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운수가사 운수결수문(雲水結手文), 雲水壇謌詞
    조선시대 승려 휴정이 헌공의식문을 선의 입장에서 서술하여 1607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내용 종래의 헌공의식문(獻供儀式文)을 선(禪)의 입장에서 개찬(改撰)하였다. 1책. 목판본. ‘운수결수문(雲水結手文)’이라고도 한다. 1605년 해인사본(보림사, 일본 동양문고 등 소장), 1607년(선조 40) 순천 송광사...
    시대 :
    조선
    저작자 :
    휴정
    창작/발표시기 :
    1607년(개간), 이후 다수(판각)
    성격 :
    의례서, 불교의례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송광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도서관
  • 하동 법성선원 운수단작법 운수단(雲水壇), 河東 法成禪院 雲水壇作法
    에 해인사에서 간행한 것이 확인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하동(河東) 법성선원(法成禪院) 도서 『운수단작법(雲水壇作法)』의 저자는 확인되지 않는다. 『운수가사(雲水壇歌詞)』의 앞부분의 게(偈)는 용어만 있고, 『천수경(千手經)』은 없으며, 「정삼업진언(淨三業眞言)」부터 동일하나 완전 일치가 아닌 편집된 동종...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광주 문빈정사 소장 전적 光州 文彬精舍 所藏 典籍
    佛說阿彌陀經)』은 후진의 구마라집이 한역하였으며,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는 조선시대 대우(大愚)가 집술(集述)하였다. 『운수가사(雲水壇歌詞)』는 조선시대 휴정(休靜)이 찬하였고,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조선시대 세조가 편찬하였다. 서지사항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향산사 소장 불서 香山寺 所藏 佛書
    1566년(명종 23) 간행본(27×20㎝), 1641년(인조 19) 간행본(25.3×20.5㎝), 1694년(숙종 20) 간행본(25×20㎝) 등이다. 불계 · 진언 등을 기록한 『운수가사(雲水壇歌詞)』는 3권으로서 1627년(인조 5) 간행본(20.5×16.5㎝), 1651년(효종 2) 간행본(19.8×15㎝), 1719년(숙종 45) 간행본(19×16㎝) 등이다. 재(齋...
    유형 :
    유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신흥사 경판 神興寺 經板
    내용 신흥사경판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1을 비롯한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 『반야심경주(般若心經注)』 등의 대승경전, 『운수가사』 ·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 『수설수륙대회소』 · 『제반문(諸般文...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운흥사 소장 경판 雲興寺 所藏 經板
    내용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금강경』 · 『법화경』 권1, 『아미타경』 · 『보현행원품』 · 『진언집』 · 『운수가사』 · 『제반문』 · 『고왕관세음경』 · 『계초심학인문』 · 『다라니경』 등 모두 16종 194판(板)이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기에 판각된 것들...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 합천 법연사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법집절요사기, 陜川 法然寺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588년 운문사에서는 선사상을 익히기 위한 필독서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이외에도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운수가사(雲水壇歌詞)』,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치문경훈(緇門警訓)』도 함께 간행된 것이 확인된다. 구성과 내용 종밀(宗密)은...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원사 죽원사(竹原寺), 大原寺
    제5대 수선사 법주가 되었다. 조선 후기 1636년에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1638년에 『도가론변모자이혹론(道家論辨牟子理惑論)』, 1639년에 『운수가사(雲水壇歌詞)』를 간행하였으며, 1657년에 동종을 주조하였다. 동종은 현재 순천 선암사에 소장되어 있고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당시 대표적 주종장인...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운수단
운수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