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동주 시인의 언덕 하늘과 바람과 별이 된 시하늘의 색과 바람의 결과 별의 빛마저 예사롭지 않다. 시인의 언덕에서는 딛는 걸음마다 청초한 감성이 운율처럼 스민다. 그가 별을 헤며 북간도의 어머니를 그렸듯,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두를 사랑하리라 다짐했듯, 언덕마루에서 누상동 시인의 옛집을 바라본다. 여운과 은유의 계단 청운동길을 올라 부암동과 청...
- 소재지 :
-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산 4 일대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 지선버스 7022,1020, 0212번 환승. 자하문 고개 하차. 고가 아래 왼쪽 언덕 계단(청운공원)
-
인왕산 치마바위 코스 외국인들이 사랑하는 서울 산만수천 약수터에서 치마바위까지는 오르막길이다. 이 길로 가면 서울 성벽과도 만나게 된다. 조금은 가파른 오르막길도 있어 땀이 난다. 치마바위에서 윤동주 시인의 언덕까지는 내리막길이라 걸을 만하다. 외국인들 사이에서 꽤 유명한 코스다. 성벽을 볼 수 있고 올라서면 서울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어 외국인이 많이...
- 난이도 :
- 하
- 경로 :
- 사직공원 → 황학정 → 만수천 약수 → 치마바위 → 윤동주 시인의 언덕
- 거리 :
- 약 4.4km
- 소요시간 :
- 편도 1시간 20분(왕복 2시간 40분)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1번 출구 로 나와 3~5분 정도 걷다 보면 길 건너 왼편에 사직공원이 보인다
-
윤동주 문학관 시간을 넘나드는 감각의 집있다. 건물 역시 윤동주와는 별다른 관계가 없다. 2009년까지 수도가압장으로 사용하던 건물이다. 고도가 높은 청운동 일대에 수압을 높여 물을 공급하기 위해...다하면서 종로구로 넘어오게 되었다. 여느 지자체와 마찬가지로 시인의 언덕과 윤동주를 연계하여 이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심하던 종로구는 수도가압장...
-
부암동~통의동 그린 또는 빈티지 아트벨트를 만끽하시길창성동을 한묶음으로, 부암동과 평창동이나 홍제동을 한묶음으로 코스를 짜도 좋겠다. 코스1 경복궁 건청궁 → 보안여관 → 대림미술관 → 진화랑 → 윤동주 시인의 언덕 → 창의문에서 백악마루까지 코스2 경복궁 건청궁 → 보안여관 → 대림미술관 → 진화랑 → 윤동주 시인의 언덕 → 환기미술관 → 아트스페이스...
-
인왕산 기차바위 코스 아름다운 서울 풍경을 마주하다등산 Tip 화장실 주말을 제외하고는 부암동사무소 화장실을 이용하면 된다. 가급적이면 지하철역에서 볼일을 보고 출발하는 것이 좋다. 공중 화장실은 윤동주 시인의 언덕 길 건너 북악산 탐방로 입구에 있다. 음식점 또는 부대시설 부암동사무소 주변에는 조용하고 깨끗한 음식점이 많고 편의점과 커피숍도 있다...
- 난이도 :
- 하
- 경로 :
- 부암동사무소 → 반계 윤웅렬 별장 → 등산로 → 기차바위 → 창의문
- 거리 :
- 약 3.3km
- 소요시간 :
- 편도 1시간 20분(왕복 2시간 40분)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로 나와 2분 정도 걸으면 버스 정류장이 보인다. 이곳에서 부암동 사무소로 가는 버스를 탄다. 버스에서 내린 후 길을 건너면 부암동 사무소와 만날 수 있다.
-
기형도 奇亨度이 때 쓰고 습작을 정리했다. 1982년 전역하여 양돈 등 집안일을 도우면서 창작과 독서에 몰두했다. 이 때 「겨울 판화」, 「포도밭 묘지」, 「폭풍의언덕」 등 다수의 시와 소설을 썼다. 1983년 3학년으로 복학하고, 교내 신문인 『연세춘추』에서 제정·시상하는 〈윤동주문학상〉에 시 「식목제」로 당선되었다...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60년 2월 16일
- 사망 :
- 1989년 3월 7일
- 경력 :
- 중앙일보 기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광주민주화항쟁
- 직업 :
- 시인, 신문기자
- 대표작 :
- 입 속의 검은 잎, 짧은 여행의 기록(산문집), 기형도 전집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지하철따라 찾아가는 서울갤러리, 경복궁 건청궁, 대림미술관, 모리아띠, 백사실 계곡, 보안여관: 통의동&창성동, 부암동 자하미술관 가는 길, 석파랑, 아트스페이스 스푼, 윤동주 시인의 언덕, 진화랑, 창의문에서 백악마루까지, 팔판동까뻬, 환기미술관, FATUM 신사역: 호림박물관 안국역: 가회동 31번지, 경인미술관, 계동길, 공간화랑, 목인...
-
언더우드관 · 아펜젤러관 · 스팀슨관 · 핀슨관 옛 캠퍼스에서 누리는 고딕풍 낭만이어라찾아볼 일이다. 백양 삼거리의 서편 언덕이다. 1922년에 지어진 2층 영국식 주택이다. 봄날에는 건물 입구의 벚나무 한 그루가 곱게 꽃을 피운다. 핀슨관은...기숙사에서 머물며 사색하고 고뇌하며 그 감성을 아름다운 시로 표현했다. 우리가 애송하는 많은 시들이 이곳에서 지어졌다. 윤동주 시인이 사용했다는 핀슨관...
- 위치 :
- 연세대학교
- 소재지 :
- 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262 연세대학교
- 가는 법 :
- 지하철 2호선 신촌역 2·3번 출구. 연세대 방면 직진. 연세대 정문 지나 직진 백양 삼거리. 간선버스 153, 163, 171, 172, 272, 370, 470, 601, 606, 607, 708, 710, 750A, 750B번, 지선버스 6714, 7017, 7613, 7713, 7720, 7726, 7727, 7728, 7737번, 마을버스 서대문03번 연세대 앞 하차
- 사이트 :
- http://www.yonsei.ac.kr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