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농악 마을굿, 農樂발전했다. 현재 농악을 지역별로는 호남좌도농악, 호남우도농악, 영남농악, 경기농악(웃다리농악), 영동농악 등으로 구분한다. 호남좌도농악은 임실필봉농악, 구례잔수농악, 남원농악, 호남우도농악은 이리농악, 영남농악은 진주삼천포농악, 김천금릉빗내농악, 경기농악은 평택농악, 영동농악은 강릉농악이 각각 국가...
- 시대 :
- 조선 , 조선 전기 , 조선 후기 , 근대 , 근대/개항기 , 근대/대한제국기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진주삼천포농악 晉州三千浦農樂29일에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며, 지정 당시의 명칭은 ‘농악12차’였다. 농악을 지역적으로 경기충청농악 · 호남우도농악 · 호남좌도농악 · 영남농악 · 영동농악으로 분류한다면, 진주삼천포농악은 영남농악에 속한다. 진양군(진주시에 해당) 정촌사람 박경호 상쇠의 뒤를 역시 정촌인...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욱수농악 旭水農樂이른다. 욱수농악은 두레노동농악이 아니라 동제인 천왕받이굿과 지신밟기굿에서 유래되는 농악인 점, 쇠가락에 비교적 빠른 가락이 많고 잔가락이 적어 영남농악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점, 외따기는 타지방의 고사리꺾기에 해당하는 것이나 경상도 남부지방에서는 드문 판제이며, 질굿가락이 특징으로 꼽힌다. 쇠...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농악의 지역적 분류따라 악기편성·채(장단)·진법 등이 다른데 웃다리가락(중부이북)·아랫다리가락(중부이남)으로 크게 나누기도 하며, 기호농악권·호남농악권(좌도·우도 농악)·영남농악권·영동농악권으로 나누기도 한다. 기호농악권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강원도 영서지방, 충청도 북부지방까지 전승되고 있는 농악으로 웃다리농악...
-
사물놀이 四物─단체놀이나 개인놀이를 벌이는데 주로 상모놀음에 치중한다. 꽹과리잽이는 부포상모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채상모를 사용한다. 삼도농악은 삼남지방의 농악가락을 편성하여 연주하는 것인데 주로 영남지방과 그 밖에 다른 지역의 쇠가락을 적당히 구성하여 연주한다. 길군악칠채는 경기도 행진농악인 길군악칠채를 합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벅구 법구벙거지를 쓰고, 소고잡이는 고깔 또는 채상을 달지 않은 벙거지를 쓰는 데 비하여 벅구와 소고의 구별이 없는 다른 고장에서는 경기농악(京畿農樂)ㆍ영남농악(嶺南農樂)ㆍ호남좌도농악(湖南左道農樂)에서와 같이 채상이 달린 벙거지를 쓰기도 하고 호남우도농악(湖南右道農樂)에서와 같이 고깔만 쓰기도 한다. 호남우도...
- 성격 :
- 악기, 북
- 유형 :
- 유물
- 크기 :
- 북통의 지름 일곱치, 북통의 높이 7푼
- 재질 :
- 나무, 가죽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국립국악원