선 “의사 소통의 한 형식”이던 해체, 그 자유 정신은 어디를 향해 가고 있을까. 해체시의 제1세대인 이성복은 『남해 금산』 이후 연애 담론의 세계로, 황지우는 『나는 너다』 이후 긴 침묵과 방황 끝에 선적(禪的) 직관의 세계로 망명한다. 그 망명은 해체시의 종언을 전하는 신호일까...
    시기 :
    1985년
  • 한국어 시인 목록 List of Korean-language poets
    1957) 김봉길 (1956) 김사인 (1956) 김영현 (소설가) (1955) 최정례 (1955) 도종환 (1954) 김정환 (시인) (1954) 곽재구 (1954) 고형렬 (1954) 이성복 (1952) 황지우 (1952) 김승희 (1952) 이윤택 (1952) 최승자 (1952) 정호승 (1950) 조정권 (1949) 박희진 (1947) 김종철 (시인) (1947) 문정희 (시인) (1947) 오규원...
    도서 위키백과
  • 문학과지성
    출판사 문학과지성사에서 발행하기 시작했다. 또한, 통권 제10호부터 ‘원고모집’란을 신설하여 신인들을 발굴하였다. 이를 통하여 등단한 시인으로는 이성복·황지우·박남철·최승자·김혜순·장영수(張英洙)·김광규·최석하·박경원(朴敬元)·안수환(安洙環)·서원동(徐源東) 등이 있으며, 소설가로 김인배(金仁培...
    도서 위키백과
  • 박남철 (시인)
    산업고등학교) "2부"(야간부) 국어 교사, 국립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사 등을 거쳐, 전업 시인으로 활동했다. 1979년 등단한 박남철은 이성복, 황지우와 더불어 해체시의 선두 주자로 불렸다.뉴스 인용 1980년대 중반부터는 모든 금기를 해체하는 '해체시'로 유명해졌다. 그의 작품은 수사나 시의 구조...
    도서 위키백과
  • 최승자 Choi Seung-ja
    하면서 시작 활동을 한동안 중단하다 2006년 다시 시를 발표했다.뉴스 인용뉴스 인용 최승자는 현대 시인으로는 드물게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박노해, 황지우, 이성복 등과 함께 시의 시대 80년대가 배출한 스타 시인으로 꼽히기도 한다.뉴스 인용 《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즐거운 일기》 (문학과...
    도서 위키백과
  • 김수영문학상 Kim Suyeong Literary Award
    기회를 주고 있다. 수상년도 서명 저자 출판사 1981년 1회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창작과비평사 1982년 2회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이성복 문학과지성사 1983년 3회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1984년 4회 《아니다 그렇지 않다》 김광규 1985년 5회 《고슴도치의 마을》 최승호 1986년 6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