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신체제 (동의어 유신 체제) 維新體制
    대통령에게 강력한 통치권을 부여하는 권위주의 통치체제.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로 수립된 장기적인 독재체제를 말한다. ‘통일주체국민회의’라는 단체를 구성, 유신 헌법을 제정한 박정희 대통령은 12월 23일 제4공화국을 출범 시켰으며 12월 27일 종신 집권을 위한 유신헌법을 공포하였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10월 유신 (관련어 유신체제) October Restoration, 十月維新
    대한민국 헌법 시작대한민국 헌법 끝 10월 유신은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을 발표한 것을 말한다. 박정희 대통령은 이 선언에서 4가지 비상조치를 발표하고 이러한 비상조치 국민투표로 1972년 12월 27일에 제3공화국 헌법을 개정했는...
    도서 위키백과
  • 영화 映畵, movie
    1964), 정진우(鄭鎭宇) 감독의 「밀회」(1965), 이만희(李晩熙) 감독의 「시장(市場)」(1965)·「흑맥(黑麥)」(1965) 등도 우수작으로 꼽을 수 있다. [8. 유신체제의 영화]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영화계는 1969년의 영화관객의 수를 정점으로 서서히 관객을 잃기 시작하면서 불경기를 맞게 되자 정부는 영화법을 개정...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영화
  • 유신정우회 유정회, 維新政友會
    통일주체국민회의가 승인 · 선출하였는데, 이렇게 국회의원이 된 의원들이 만든 단체가 유신정우회였다. 그 탄생 배경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유정회는 유신체제를 지지하고 박정희의 의지를 정치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한 단체였다. 설립목적 제9대 국회에서 원내 제1교섭단체로 출범하게 된 유신정우회는 자신의 목적...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독재권력에 대항한 민주화 투쟁
    전반에 변화가 일어났다. 박정희 정권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국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안정적인 정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앞세워 1972년 유신체제를 성립시켜 영구집권을 노렸다. 하지만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시민과 학생들은 부산, 마산 등지에서 시위를 벌이며 저항하였고, 집권세력 내부에서도...
    시대 :
    1948년~1987년
  • 시월유신 十月維新
    개설 박정희 대통령이 안보위기 및 남북대화를 빌미로 실시한 일종의 초헌법적인 비상조치로서, 이로써 유신체제라 불리는 강력한 권위주의 체제가 성립되었다. ‘10·17비상조치’의 내용을 살펴보면, ① 국회 해산과 정치활동 중지 등 헌법 일부 조항의 효력 정지, ② 비상 국무회의가 효력이 정지된 일부 헌법 기능...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10월유신 十月維新
    과정 10월유신은 짧게는 1972년 10월 17일 '대통령특별선언'으로부터 12월 27일 제4공화국 등장까지의 기간에 해당되나, 보다 길게는 그 시기를 전후하여 유신체제 등장과 관련된 일련의 조치들이 행해졌던 전체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유신체제 등장은 1971년 12월 6일 취해진 '국가비상사태선언'에서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유신헌법개헌청원백만인서명운동 維新憲法改憲請願百萬人署名運動
    홍남순 등이 참여했다. 12월 26일 김종필 총리는 방송연설에서 “세상을 어지럽히는 자는 다스리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28일에는 문공부가 유신체제에 대한 부정이나 도전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12월 29일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담화를 발표하여, 개헌청원서명운동을 “사회혼란을 조성하려는...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현대사
  • 10월 유신 발생
    유신 후 '한국적 민주주의'라며 철권통치를 했다. 한편 12월에 북한도 헌법을 바꿨다. 수상이던 김일성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김일성 유일 체제'를 법적으로 보장하는 내용이었다. 7 ・ 4남북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거리를 좁히는 듯하던 남한과 북한은 각기 '유신 체제'와 '유일 체제'를 구축하고 더 극심하게 대결했다...
    시대 :
    1972년 10월 17일
    국가/대륙 :
    한국
  • 유신헌법 維新憲法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투표율 92.9%에 91.5%의 찬성으로 확정되었다. 12월 27일 박정희가 대통령에 취임하는 한편 유신헌법을 공포함으로써 유신체제는 수립되었다. 이로써 정치체제가 대폭 정비되고 통제기제가 강화되어 집권세력은 막강한 사회통제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전문과 12장 126조 및 부칙 11조로 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부마민주항쟁 釜馬民主抗爭
    역사적 배경 박정희 정부의 유신체제는 정치·사회적 갈등을 빚어오다가 1979년에 한계에 이르렀다. ‘백두진(白斗鎭) 파동’과 박정희 대통령 취임 반대운동으로 시작된 1979년은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연행·체포·고문·연금 등 강압책이 잇따른 가운데서도 야당과 재야세력의 저항이 고조되어 유신 정국은 긴장을...
    시대 :
    현대
    발생 :
    1979년 10월 16일
    성격 :
    항쟁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1979년 10월 20일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장소 :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마산시
  • 긴급조치 緊急措置
    1979년 10.26 사건으로 박 전 대통령이 사망하고 신군부의 주도로 1980년 10월27일 헌법이 개정되면서 폐지됐다. 발령됐던 주요 긴급조치 -1972년 10월17일 유신체제의 시작. 비상계엄령 선포, 국회 해산, 정치활동 중지, 헌법 일부 효력 정지 등 담은 4개 항의 특별선언 발표 -1974년 1월8일긴급조치 제1·제2호 공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유신체제
▲ {유신 체제 홍보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