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왜가리 백로와 같이 살지만 백색이 아니라 슬픈 새, Grey Heron재두루미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재두루미는 몸의 크기가 크고, 댕기가 없으며, 눈 주변의 나출부(속의 것이 겉으로 드러난 부위)가 붉은색으로 왜가리와 구별된다. 제일 높은 곳에 살아 일반적으로 백로류는 왜가리, 중대백로, 중백로, 쇠백로, 황로, 해오라기 등이 섞여서 번식하는 경우가 많다. 가끔은 왜가리만 단독...
- 분류 :
- 황새목>백로과
- 서식지 :
- 하천, 강, 하구, 논, 습지, 갯벌, 해안
- 먹이 :
- 어류, 양서류, 곤충류(개구리, 뱀, 들쥐, 물고기 등)
- 크기 :
- 약 94~97cm
- 학명 :
- Ardea cinerea
- 수명 :
- 약 10~15년
-
왜가리 gray heron개요 사다새목 왜가리과 왜가리속에 속하는 조류. 학명은 ‘Ardea cinerea’이다. 백로나 해오라기와 함께 서식하며, 원래는 철새였으나 거의 텃새화 되어 있다. 하천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하천이나 논, 호숫가 등에서 잉어, 메기, 가물치 등의 어류, 개구리와 뱀 등의 파충류, 쥐와 토끼같은 포유류까지 잡아...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사다새목 > 왜가리과 > 왜가리속
- 원산지 :
- 아시아
- 서식지 :
- 초습지, 하천, 하구, 소택지, 논
- 먹이 :
- 새우, 개구리, 쥐, 뱀
- 크기 :
- 약 91cm ~ 1.02m
- 무게 :
- 약 1.6kg ~ 2kg
- 학명 :
- Ardea cinerea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20~24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왜가리참고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박종길. 2014.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자연과생태 이우신, 구태희, 박진영. 2014.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개정증 보판). LG상록재단 이윤경 등. 2012. 한국의 백로와 왜가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이우신. 2009. 한국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황새목(Ciconiiformes) > 백로과(Ardeidae)
- 학명 :
- Ardea cinerea (Linnaeus, 1758)
- 국내분포 :
-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일부개체는 월동한다.
- 해외분포 :
- 유럽,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 널리 분포한다.
- 특징 :
- 여름철새
-
왜가리내용 학명은 Ardea cinerea이다. 왜가리는 우리나라의 백로과 조류 중에서 제일 큰 종으로 우리나라의 아종은 중국 동부, 몽고 및 일본 등지와 인도차이나반도, 미얀마까지 분포하고 있다. 사할린·쿠릴열도·타이완 등지에서도 기록되었다. 머리에서 목까지는 백색이고, 이마의 양쪽에서 눈 위를 지나 윗머리까지는...
- 분류 :
- 백로과
- 성격 :
- 동물, 새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전장 93㎝
- 학명 :
- Ardea cinerea
- 분야 :
- 과학/동물
-
-
왜가리 Grey Heron서식 유라시아대륙 중부 이남, 인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분포한다. 지리적으로 4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전국의 습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름철새이다. 행동 백로류 중 가장 빨리 찾아온다. 논, 하천, 저수지, 하구, 해안 습지에 서식한다. 쇠백로, 중대백로 등 다른 백로류와 혼성해 매년 동일한 장소...
- 분류 :
- 백로과(Arde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대륙 중부 이남, 인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분포한다.
- 크기 :
- L94~97cm
- 학명 :
- Ardea cinerea Grey Heron
-
붉은왜가리 Purple Heron서식 인도, 인도차이나반도,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 유럽, 중동,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찾아오는 나그네새다. 가을철에는 9월 하순부터 관찰되며, 봄철에는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습지와 농경지 주변에서 홀로 먹이를 찾으며, 경계심이 강해 가까이 접근...
- 분류 :
- 백로과(Ardeidae)
- 서식지 :
- 인도, 인도차이나반도,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 유럽, 중동,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 크기 :
- L78~92cm
- 학명 :
- Ardea purpurea Purple Heron
-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橫城 鴨谷里 白鷺─繁殖地나무 2주, 100년생 상수리나무 2주 등이 산재하는 산 끝마루 면적 약 3,300㎡ 정도의 산이다. 1973년 7월 조사 때에는 영산에서 중대백로 620둥지 979개체와 왜가리 7둥지 13개체, 압산에서 중대백로 116둥지 305개체, 왜가리 3둥지 16개체를 각기 확인하였다. 두 번식집단을 합산하면 중대백로 736둥지 1,284개체...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동물
-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 鎭川 老院里 왜가리 繁殖地㎞ 정도만 더 가면 마을로 들어가는 작은 샛길로 들어서고 논을 낀 두 갈래 길이 나온다. 여기서 왼쪽으로 갈라져 앞으로 바라다 보이는 북쪽 산록 마을이 왜가리 번식지인 노원리이다. 백로는 바로 민가의 돌담 안에 있는 오랜 거목인 은행나무에 번식해 왔다. 천연기념물로 처음 지정될 당시에는 수령 약 750...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동물
-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이월면 노원리 노곡마을 뒤에는 수령이 약 800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은행나무가 있다. 이 주변이 우리 고장에서 유일하게 천연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된 왜가리 번식지이다. 1970년까지 노원리 보호 지역 내에서 자라고 있는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수백 마리의 백로류 및 왜가리가 번식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는 이 은행...
- 위치 :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논실길 113-12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제13호(1962.12.03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무안 용월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務安 龍月里의 白鷺 및 왜가리 繁殖地이 흑송에서 중대백로가 번식하였다. 저수지 중심부의 섬에는 소나무 고목 1그루와 약 100년생 팽나무 여러 그루가 있으며 1968년까지 이 팽나무에는 왜가리가 번식하였다. 저수지에서 논을 건너 약 1㎞ 밖의 동북쪽 산의 적송림은 둥지를 떠난 중대백로의 잠자리와 휴식처가 되고 있다. 1968년 왜가리 200개체, 중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